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29일부터 올해 1월4일까지 1주일간 울산 지역에서 발생한 호흡기 감염병 환자 숫자가 전국 평균치를 약 50% 초과했다. 이 기간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찾은 외래환자 1천 명당 독감, 코로나19 등 호흡기 감염 환자는 전국 평균 99.8명이다.
그런데 울산 지역은 149명이다. 약 50명 더 많다. 울산에 있는 6개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된 숫자가 이 정도다. 실제 숫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수 있다. 전국 소득 1위 도시에다 산업 수도로 자칭하는 울산에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는가.
우려스러운 상황은 지난해 12월29일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22일부터 28일까지 발생한 감염병 환자는 전국 평균(73.9명)과 비슷한 외래환자 1천 명당 약 72.6명이다. 그런데 29일 이후 1주일간 이보다 2배 이상 많은 약 149명이 감염됐다. 20%~30%도 아니고 200% 이상 폭증했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 다중 밀집 시설에서 감염된 사람이 가정에서 바이러스를 퍼트리고 또 다른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독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감염시켰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이런 호흡기 감염병 환자 속에 독감 환자와 코로나19 감염자가 뒤섞여 있다는 점이다.
백신 접종으론 호흡기 감염병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관련 의료계의 주장이다. 백신을 맞아도 독감,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결국 이런 집단 감염 추세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등 기존 1차원 적 방식이 아닌 새로운 도시 방역체계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지자체가 누누이 백신 접종을 권유하고 각종 홍보 전략을 펼쳐도 울산시가 전국 최고 수준의 감염률을 나타내고 있는 만큼 새로운 시도는 반드시 필요하다.
감염에 취약한 65세 이상 고위험군, 감염 취약 시설에 입원·입소하는 환자 등에 대한 대규모 방역 대책이 시급히 수립돼야 한다. 더 이상 감염 환자가 급증하는 시기에만 대책 마련에 골몰할 일이 아니다. 대규모 독감·코로나 19 감염은 이미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때문에 노인 복지관, 요양 시설, 임산부 시설, 어린이 돌봄 센터 등 다수가 밀집하는 곳부터 집단 방역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이런 곳에 냉·온풍기는 대개 설치돼 있다. 하지만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는 설비는 거의 갖춰져 있지 않은 게 우리 주변의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