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알고리즘)은 문제 해결을 위한 공식, 단계적 절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합리주의는 전지전능한 신의 상태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가정을 가진다.
그 만큼 완벽하다.그러나 실제 인간은 그 한계가 있다.
계산 이성 논리 이런 것들이 합리주의의 특징인 것이다.
머리는 차갑지만 마음은 따뜻하게
이런 인간들이 나올수가 있나?
논리적인 계산적인 사람이 합리주의적 인간이지.
좋게 볼수도 나쁘게 볼 수 있는 양면성이 있는 인간이지.
어떤 과정 단계를 속속들이 다 꿰뚫어야만 이런 과정과 절차를 도식화할 수가 있다.
그래야 프로그래밍을 잘 짜지.
알고있음-->어원
모든 것을 꿰뚫고 파악하고 있다는 말이다.
알파고 역시 알고 있으며 파고 있다.즉 꿰뚫고 있다.
영어가 아무리 신조어가 만들어진다한들 기본재료는 우리말에 의해 이루어진 말들이니
만들어봤자 우리말의 영역안에서 맴돌 뿐이다.
출처: 우리말로 외국어어원 풀기 원문보기 글쓴이: 나비우스
첫댓글 아직 현재 인간들은 모두 부족해 보입니다. 시작과 과정과 절차인 알고리즘이 있는 것인데 무시하더군요.알았다 → elite : 상류층 사람
무중력엔진과 신궁아토피를 만드신 분이 계신데 이에 근접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첫댓글 아직 현재 인간들은 모두 부족해 보입니다.
시작과 과정과 절차인 알고리즘이 있는 것인데 무시하더군요.
알았다 → elite : 상류층 사람
무중력엔진과 신궁아토피를 만드신 분이 계신데 이에 근접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