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의 연대는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자신을 계시하신 사건들을 담고 있는 구속사적 시간이므로, 연대를 바르게 정리하여 하나님의 말씀과 역사적 사건들과의 관계를 밝히는 일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특히 이스라엘 열왕들의 연대는 이스라엘이라는 한 국가의 역사요,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되어 온 구속사이므로 더욱 그렇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제 2기에는 14명의 왕들이 등장하는데(마 1:6-11), 시대적으로는 통일왕국 시대 중 다윗·솔로몬 시대, 그리고 분열왕국 시대에 해당됩니다. 이 왕들의 통치 연대를 계산하기 위하여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 전체 열왕들의 통치 연대를 계산하는 성경적인 근거와 방법을 정확하게 규명해야 합니다.
성경은 남 유다 왕 20명과 북 이스라엘 왕 19명 모두 통치한 햇수를 빠짐없이 기록하고 있는데,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 각각의 ‘역대지략’은 서로 다른 연대 계산 방식에 따라 왕의 통치 연도를 기록하였습니다. 따라서 ‘즉위년 방식과 무즉위년 방식’, ‘니산월(아빕월)’과 ‘티쉬리월(에다님월)’, ‘섭정과 공동통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열왕들의 통치 연대를 잘 조화시켜야 합니다.
1. 즉위년 방식과 무즉위년 방식의 이해
북 이스라엘은 왕이 즉위한 그 해부터 통치 기간을 계산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즉위년을 따로 두지 않고 선임 왕을 이어 즉위한 해를 통치 1년으로 계산하는 방식을 가리켜 ‘무즉위년’ 방식이라고 합니다.
이와 달리, 남 유다는 ‘즉위년’을 따로 두어, 즉위한 해는 통치 햇수에 포함시키지 않고 그 다음 새해 첫 달 첫 날부터 통치 기간으로 계산하였습니다. 이것을 ‘즉위년’ 방식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갑’이라는 왕이 2008년에 왕이 되었을 때, 즉위년 방식과 무즉위년 방식으로 각각 계산하면 통치 연대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대 계산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남 유다의 역대지략과 북 이스라엘의 역대지략에 기록된 실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열왕기상 15:9 “이스라엘 왕 여로보암 제 20년에 아사가 유다 왕이 되어”
열왕기상 15:25 “유다 왕 아사 제 2년에 여로보암의 아들 나답이 이스라엘 왕이 되어...”
열왕기상 15:9은 남 유다의 역대지략에서 나온 것이므로(왕상 15:23), 즉위년 방식이 적용된 경우입니다. 즉위년 방식에 따라 아사 즉위년이 여로보암 통치 제 20년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당시 무즉위년 방식을 따르던 북 이스라엘 기준에서 본다면, 아사가 즉위한 해가 실제로는 여로보암 통치 ‘제 21년’이 되는 것입니다.
열왕기상 15:25은 무즉위년 방식을 따른 북 이스라엘의 역대지략에 나온 것이므로(왕상 15:31), 아사 제 2년이 여로보암의 아들 나답이 즉위한 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즉위년 방식을 따른 남 유다 편에서 본다면 나답이 즉위한 해는 아사 제 1년이 됩니다.
이처럼 실질 통치 햇수로 보면 즉위년 방식의 남조에 비해 무즉위년 방식의 북 이스라엘의 통치 연대가 1년씩 더해져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남 유다나 북 이스라엘 모두 상대 나라의 통치 연대까지도 각각 제 나라의 계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은 무즉위년 방식과 즉위년 방식을 지속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외교적 상황에 따라 중간에 바꾸어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① 남 유다의 통치 연대 계산 방식
남 유다는 제 1대 르호보암 왕부터 제 4대 여호사밧 왕까지 즉위년 계산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여호사밧 시대에 북조와 연혼하면서 동맹 관계가 이루어지자(대하 18:1), 북조의 영향을 받아 무즉위년 방식을 따라 기록하였고, 아마샤 왕 때부터 다시 즉위년 방식으로 돌아왔습니다.
② 북 이스라엘의 통치 연대 계산 방식
북 이스라엘은 왕국이 갈라지던 여로보암 때부터 남 유다와 차별적으로 무즉위년 방식을 쓰다가, 남 유다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요아스 왕 때부터 즉위년 방식으로 바꾸어 사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여로보암 왕부터 제 11대 여호아하스 왕 까지는 무즉위년 방식을 따라 계산하였으나, 제 12대 요아스 왕부터 마지막 호세아 왕 까지는 즉위년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의 ‘무즉위년 방식’ 또는 ‘즉위년 방식’의 변동에 맞추어 연대를 계산하면, 서로의 통치 연도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맞아 들어가게 됩니다.
통치 연대 계산에 있어서 또 한 가지 중요한 기준은, 이스라엘과 유다가 왕의 통치한 해의 시작을 연중(年中) 어느 시기부터 잡는가 하는 것입니다.
2. 니산월과 티쉬리월
이스라엘은 종교력으로는 유월절이 있는 니산(아빕)월(제 1월. 느 2:1, 에 3:7, 참고-출13:4, 23:15, 34:18, 신 16:1)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였으며, 민간에서는 이른 비가 내려서 밭갈이를 시작하는 티쉬리(에다님. 왕상 8:2)월(제 7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잡았습니다. 그런데 나라의 국정 운영은 백성들의 농업 활동과 밀접한 연관을 갖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티쉬리월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남북 왕국으로 분열한 이후, 다윗 왕가가 계속해서 통치했던 남 유다는 티쉬리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하였지만, 북 이스라엘은 남 유다와의 분리를 위해서 월력 기준을 니산월로 변경하였습니다.
남 유다는 티쉬리월을 기준으로 왕의 통치 연대를 계산했는데, 그 증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솔로몬 성전 건축은 제 4년 시브월에 기초를 쌓기 시작하여 제 11년 불월에 완공되었습니다. 이 기록을 기준으로 성전 건축 기간을 계산할 때, 니산월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8년(정확히 7년 6개월)이지만 티쉬리월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7년(정확히 6년 6개월)이 나옵니다. 따라서 열왕기상 6:38에 성전 건축 기간을 7년이라고 기록한 것은 남 유다가 솔로몬 때부터 이미 티쉬리월을 사용하였음을 보여줍니다.
② 요시야가 제 18년에 성전 수리를 비롯한 대대적인 종교 개혁을 시작했는데, 그것을 모두 마친 후 요시야 18년 니산월에 유월절 행사를 거행하였습니다. 성전 수리, 율법책의 발견, 언약 준수의 다짐, 대대적인 우상 제거 등 많은 일들이 요시야 제 18년 한 해에 그것도 니산월 전에 행해진 것을 볼 때 남 유다는 확실히 티쉬리월을 기준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③ 느헤미야가 아닥사스다 왕 20년 기슬르월(9월, 느 1:1)에서 4개월이 지난 니산월을 아닥사스다 왕 21년이 아니라 20년(느 2:1)이라고 표현한 것은 왕의 통치 연대를 티쉬리월부터 계산하는 유대식 방법에 따른 것입니다.
이와 달리 북 이스라엘은 왕의 통치 기간을 계산할 때 유월절이 있는 니산월을 첫 달로 사용하였습니다. 북 이스라엘이 왕의 통치 연대를 계산할 때 니산월부터 시작하는 월력 체계를 따랐다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왕들의 통치 연도와 그들의 대조 연대를 종합적으로 볼 때, 북 이스라엘은 니산월을 기준으로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북조 여로보암 왕은 남 유다에 대항하고 남 유다와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 남 유다에서 쓰던 월력을 따르지 않고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던 니산월을 따랐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과 같이 북 이스라엘이 남 유다에 비해 6개월이 앞서 진행되면서, 통치 기간이 1년씩 빨라지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구속사 시리즈에서는 통치 연대를 계산할 때, 남조와 북조 각각 자기 왕조의 연대 계산 방식에 따라 계산하였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에서는 역사적 형편과 정황에 따라 동시대에 두 왕이 통치하는 섭정이나 공동통치의 기간이 있었습니다.
3. 섭정(攝政)과 공동(共同)통치의 이해
섭정(攝政) 군주 국가에서 국왕이 어려서 즉위하거나 병 또는 그 밖에 사정이 생겨 직접 통치할 수
없을 때, 국왕을 대리해서 국가의 통치권을 맡아 나라를 다스리는 일 또는 그 사람
공동(共同)통치 둘 이상의 국왕이 공동으로 통치 또는 관리하는 일
섭정이나 공동 통치는 북 이스라엘보다 남 유다에 많이 있었습니다. 심지어 남 유다의 경우, 주전 743-739년에 웃시야, 요담, 아하스 세 왕이 약 5년간 함께 통치하는 때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같은 시기의 북조와 남조 왕들의 통치 연대를 각각 합산해 보면, 남 유다는 겹치는 연대가 많아 그 합산한 통치 연도가 북조보다 월등히 많은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조 유다의 아마샤(제 9대)부터 므낫세(제 14대)까지 통치 기간을 그대로 합산하면 197년(29+52+16+16+29+55)이지만, 여섯 왕이 통치한 실제 연수는 154년(주전 796-642)년으로, 43년의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43년은 여섯 왕의 실제 역사에서 공동 섭정으로 통치한 기간 때문에 중복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공동 섭정은 인정하지 않고 단독 통치한 것만을 기준으로 통치의 첫 해를 계산하기도 했다는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 북조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남조 아사랴가 즉위한 때를 그 아버지 아마샤와의 공동 섭정 통치가 끝나고 단독 통치가 시작될 때로부터 계산하여, ‘여로보암 제 27년’(왕하 15:1)이라고 기록하였습니다.
실제 공동 섭정으로 통치한 경우는 남 유다에서 일곱 번, 북 이스라엘에서 세 번 발견됩니다.
참고) 성경에 기록된 공식 통치 기간 외의 공동 섭정 기간이나 단독 통치 기간은 시작되는 해와 끝나는 해를 포함하여 계산
1) 남 유다의 공동 섭정 통치
아사 - 여호사밧, 여호사밧 - 여호람 |
유다 왕 아사가 왕이 된 지 39년에 그 발이 병들어 심히 중할 때, 그 아들 여호사밧이 3년간(BC. 871-869) 공동 섭정하였습니다(왕상 15:23, 22:41-42, 대하 16:12-13). 여기 3년의 공동 섭정 기간은 여호사밧의 공식 통치 기간 25년에 포함되었습니다(왕상 22:42).
그리고 여호사밧이 북 이스라엘의 아합과 연합하여 아람을 치러 나가는 전쟁을 계기로 그 아들 여호람이 7년간(BC. 853-847) 공동 섭정하였습니다(왕상 22:2-29). 열왕기하 8:16에서 “여호사밧이 오히려 위에 있을 때에 그 아들 여호람이 왕이 되니라”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여호람의 공동 섭정 7년은 그의 공식 통치 기간 8년(왕하 8:17, 대하 21:5, 20)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아마샤 - 아사랴 (웃시야), 아사랴 (웃시야) - 요담 - 아하스 |
아마샤가 북 이스라엘 요아스와의 전쟁에서 패한 후 포로로 끌려가자, 그의 아들 웃시야(아사랴)가 25년간(BC. 791-767) 섭정하였습니다(왕하 14:2, 8-14, 15:1-2, 대하 25:17-25, 26:1-3). 여기 25년은 웃시야의 공식 통치 기간 52년에 포함되었습니다(왕하 15:2, 대하 26:3). 아마샤는 약 10년의 포로생활을 하고, 귀환하여 약 15년간 생존하였습니다(왕하 14:17, 대하 25:25).
웃시야(아사랴)가 문둥병에 걸리자, 그 아들 요담이 12년간(BC. 750-739) 섭정하였습니다(왕하 15:5-7, 32, 대하 26:16-23). 여기 12년은 요담의 공식 통치 기간 16년에 포함되었습니다.
주전 743년, 웃시야(아사랴)가 살아 있고 요담이 섭정을 하고 있을 때, 아하스가 요담 밑에서 부섭정을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웃시야가 죽기 전, 주전 743-739의 5년간은 웃시야, 요담, 아하스 세 왕이 함께 통치한 것입니다.
요담이 공식 통치 16년을 마치기까지(BC. 735) 아하스는 부섭정을 하였고, 요담은 왕위를 아하스에게 넘겨주고 물러났지만 주전 731년까지 살아 있으면서 공동 통치하였습니다(왕하 15:30). 따라서 요담과 아하스는 13년간(BC. 743-731) 공동 섭정으로 통치한 것입니다.
주전 735-731년은 남 유다의 공식 통치 기간에서 빠져 있는데, 그 이유는 이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이방 민족의 침공을 받아 국토 전역이 유린을 당하고 수많은 백성이 희생되었기 때문입니다(왕하 15-16장, 대하 28장).
또한 웃시야(아사랴)와 아하스와의 공동 통치기간을 제외하고 보면, 요담의 단독 통치기간은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하스 - 히스기야, 히스기야 - 므낫세 |
아하스가 그 아들 히스기야와 15년간(BC. 729b-715)공동 섭정으로 통치하였습니다(왕하 16:1-2, 18:1, 9-10). 이 기간은 아하스의 통치 기간 16년에 포함되었으며, 히스기야의 공식 통치 기간에서는 제외되었습니다.
히스기야가 병들어 죽게 되었다가 15년간 생명을 연장받은 이후(왕하 20:1-6) 6년째(히스기야 44세, BC. 696)에, 그 아들 므낫세를 어린 나이(12세)에 왕위에 올려 11년간 공동 섭정으로 통치하였습니다. 그 기간은 므낫세의 총 통치 기간 55년(왕하 21:1, 대하 33:1)에 포함되었습니다.
2) 북 이스라엘의 공동 섭정 통치
디브니, 오므리 |
오므리 왕이 통치한 기간 총 12년 가운데, 디브니와 다른 지역(디르사)에서 분할 통치한 기간이 5년이요, 단독 통치한 기간은 8년입니다(왕상 16:21-23).
요아스 - 여로보암 2세 |
요아스 왕은 남조 아마샤 왕과의 전쟁에 참가하기 전, 만일을 대비해 아들 여로보암 2세를 왕의 자리에 앉혀 주전 781년까지 13년간 공동 섭정하게 했습니다(왕하 13:10-13, 참고-왕하 14:8-23, 대하 25:17-25). 이 13년의 기간은 여로보암 2세의 총 통치기간 41년에 포함됩니다(왕하 14:23).
므나헴, 베가 |
므나헴과 베가가 동시대에 두 지역에서 각각 통치하였습니다. 베가는 길르앗을 장악하여 약 20년간 다스렸고(왕하 15:27), 그 기간 전반부에 므나헴은 사마리아에서 약 10년간 다스렸으며, 브가히야는 므나헴을 이어 약 2년간 사마리아를 다스렸습니다(왕하 15:17, 23, 27).
여기서 유의할 점은, 섭정한 기간을 공식 통치 기간에 포함할 경우 섭정을 시작한 해는 ‘즉위년’이 아니라 ‘통치 첫 해’로 계산된다는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 북 이스라엘의 여로보암 2세의 통치 연수 41년은 섭정을 시작한 해부터 계산됩니다. 남 유다의 여호사밧, 요담, 므낫세의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예외적으로 아사랴는 섭정으로 즉위하였으나, 부왕 아마샤가 포로로 끌려가 왕위가 공석이었으므로 즉위한 첫 해를 즉위년으로 계산합니다.
이상과 같은 통치 연대 계산 방식들을 적용할 때, 복잡하게 꼬여 있는 듯한 여러 통치 연대는 역사적 사건과 맞물려 너무도 정확하게 연대적 순서에 따라 배열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성경에 기록된 모든 연대는 절대 오류가 없으며, 그 연대가 도리어 하나님의 말씀이 정확무오하며 정밀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음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출처] 왕들의 통치연대, 어떻게 계산하는가|작성자 느헤미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