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후 연나라에 현명한 장수 진개가 있어 호(胡)에 볼모로 갔는데 호가 매우 신임했다. 돌아와 동호를 습격해 격파하니 동호가 천여 리를 물러났다. 형가와 함께 진시황을 암살하려 했던 진무양이 진개의 손자이다. 연나라는 장성을 쌓기도 하였는데, 조양에서 양평까지이다. 상곡, 어양, 우북평, 요서, 요동군을 설치하여 호를 막았다.
其後燕有賢將秦開 爲質於胡 胡甚信之. 歸而襲破走東胡 東胡卻千餘里. 與荊軻刺秦王秦舞陽者 開之孫也.燕亦築長城 自造陽至襄平 置上谷 漁陽 右北平 遼西 遼東郡以拒胡.
<史記> "匈奴列傳"
조양은 연나라의 장수 진개가 동호를 공격하여 천여리의 땅을 빼앗았을 무렵 연나라가 쌓았다고 사서에 전해지는 연장성의 기점이다. 조양에 대하여 그 위치가 대체로 지금의 북경시 서북쪽의 장가구시 일대인 것으로 학계의 의견이 수렴한 듯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대략적인 추정일 뿐 주장을 뒷바침 할만한 뚜렷한 사료적 근거나 단서가 있어서는 아니다.
사고가 말하기를 "조양은 지명으로 상곡의 경계에 있고 양평은 즉 요동의 치소이다"라고 했다.
師古曰 造陽地名在上谷界 襄平即遼東所治也.
<前漢書> 卷94上
전국때 조나라의 공자 가(嘉)가 스스로 대(代)왕이 되어 군사를 상곡에 주둔시켰다. 진나라가 대(代)를 멸하고 상곡군을 설치하였다. 옛 보정, 역주, 선화이고 순천과 하간의 일부에 미친다. 모두 다 그 지역이다.
戰國時趙公子嘉自立為代王 軍上谷. 秦滅代 置上谷郡. 舊保定, 易州, 宣化, 及順天, 河間
之一部. 皆其境.
中国古今地名大辞典 (上谷郡)
조양은 선화(宣化)에 있었다. 지금 그땅은 변방의 바깥으로 더욱 멀리 동떨어져 나가 있지만, 진한(秦漢) 때에는 상곡군의 장성, 즉 거용(居庸)관 등 내삼관(内三闗)의 변경이었다.
造陽在宣化. 今其地尚懸出邊外 秦漢時上谷郡之長城 即今居庸等内三闗之邊牆.
<欽定熱河志> 巻56
명대(明代)로부터 지금까지 하북성 경내 내장성(內長城)을 따르는 거용관(居庸關), 자형관(紫荊關), 도마관(倒馬關) 등 한 부류의 3관문이 내삼관(內三關)을 이루었다.
明代時以現今河北省境內沿內長城一路的居庸關, 紫荊關, 倒馬關 三關為內三關.
출처: 바이두 백과 (內三關)
위 사료들에 의하면 조양은 북경시 서북쪽의 거용관에서 서남 방향으로 자형관을 거쳐 하북성 보정시 서북부의 도마관까지 내장성을 따라 이어지는 경로에 근접한 어딘가에 있었다. 장가구시에서 남쪽으로 한참을 내려온 보정시 서북부 일대까지도 조양의 후보지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현 학계의 견해와는 사뭇 차이가 있다.
<태강지기>에 이르기를 "진(秦)장성은 오원(五原)의 북쪽 9리를 조양(造陽)이라고 한다"고 했다.
<太康地記> "秦塞 自五原北九里謂之造陽".
<史記索隱> 匈奴列傳
<진태강지리기>에 이르기를 "오원새(五原塞)의 북쪽 9리에 있다. 조양(造陽)이라고 한다"고 했다.
<晉太康地理記> "在五原塞之北九里 謂之造陽".
<太平寰宇記> 卷71
<진태강지기>에 이르기를 "진(秦)장성에는 오원군(五原郡)북쪽 9리에 조양(造陽)이라는 지명이 있다"고 했다.
<晉太康地記> "秦塞 自五原郡北九里地名造陽".
<御批資治通鑑綱目> 卷2上
<사기(史記)> "흉노열전(匈奴列傳)" 백납본(百衲本) * <진태강지리지>에서 인용한 조양의 위치가 오원의 북쪽 900리라고 기록된 사료의 판본들도 보이지만, 신뢰할만한 백납본 이십사사(二十四史)의 <사기> "흉노열전"을 따랐다.
여러 문헌 사료에서 조양과 관련된 오원이라는 지명이 보인다. 오원, 오원새, 또는 오원군으로 나타나는데, 모두 <진태강지리지>에서 기원한 기록들인 것으로 미루어 동일한 곳을 가리키는 지명들일 것이다. 오원으로부터 불과 9리의 거리에 조양이 있다고 했으니 오원과 조양은 서로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한서지리지>에 이르기를 "대군(代郡)에 오원관(五原闗)이 있다"고 했다. ..... 오원은 옛부터 오원관이 있었던 연유로 군(郡)이 되었다.
<漢書地理志> "代郡有五原闗". ..... 五原舊有五原闗因為郡.
<李太白集注> 巻5
자형관(紫荆闗)은 역주 서쪽 80리에 있다. 즉 한(漢)나라의 오원관(五原闗)이다. 일명 자장관이다. 송(宋)나라 때에는 또한 금파관이라 했다. <방여기요>에 이르기를 "송나라 사람들은 자형관을 금파관이라 불렀다"고 했다. 후에 산에 자주빛 가시나무가 많다고 하여 (자형관으로) 개명하였다.
紫荆闗在易州西八十里即漢之五原闗也. 一名子莊闗. 宋時亦曰金坡闗. <方輿紀要>紫荆闗宋人謂之金坡闗. 後以山多紫荆樹改名為.
<畿輔通志> 卷41
오원(五阮)은 즉 오원(五原)이다. <설문해자>에 "원(阮)은 대군(代郡)의 오원관(五阮關)이다"라고 했다.
五阮即五原. 説文阮代郡五阮關也.
<通雅> 卷16
<설문해자>에 "대군(代郡)의 오원관(五阮關)이다"라고 했다. <전한지리지>에는 오원(五原)으로 되어있다. <정음>에 "원(阮)은 원(原)의 옛 글자이다"라고 했다. 또 <광음>에 "오원군(五阮郡)"이라고 했다. <전한지리지>에는 오원군(五原郡)으로 되어있다.
<說文> 代郡五阮關也. <前漢地理志> 作五原. <正韻> 阮, 古原字. 又 <廣韻> 五阮郡. <前漢地理志> 作五原郡.
<康熙字典> 阜部 四 "阮"
어떤 곳을 구새라고 말하는가. 태분, 명액, 형원, 방성, 효, 정형, 영자, 구주, 거용이다.
何謂九塞 大汾, 冥阨, 荊阮, 方城, 殽, 井陘, 令疵, 句注, 居庸.
<吕氏春秋> 卷13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 "阮"
조양 및 관련 지명 위치도
한편 보정시 역현의 서쪽에 위치한 자형관은 진개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여불위(呂不韋)에 의해 서기전 239년에 편찬된 <여씨춘추>에 형원(荊阮) 이라는 이름으로 문헌상에 처음 등장하는데, 한대(漢代)의 명칭은 오원관(五原闗) 또는 오원관(五阮關)이다. 천하구새(天下九塞) 가운데 하나에 들고 <설문해자>에 오원관을 가리키는 글자가 따로 있을 정도로 유서가 깊은 관문이다. 위 <李太白集注>의 기록에 비추어 볼 때 지금의 자형관 일대에는 전한(前漢)대 이전에 오원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오원군(五原郡)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진태강지리지>의 기록상에 나오는 조양의 인근에 위치했던 오원은 오원관 즉, 보정시 역현의 자형관과 연관된 지명으로 보는 것이 당연하다. <欽定熱河志>에 조양이 자형관이 포함된 내삼관의 변경에 있다고 하지 않았는가!
자형관에 인접한 역현(易縣) 당호진(塘湖鎮) 인의장(仁義庄)의 과라타(科罗坨) 봉우리는 "역수장성"(이른바 연남장성)의 서북쪽 기점이다. 자형관의 협로가 과라타 바로 앞까지 이어진 점에 미루어 애초에 "역수장성"은 당시의 군사적 요충지였을 것이 분명한 오원관을 염두에 두고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다면 혹시 오원새가 바로 "역수장성"의 (지금은 잊혀진) 본래 이름이 아닐까?
여하튼 오원관과 조양의 관련성과 그 실상에 따르면 연장성의 서단 조양은 지금의 보정시 역현의 자형관 일대이고 따라서 그 곳에서 동남 방향으로 보정시 서수현 수성진까지 이어진 "역수장성"의 실체는 바로 진개의 연장성(고로 진장성)이 틀림없다고 생각된다.
참고로 노룡새의 절대 위치를 이용하여 찾아낸 진개 연장성의 동단 즉 양평의 위치가 정확히 지금의 보정시 서수현 수성진에 비정된다는 사실은 본 글에 논의된 내용에 대한 교차 검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 노룡새(盧龍塞)의 절대 좌표 (댓글 포함)
오원군은 진(秦)나라의 구원군이다. 무제 원삭 2년(서기전 127년)에 이름을 고쳤다.
五原郡 秦九原郡. 武帝元朔二年 更名.
<前漢書> 卷28下
한나라는 또한 상곡의 두벽현 조양 땅을 버려 호(胡)에게 주었다. 이 해가 원삭 2년(서기전 127년)이다.
漢亦棄上谷之斗辟縣造陽地以予胡. 是嵗 元朔二年也.
<前漢書> 卷94上
얼핏 보면 위 <전한서> 두 구절의 내용이 한무제 원삭 2년에 각각 일어난 서로 관련없는 사건들에 관한 것인 듯 보인다. 하나는 구원군(九原郡)의 이름을 오원군(五原郡)으로 개명한 일이고, 다른 하나는 상곡의 조양 땅을 동호에게 준 일이다. 물론, 사서에는 마치 동호에게 땅을 선사한 것 처럼 기록되어 있지만, 실은 무력을 동원한 동호에게 빼앗긴 것일 것이다. 여하튼, 과연 이 사건들은 아무런 연관이 없었을까?
앞서 소개한 <御批資治通鑑綱目>와 <李太白集注>의 기록들을 다시 한번 살펴보자.
<진태강지기>에 이르기를 "진(秦)장성에는 오원군(五原郡)북쪽 9리에 조양(造陽)이라는 지명이 있다"고 했다.
<晉太康地記> "秦塞 自五原郡北九里地名造陽".
<御批資治通鑑綱目> 卷2上
<한서지리지>에 이르기를 "대군(代郡)에 오원관(五原闗)이 있다"고 했다. ..... 오원(五原)은 옛부터 오원관(五原闗)이 있었던 연유로 군(郡)이 되었다.
<漢書地理志> "代郡有五原闗". ..... 五原舊有五原闗因為郡.
<李太白集注> 巻5
기록의 내용을 종합하면 오원관 즉, 지금의 자형관 근처에 오원군과 조양이 있었다. 그런데 여기서 생기는 의문은 "왜 하필이면 조양을 동호에게 빼앗긴 바로 그 해에 조양에 인접한 오원군의 이름을 가져다가 한참 멀리 떨어져있는 내몽골의 구원군을 개명하였을까?" 이다. 정황상 단순한 개명이었을 리는 없다고 생각된다. 즉 원삭 2년에 조양과 함께 인접한 오원군 역시 동호에게 함락 당했거나 또는 조양이 동호로 부터 공격 당하는 와중에 오원군 역시 심한 타격을 입고 더 이상 군을 유지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 구원(九原) 지역으로 사실상 이치(移置) 되었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
어찌 되었든 서기전 127년 한무제에 의해 구원군(지금의 내몽골 五原縣 일대)이 오원군(五原郡)으로 개명되면서 오원(五原)이란 지명은 하북성 보정에서 차츰 잊혀져 소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첫댓글 염불암님:
>지구인님 주장대로라면 진개가 조선의 서방을 빼앗아 설치한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이 위 붉은선 좌측에 >있어야 되고 그 전까지는 그곳이 조선지역이 되어야 는데,
>진개의 조선 침공 전에 연나라의 都城(燕下都를 말하는 것이 아님)은 지금의 北京市 서남
>房山區에 있는 琉璃河地인데,
>
>위 지도에 의하면 연나라 수도는 秦開의 朝鮮 공격 前이나 後나 연나라 영역에 속하지 않는데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가요?
연장성을 쌓은 세력은 연장성 축조 이후에 자형관을 확보하게 된 세력이 틀림없습니다. 연장성과 자형관의 상대적 위치로 보면 연장성 이북/이동 (위 지도의 붉은 점선 우측) 세력이지요. 즉 연나라 세력입니다. 따라서 5군은 위 지도상의 연장성 이북/이동에 설치되었다고 보아야 하겠지요. 한가지 유의 할 점은 <사기> 흉노열전의 기록대로라면 진개가 침략한 나라는 조선이 아니고 동호라는 것입니다.
방산의 유리하 유적은 (중국 학계의 통설에 의하면) 서주(西周)연(燕)의 시봉지(始封地)로 시작하여 서주 중기 이후에 폐지 되었습니다.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그렇습니다.
염불암님:
>전국시대에 소진이 연나라 문후에게 燕東有朝鮮遼東 北有林胡樓煩 西有雲中
>九原 南有呼陀易水地 方二千餘里 라는 말을 하였고, 그 뒤 연 소왕 때까지도
>연나라 수도는 같은 곳 즉 薊 현재의 북경시 서남인 방산구 방면에 있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지구인님은 진개가 조선을 침공한 b.c 281년경 연나라 수도를 어디로 보고 있습니까?
>사기 흉노전 문구와 사기 조선전 문구를 서로 대비해 보아 진개가 침공한 나라는
>동호 일명 조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비자> "유도"편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연나라 양왕은 황하를 경계로 하고 계(薊)를 수도로 하여 탁과 방성 습격하고 제를 멸하고 중산을 평정하였다. 연나라와 함께 하면 세력을 얻고 연과 우의가 없으면 경시되었다. 그러나 양왕이 죽자 이내 연도 쇠망해 갔다. 燕襄王以河為境,以薊為國,襲涿、方城,殘齊,平中山, 有燕者重,無燕者輕, 襄王之氓社稷也, 而燕以亡." 『韓非子』 "有度"
연나라의 양왕(襄王)은 소양왕(昭襄王) 즉 소왕(昭王)을 말합니다. 소왕 때 계(薊)를 수도로 삼았다고 했고 소왕 때 연나라의 수도는 연하도(燕下都)이니 계(薊)는 연하도로 봅니다.
@지구인 동호를 조선의 일족으로 볼 수는 있겠습니다. 다 아는 내용이지만, 동호를 조선 그 자체로 본다면 왜 사마천은 진개의 침략을 조선열전이 아닌 흉노열전에서 언급 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 밖에 없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