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y attention to the movie showing in your life right now. Notice the plot. It might be an adventure, a tragedy, a romance, a soap opera, or a battle. “All the world’s a stage,” wrote Shakespeare. Sometimes you get caught in the plot. But remember, you are also the audience. Take a breath. Look around. Become a loving witness to it all, the spacious awareness, the One Who Knows.
지금 당신이 보고 있는 영화에 주의를 기울여라. 그 줄거리를 알아차려라. 그게 어드벤처인가, 비극인가, 로맨스 물인가, 멜로인가 혹은 전투 영화인가? “세상의 모든 건 무대”라고 세익스피어가 말했다. 종종 당신은 줄거리에 빠져들 것이다. 그러나 기억하라. 당신 역시 하나의 관객인 것을. 숨을 쉬라. 주위를 둘러보라. 이 모든 걸 자애럽게 지켜보는, 훤출하게 열린 깨어 있음, 앎 자체가 되어라.
Your spacious mind is the natural awareness that knows and accommodates everything. My meditation teacher in the forests of Thailand, Ajahn Chah, called it the “One Who Knows.” He said this is the original nature of mind, the silent witness, spacious consciousness. His instructions were simple: Become witness to it all, the person with perspective, the One Who Knows. Sometimes he would say, “If you are lost in the forest, that is not really being lost. You are really lost if you forget who you are.”
당신의 활짝 열린 마음은 일체를 알고 수용하는 자연적인 알아차림이다. 타일랜드 숲속 전통의 내 스승이었던 아잔 차는 그걸 “아는 놈(앎, 靈智)"이라 불렀다. 이건 마음의 근원적 성질로서 말없이 지켜보는 자, 열린 의식이다. 그의 가르침은 간단했다. 모든 걸 지켜보는 자, 관점을 가진 자, 아는 놈이 되라. 가끔 이렇게도 말했다. “숲 속에서 길을 잃는다면 그건 진짜로 잃어버린 게 아니다. 네 자신이 누구인지 잊었다면 그게 진짜로 잃어버린 것이다.”
With mindfulness we can step out of the story we tell and simply notice the telling of it. With a quiet mind, the One Who Knows sees how we construct our world through repeating our stories. And we discover the stories are mostly one-sided or untrue.
When we rest in the One Who Knows, time drops away, self drops away, the one who suffers is released. We are simply the awareness of it all. As the One Who Knows, witness it all, let loving awareness make room for everything: boredom and excitement, fear and trust, pleasure and pain, birth and death.
Return again and again to loving awareness, come home to the One Who Knows, the wise and gracious heart that is your true home.
-Jack Kornfield
알아차림을 견지함으로써 줄곧 중얼대고 있는 자기 이야기에서 빠져나오라. 그리고 그렇게 중얼대고 있음을 알아차려라. 마음이 고요해지면 아는 놈(앎)은 자기 이야기를 반복해서 곱씹으면서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꾸며내는지를 보게 된다. 그리고 그 이야기란 대개 편향적이거나 진실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된다. 우리가 앎에 머물게 되면 시간이 떨어져 나가고, 자아도 떨어져 나가면서, 고통받는 놈이 해탈한다. 우리는 다만 이 모든 걸 알아차릴 뿐이다. 아는 놈이 이 모든 걸 지켜봄으로서 자애로운 각성이 모든 일 즉, 권태와 흥분, 두려움과 신뢰, 기쁨과 고통, 탄생과 죽음을 여유롭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자애와 함께 하는 알아차림으로 다시 또 다시 돌아오라. 아는 자로 돌아오라. 거기에 당신의 진정한 고향인 지혜와 은혜의 중심이다.
-잭 콘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