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 '식초'의 1석 60조 사용법
01. 무더운 여름 갈증이 날 때
물에 식초를 두 세 방울 떨어뜨려 마시면 갈증이 사라지며, 여름철 식중독 예방에 탁월하다.
02. 여름을 타는 증세에 빠지면
물을 조금씩 마시되 식초를 넣으면 좋다. 식초는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 물질의 축적과 체질
의 산성화를 방지, 여름철 질병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03. 도마에 밴 파 냄새나 손에서 나는
양파 냄새, 마늘 냄새는 식초를 탄 물로 씻으면 없어진다.
04. 김밥을 자를 때 식초에
칼을 담갔다 자르면 잘 잘라진다.
05. 오이의 쓴 맛을 빼려면 식초를 탄 물에 담가 둔다.
06. 다시마를 삶을 때 식초물에 담그면
색깔이 곱고 잘 무른다.
07. 연근, 우엉 등을 삶을 때 식초를 넣으면
아린 맛이 가시고 빛깔이 엷어진다.
08. 질긴 고기는 식초를 발라 2~3시간 두면 연해 진다.
09. 식초를 서너 방울 떨어뜨리면
달걀이 깨지지 않고 그대로 잘 삶아진다.
10. 석쇠에 식초를 바른 뒤 구우면
생선이 눌어 붙지 않고 깨끗하게 구워진다.
11. 야채와 식초가 만나면 파괴되기 쉽고
다루기 까다로운 비타민C가 오래 보존된다.
12. 시들은 야채는 물에 약간의 식초와
설탕을 탄 물에 담가 두면 싱싱해진다.
13. 마늘은 식초에 재웠다가 사용하면
냄새가 나지 않는다.
14. 과일이나 채소를 흐르는 물에 몇 번 씻은 다음
식초 탄 물에 5~10분 정도 담갔다 다시 씻으면 농약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
15. 묵은 쌀에 냄새를 없애려면 쌀을 씻을 때
식초 몇 방울을 떨어뜨리면 된다.
16. 계란지단 부칠 때 달걀에 식초를
아주 조금 넣고 부치면 프라이팬 위에서 잘 펴질 뿐만 아니라 찢어지지도 않는다.
17. 작은 조개는 식초를 2~3 방울 정도 넣은 물에
조개를 넣어두면 모래 뿐 만이 아니라 개펄의 흙 까지 빠지게 된다.
18. 김치가 덜 익었을 경우 김치찌개를 할 땐
찌개가 거의 다 끓었을 때 식초를 1/2큰술 넣어준다. 그러면 식초의 신맛이 신 김치의 맛을
내줘 맛있는 찌개를 즐길 수 있다.
19. 요리하다 남은 햄과 소세지는 잘라낸 자리에
식초를 묻힌 뒤 랩으로 싸두면 살균 효과도 있고, 맛이 가지 않는다.
20. 튀김옷에 식초를 넣으면 더 바삭해진다.
21. 지나치게 짠 음식에 식초를
몇 방울 넣으면 짠맛이 덜 해진다.
22. 식초로 외이도염을 치료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일반식초를 생리식염수와 1대1로 섞어 귀를 세척 하는 것이다. 세척액의 온도를 체
온으로 맞추면 큰 불편함이 없다.
23. 벌레가 귀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식초, 알코올, 글리세린을 떨어뜨려 벌레를 죽인 후 반드시 병원에 가서 죽은 벌레를 제거한다.
24. 밥통의 밥을 오래 보존 하려면
옮겨 담기 전에 밥통에 식초를 한 두 방울 떨어뜨린다.
25. 고혈압에는 매일 아침 식사 후
식초 한수저를 희석한 물을 한 잔 마시면 좋다. 식초는 피를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켜준다.
26. 오이를 얇게 썬 후 식초를 섞은 물을
오이에 바르고 한 동안 놓아 두었다가 식초를 바른 오이를 끓는 물에 담가 차로 만들어 마시면
입안의 악취를 깨끗이 지울 수 있다.
27. 감기가 돌때 집안에서 식초를 끓여
그 수증기를 들이 마시면 훌륭한 예방 작용을 한다
28. 잠자기 전 욕조에 물을 절반가량 채운 후
식초를 한 컵 섞어 식초 목욕을 하면 잠을 푹 잘 수 있다.
29. 우유에 식초를 타서 마시면
불면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단 우유에 식초를 넣기 전에 설탕을 먼저 넣어 주면 우유가 응고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30. 식초 한 스푼을 삼키면 딸꾹질을
멈추는데 도움이 된다.
31. 배에 오르기 전에 적당량의 식초를 물에 타서
마시면 멀미 증상을 크게 줄여주거나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또는 여행 중에 손수건에 식초를 묻혀 그 냄새를 맡으면 배멀미를 방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32. 달걀을 먹고 체했을 때
식초 한 두 숟가락을 먹으면 효과가 있다.
33. 린스 대신, 식초를 물에 섞어서 헹구면
알칼리화 된 모발을 중성으로 맞출 수 있다. 또 머리결이 좋아지고 비듬이 생기지 않는다.
34. 발을 씻고 마지막 헹구는 물에 식초를
몇 방울 섞어 씻으면 발냄새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35. 그릴이나 생선을 구운 판은
뜨거울 때 식초를 떨어뜨려 씻으면 비린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중요한 건 뜨거울 때 한다는
것이다.
36. 입구가 좁은 유리병, 꽃병 안쪽의 하얀 얼룩층은
식초를 넣고 주둥이를 막은 후 격렬하게 흔들면 얼룩이 사라진다. 얼룩이 심할 경우, 식초와 함
께 생쌀 한두 스푼을 넣어 흔들어 주면 된다.
37. 기름이 눌러 붙은 그릇이나
고기를 구운 프라이팬은 물과 식초를 넣고 푹 끓여서 스폰지로 문지르면 잘지워진다.
38. 삐삐 주전자에 물을 가득 채우고
냄새가 날 정도로 식초를 넣어 약 15분간 끓이면 식초의 작용으로 주전자의 더러움을 걱정 없
이 지울 수 있다.
39. 냉장고가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려면
냉장고의 음식들을 꺼낸 후 냉장고 내부를 식초로 닦아내면 된다.
40. 상크대나 세면대가 갑자기 막힐 땐
소다와 식초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뚫을 수 있다. 먼저 소다 한 컵 정도를 배수구에 넣은 다음
다시 식초 한 컵을 흘려 넣는다. 그러면 곧 거품이 올라오기 시작하는데 이 때 더운물을 부으
면 막혔던 배수관이 시원하게 뚫리고 악취도 사라진다 (배수구 샷의 효과)
41. 유리컵을 오래 사용하다 보면 물로 씻어내도
뿌옇게 되는데, 이 때 소금에 식초를 섞어서 칫솔에 묻혀 문지르면 깨끗해 진다.
42. 욕실의 배수구나 변기 등에서 나는
퀴퀴한 냄새는 식초를 흘려보내고 뜨거운 물을 부으면 없앨 수 있다.
43. 샤워기 구멍의 때는 식초를 뜨거운 물에 타서
한시간 정도 담가둔 후 칫솔로 박박 문질러 닦으면 말끔해 진다.
44. 이불장이나 옷장에 곰팡이가 피었다면
마른 걸레에 식초를 묻혀 구석구석 잘 닦은 뒤 제습제를 넣어두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45. 형광등 덮개나 손 때 묻은 전화기는
식초를 탄 맑은 물로 닦으면 얼룩 제거는 물론 살균 효과까지 있다.
46. 새로 산 가구에 냄새가 날 때
식초와 소주를 적신 헝겊으로 닦아내면 냄새 제거 효과가 있다.
47. 스티커 자국은 천에 식초를 묻히고
스티커 위에 1~2분간 붙여두면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48. 유리창 얼룩은 타월에 식초를 적셔서
닦은 다음 마른 걸레로 가볍게 닦는다.
49. 가구광택제 대신 식초와 식용유를
3대1로 섞어 쓴다.
50. 식초는 옷을 헹굴 때 한 숟가락 넣으면
퀘퀘한 냄새가 없어지고 섬유도 부드러워진다.
51. 모시와 마에 얼룩이 묻거나 변색되기 쉬운
목. 소매 부분은 식초와 소다를 섞은 물 (식초 작은 숟갈 1개+소다 3g)로 씻어낸 뒤에 빨면 깨
끗해 진다.
52. 커피나 주스 등 음료수, 과일즙, 케첩 등이
묻었울 때는 식초를 약간 묻힌 흡수성 좋은 헝겊으로 가볍게 두들겨 닦아 낸 뒤 세탁한다.
53. 탈색이 되는 옷은 물 1ℓ에 중성세제 2스푼과
식초 2스푼을 넣어서 빨면 탈색을 방지할 수 있다.
54. 옷에 밴 땀냄새도 마지막 헹굼물에
식초를 한 방울 넣어 잠시 두면 없어진다.
55. 양복이나 교복이 오래되어 번들거림이 심하다면
식초와 물을 1대2로 섞은 액을 묻힌 헝겊을 대고 다림질을 한다.이 때는 다리미로 너무 세게 누
르지 말고 약간 띄우듯이 다림질한다.
56. 울니트는중성세제 (울세제)에
식초를 떨어뜨려 세탁한다. 스웨터 하나당 식초 2티스푼 정도면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57. 먼지나 얼룩으로 쉽게 더러워지는 카펫
자주 세탁하기는 부담스러우므로 액체세제 한스푼과 식초 한스푼을 미지근한 물 500ml에 섞은
다음 부드러운 솔이나 수건에 묻혀 얼룩진 부위에 문지르고 선풍기나 드라이기로 신속히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면 카펫이 드라이크리닝한 것처럼 깨끗해 진다.
58. 세탁기 안쪽이 물 때로 더러워지면
물을 가득 채우고 식초를 한 컵 붓고 휘젓거나 돌린 뒤 반나절 정도 두면 웬만한 때는 물에 녹고
공팡이, 세균제거 에도 효과가 있다.
59. 김칫 국물이 묻었을때
식초와 주방용세제를 같이 1:1비율로 섞어 비벼 빨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
60. 기저귀를 마지막으로 헹구는 단계에
식초를 한 컵 넣으면, 세제나 암모니아 성분을 중화시켜 깨끗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