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진진(德津鎭)
소재지 :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355 번지
초지돈대에서 직선거리로 약 1.7km의 거리에 덕진돈대가 자리한다. 1679년에 축조된 덕진돈대는 용두돈대와 함께 덕포진의 관할에 속했다. 덕포진은 원래 강화에 있었는데 1666년(현종 7)에 통진(지금의 김포시 대곶면)으로 옮겼다. 그 자리에 덕진진이 설치됐다. 당시 강화유수 서필원의 계청으로 첨사를 통진땅 덕포로 옮기고 이곳에 별장을 두었으며, 1677년 유수 허질의 계청에 따라 만호로 승격시켰다. 덕진진 배치 인원은 만호 1명 군관 26명 사병 100명 돈군 12명 군량미 115석, 콩 26석, 첨향미 103석, 간장 5독, 진선 2척, 군기와 군용품 약간이었다.
덕진진은 1874년(고종 11)에 축조된 남장포대와 덕진포대를 관할하는, 강화해협에서 가장 강력한 포대로 강화 12진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곳을 지키고 있었다. 1866년 병인양요 때는 양헌수의 군대가 덕진진을 거쳐 정족산성으로 들어가 프랑스 군대를 격파했으며, 1871년 신미양요 때는 미국 함대와 가장 치열한 포격전을 벌인 곳이다. 그러나 초지진에 상륙한 미국 군대에 의해 점령당했다. 이때 여장과 문루가 모두 파괴되고 문루지만 남게 되었다. 1976년 성곽과 돈대를 고치고 남장포대도 고쳐 쌓았으며, 앞면 3칸·옆면 2칸의 문의 누각도 다시 세웠고, 당시의 대포를 복원하여 설치했다.
덕진돈대는 남쪽으로 온수천과 이어지는 갯골과 인접해 있으며, 서쪽으로 강화외성과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4혈 포좌를 설치했다. 돈대의 북쪽으로 15혈의 남장포대를 설치했다. 포대의 설치는 온수천으로 들어오는 적선을 막는 역할과 손돌목으로 북상하는 적선을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돈대의 내부에는 토축으로 둘려 있고 4개의 포좌를 갖추었으며, 원형은 여장이 40개로 갖추어진 둘레 90보의 석성 돈대였다. 복원하면서 여장은 복원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출입문은 평거식으로 기단석 위에 반듯하게 가공된 기석을 좌우로 놓고 그 위에 반듯한 돌을 올리고 장대석을 가로로 놓아 문을 만들었다. 입구의 안쪽에는 3단의 계단을 두었고 올라서면 평탄한 돈내 내부가 네모나게 평탄하고 돈대의 내탁은 흙을 채워 45도 경사지게 하였다. 4개의 포좌는 다듬은 돌로 반듯하게 쌓았고 성상로로 오를 수 있게 돌계단을 두었다. 정확한 여장의 형태를 알 수 없으며 상성로에는 잔디가 덮여 있다.
돈대의 외벽은 가공된 돌을 8단으로 쌓았으며 위쪽으로 쌓으면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쌓았다. 돈대의 앞쪽에는 경고비가 세워져 있는데 비에는 ‘海門防守他國船愼勿過(해문방수타국선신물과)’가 새겨져 있다. 바다의 관문을 지키고 있기에 외국 선박은 통과할 수 없다‘라는 내용이다. 이 비는 조선 고종 4년(1867년)에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강화 덕진첨사가 건립한 것으로 개화기에 외국 선박의 출입을 통제하겠다는 척화의 의지를 담고 있는 비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40cm, 너비 54.5cm, 두께 28cm이다.
덕진진의 성문인 공조루는 19세기 외세의 침탈을 제1선에서 막아냈던 성문이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운요호 사건을 거치면서 치열한 항쟁을 거치면서 성문인 공조루도 철저히 파괴되었다. 특히 신미양요 때는 미국 극동함대에 맞서 치열한 포격전을 벌였지만, 마침내 초지진에 상륙한 미해병대에 점령당하는 비운을 겪었다. 누각도 사라지고 튼튼한 방어력이 되었던 성벽과 함께 허물어져 홍예만 남았었다. 1976년 성곽과 돈대를 고치고 덕진진의 문루를 다시 세웠으며 남장포대와 당시의 대포를 복원해 설치했다. 문루의 현판은 “바다를 제어한다”는 뜻의 ‘공조루控潮樓’라고 쓰여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4면은 판벽을 하고 가운데에 판문을 달았다. 누각의 좌우에는 협문을 두어 계단을 오르내리며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성문의 천정에는 동쪽을 상징하는 구름 속의 청룡이 그려져 있다. 공조루 앞에는 우물이 있는데, 이 우물은 이곳에서 근무했던 병사들의 식수였다고 한다. 성문을 나서면 좌우로 성벽이 연결되어 있으며, 성벽 위에는 벽돌을 이용하여 하나로 연결된 연속평여장에 근총안과 원총안이 마련되어 있다.
[덕진진 입장요금 : 700원]
덕진진 위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