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에 대해 조금 설명이 필요할것 같아 댓글이 아닌 답글로 잡변을 드립니다.
1. d-sub와 hdmi단자 밖에 없다면 dvi는 연결할수 없나요?
= 연결할수 있습니다.
= dvi와 hdmi는 동일한 디지탈방식의 전송규격입니다.
먼저나온 dvi는 영상만 출력이 가능한데 비해 최근에 보편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hdmi는 음성과 영상을 같이 전송할수 있는 단자로 셋탑박스, DVD, 게임기, 디빅스, IPTV, 블루레이, 컴퓨터등등의 다양한 기기에서 표준 규격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dvi의 경우에는 hdcp문제로 dvi만 연결이 가능하지만 hdmi는 hdmi와 dvi가 모두 연결이 가능합니다.
즉 한쪽 끝은 dvi, 한쪽 끝은 hdmi로 되어 있는 hdmi-dvi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의 dvi단자와 tv의 hdmi단자를 연결해 기존의 dvi케이블을 사용한것과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dvi만 사용가능한 dvi포트와 달리 hdmi포트는 다양한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출시되는 제품들은 dvi포트를 제가하고 hdmi포트를 최대한 많이 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tv뿐 아니라 MT보드와 같은 모니터 전용보드에도 dvi포트는 아애 없으며 hdmi포트는 두개 있습니다.
# dvi와 hdmi는 같은 디지탈방식의 전달이기 때문에 두 단자간의 화질 차이는 없습니다.
# 최근의 제품들은 hdmi포트를 더 달기 위해 dvi포트를 아애 제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dvi 리시버보드가 스케일러보드보다 더 좋다?
= 글쎄요 이 부분은 함부로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리시버보드은 스케일러칩을 거치지 않고 패널에 바로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컴퓨터와 dvi로만 연결이 가능합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바로 연결하기 때문에 스케일러보드에 비해 제품간에 화질차이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케일러보드는 입력된 신호를 스케일러칩을 통해 출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제품간의 화질차이가 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 리시버보드의 단점과 스케일러보드의 단점만을 들어 리시버보드가 무조건 좋다고 말한다고 이는 잘못된 의견입니다.
먼저 리시버보드는 컴퓨터와 dvi포트를 통해서만 연결이 가능하며 그 이외에는 다른 외부기기 연결이 불가능합니다.
셋탑박스나 게임기 등등의 다른 외부기기와는 연결이 불가능합니다.
(hdcp를 푼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인터레이스신호를 정상적으로 출력할수 어렵습니다.)
화질부분에서도 다양한 조정이 가능한 스케일러보드에 비해 리시버 보드는 단순한 밝기조절등만이 가능합니다.
스케일러보드는 일부 저가형보드의 경우 화질의 좋지 못하거나 컴퓨터 호환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정상적인 고급형 보드의 경우 결코 리시버보드에 비해 화질이 떨어진다고 할수 없습니다. 오히려 스케일러보드는 밝기-명암-색농도-선명도등등의 다양한 조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외부기기등을 연결할수 있어 장점이 더 많다고 할수 있습니다.
# 칩셋이 고급화된 최근에는 일부 30인치를 제외하고는 리시버보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30인치는 리시버보드용으로 패널이 생산되어 어쩔수 없습니다. )
3. dvi가 d-sub보다 화질이 좋다?
= 이 부분은 질문자가 문의하신 내용은 아니지만 문맥상 이 부분을 가정하고 질문하신 부분이 많아 적어봅니다.
= 3-4년전 제품들에 있어서는 dvi단자의 승리가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출시된 fb보드나 lk120보드에서는 무조건 dvi(hdmi)가 좋다고 할수만은 없습니다.
최신 고급형 스케일러칩에서는 d-sub쪽의 표현력이 업그레으드 되었기 때문에 가독성에서는 차이가 전혀 없으며
날카로운 선명함에서는 dvi(hdmi)가 조금 더 낫지만 부드러움이나 눈이 편안한정도에서는 d-sub가 조금 더 낫습니다.
물론 셋팅상에 따라 다를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자신이 더 좋다고 생각하는 단자로 사용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최근의 그래픽카드에서 d-sub단자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hdmi로 모두 통합되리라 예상합니다.
# dvi(hdmi)와 달리 d-sub는 보드의 성능에 따라 화질 차이가 매우 심하며 일부 저가보드에서는 사실상 d-sub로는 1920*1080해상도로 정상 사용이 불가능할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