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포로 빠지다. 삼천포에 미치다.
남해안에 자리 잡은 항구로서 살 만한 곳은 ‘한국의 나폴리’라고 불리는 통영과 여수를 꼽는다. 하지만, 남해에 다리가 놓이고 대전-통영간 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삼천포(三千浦)는 3번 국도가 시작되는 곳이면서, 어느 곳에 빠지지 않는 아름다운 항구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줄을 잇고 찾고 있는 곳이다.
그런데 어쩌다 “잘 나가다 삼천포로 빠진다”는 우스갯소리 때문에 사천시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이름이 바뀌게 된 그렇게 된 연유가 여러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장사꾼이 장사가 잘 되는 경남 진주로 가던 길에 길을 잘 못 들어 장사가 잘 안 되는 산천포로 가게 되어 낭패를 보았다는 이야기다.
또 하나는 삼천포가 남해 끝에 있기 때문에 잘 못 가게 되면 더 이상 길이 없어서 돌아 나와야 되기 때문에 그런 말이 생겼다고 한다.
삼천포는 원래 행정의 중심지로 발달한 것이 아니고 한갓진 포구에 지나지 않았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야 겨우 면이 된 곳이다.
그런 연유로 행정구역상 진주, 사천, 고성에 번갈아 소속되기도 했었다. 1956년에 시로 승격되고 1966년 개항된 삼천포시는 우리나라의 어느 항구도시보다 비린내가 많이 진동하는 도시이다. 선구동에 자리 잡은 어판장에서 갈치, 멸치, 삼치, 고등어, 전어 등의 여러 생선들이 내는 냄새이기도 하지만 삼천포의 명물인 쥐치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풍기는 것이기도 하다.
지금은 남해 연안의 싱싱한 횟감(자연산과 양식) 소문이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남해를 잇는 삼천포대교가 개설되면서 남해 금산이나 통영과 연계 관광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다. 한려수도의 중심 항구이자 수산물의 집산지로 이름이 높은 삼천포는 기후가 온난하고 한려수도의 빼어난 경관이 감싸고 있어 새로운 관광지로 떠오른 것이다.
그렇다면 앞에서 말한 부정적인 말, “잘 나가다 삼천포로 빠진다” 이 말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있다. 발상의 전환만 하면 된다. ‘빠진다.’는 것은 그만큼 어떤 사물이나 장소, 그리고 설명할 수 없는 마력에 빠져서 헤어 나올 수 없다는 말이다. ‘도박’일 수도 있고, ‘마약’ 일수도 있고, ‘사랑’이나 ‘도벽’ 또는 ‘예술’일 수도 있다.
“삼천포의 경치에 빠지다.
‘삼천포의 맛에 빠지다.
‘삼천포의 사람에 빠지다.‘
’삼천포의 인정에 빠지다.‘
그래서 삼천포에 빠져 도박을 하는 사람들이 도박장을 쥐가 쥐구멍 드나들 듯, 사랑을 하는 사람들이 오로지 사랑 밖에 다른 세계가 없듯이 자주 찾아오는 것, 그것이 오늘날의 모든 지방자치단체들의 꿈이자 로망이 아닐까?
‘빠진다.’는 것은 또 다른 의미에서 본다면 ‘그것에 미친다.’는 것이 아닐까? 무엇인가 또는 어딘가에 마음이 빼앗겼을 때는 다른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바라보는 모든 사물들이 모두 동일한 관심의 영역 안에 있고, 다른 모든 것들은 관심의 영역 안에서 추방당하고 만다.
무엇인가, 혹은 어딘 가나, 누구인가에, 마음이 빼앗긴 상태, 그때 사람들은 어딘가에 ‘빠졌다.’ ‘미쳤다.’ ‘홀렸다,’ 고 표현한다. “미친다는 것은 근본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라고 내게 말했던 어느 스님의 말을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바로 지금이지 다른 시절은 없다.” 라는 임제선사의 말이나. ’멈추어라! 순간이여! 너 정말 아름답구나.‘ 라고 파우스트가 했던 말은 그때가 바로 전체를 걸 수 있는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삼천포는 ‘삼천포로 빠지다.’ 라는 말만 가지고도 나라 안에서 어느 도시와도 비교할 수 없는 무한한 가능성과 매력을 지닌 도시가 아닐까?
수십 년을 이 나라 산천을 헤매고 다닌 나 역시 반쯤은 삼천포에 빠져 삼천포로 가고 그곳이 고향인 박재삼 시인의 시를 좋아해서 읊조리곤 한다.
어딘가에 빠진다는 것 미친다는 것은 그만큼 경탄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 중요한 것은 그것이다.
“눈물뿐인 이 세상은, 그러나 저토록 아름다운가?”
문득 박재삼 시인의 시 한 구절이 떠오르면서 삼천포를 향해 길을 나서고 싶다.
병신년 오월 초열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