지방소멸로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지역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외진 지역의 경우 장애인에게 할당된 서비스 시간이 있어도 지원사가 없어서 곤란한 실정이다.
서울에는 활동지원기관도 많고 지원사도 많아 일 처리가 마음에 들지 않아도 그런대로 사람을 구할 수는 있다. 필자 또한 활동지원사의 서비스가 만족스럽지는 않아도 그럭저럭 지낸다. 하지만 서울 아닌 곳에서는 활동지원사를 구하기조차 쉽지 않다.
최근 경북 예천의 시골 마을에 거주하는 부모님께서 필자에게 당신 댁에서 함께 살자는 제안을 하셨다. 이것저것 따져보니 장애인의 몸으로 그런 시골에 갔다가는 옴짝달싹 못할 것이 분명했다. 요양보호사 인력도 부족한 시골에 활동지원사 인력이라고 있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계속 서울에서 지내기로 했다.
운 좋게 서울에 거주하지 못하면 낮은 수준의 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강원도 산간벽지에 사는 필자의 지인은 중증 시각장애인으로 그의 활동지원사는 79세의 노인이다. 말도 잘 알아듣지 못하고 시키는 일도 까먹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무거운 물건 또한 지원사가 아니라 장애인인 이용자가 직접 들고 옮겨야 한단다.
보다 젊은 사람을 구인해 보라고 필자가 말하자 여기가 서울인 줄 아냐며 반문을 해왔다. 젊은 사람이 어디 있고 젊은 사람이 있대도 그중에 일하려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냐는 말에 필자는 답할 말이 없었다. 이렇듯 지방에선 지원사가 장애인을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지원사를 보조하는 현실이다.
복지의 격차는 서울과 중소 도시 간에도 있지만 산간벽지의 경우에 특히 심각하다. 복지만 아니라 의료, 교육 등 분야에서도 지역 간 차이가 심하다. 이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여서 개인의 수준에서 대응하기 어렵다. 그래서 생기는 복지 공백을 메우기 위해 원래라면 불가능한 가족 간의 지원도 예외적으로 허용하지만 여기에도 한계가 있다.
가족 구성원 다수가 대도시로 나가고 70세, 80세 정도의 노모와 같이 사는 지인의 말을 들어보면 답답하기 그지없다. 지방 자치 단체나 관련 기관은 장애인의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 지방에 사는 장애인이 편안하게 일상을 영위하는 일은 너무나도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 개인이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활동지원을 비롯한 복지 서비스가 잘 갖추어져 있는 도시로 이주하는 것이 고작이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도시로 인구가 몰리면 지방 소멸이 가속될 위험이 있다. 지방 소멸을 막는 것이 화두로 떠오르는 요즘, 기존 인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새로운 인구도 유치할 방법은 지방에 각종 인프라를 보장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장애인의 삶의 질도 나아질 수 있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