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음식’의 명인 김영희 씨는 누구인가?
김영희 씨
‘내림음식’이라는 게 있다.
음식에 문외한인 필자가 그 뜻을 모른다는 것은 무식의 소치일지도 모른다.
마침 경상북도 영주의 ‘내림음식’의 명인이며 전통음식 기능보유자를
만나볼 수 있다는 기회가 있어 조금은 공부했다.
한마디로 ‘내림음식’이란 각 지방과 집안에서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로부터전해져 내려오는 음식들을 전수해서
내놓는 음식을 말하는 것이다.
내림음식들은 대체적으로 화려하진 않으나 격조가 있으며
각 집안과 지방의 특색이 그대로 살아있어 저마다 개성이 넘쳐있다.
또한 정갈하고 맛깔스러우며 재료 고유의 맛과 향기가 살아 있었다.
역시 급조된 현대판 음식에 비하면 전통음식의 뿌리 깊은 맛은 달라보인다.
우리네의 엣 어머니와 할머니들이 어려운 생활 속에서 소박하고 알뜰하게,
아끼고 지켜온 음식과 그에 대한 삶의 철학을 조금이라도 만날 수 있게되어
취재하는 내내 행복했다.
김영희(59)씨.그녀를 통해서 반가(班家), 명가(名家)에 전해 받은 이야기를 들어본다.
옛 궁중에서 왕이 드셨던 다과상을 그대로 재현했다.
김씨의 부친은 일찍이 인삼경작으로 이름 나 있는 풍기지역에서 영향력 있는 유림이었다.
풍기향교의 수장인 전교를 지내면서 많은 향교의 대소사를 치러내었고
어머니 역시 일찍 시집와서 시부모 모시고 인삼가공에 평생을 바친 전형적인 농부의 아내였다.
농사철엔 농사일에 열심이고 농한기엔 풍기향교의 수장인 아버지를 내조하는 아내로써
많은 손님들을 치러내는 우리네 어머니의 전형적인 표상이었다.
김씨는 3남 3녀의 셋째이자 큰딸로 태어난 풍기의 토박이다.
매일 손님들로 들끓는 집안에서 자라 온 덕(?)에어머니를 따라 손님상 차리기에 바빴다.
그런 와중에서 자라온 김씨는 특히 풍기 특산물인 인삼을 이용한 음식에 관심이 있었고,
성인이 된 뒤에는 스스로 전통음식을 체계계적으로 배웠고
또한 이론적 바탕위에서 어머니의 솜씨와 김씨의 아이디어를 접목해
새로운 인삼음식을 개발하게 되었다.
특히 김씨는 시집 온 첫날부터 제사상에 전을 부치고 고기를 구웠다.
옆에서 지켜보고 있던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그런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랬다고 했다.
전을 부치는 모양새만 보아 며느리의 음식솜씨를 알 수 있었고
친정어머니의 음식솜씨의 내림음식까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아래는 김씨의 내림음식들이다.간단하게 몇 가지만 소개한다.
두부장떡
비 오는 날이면 부쳐 먹던 요리가 바로 장떡이다.
바짝바짝 지져내면 고추장 맛이 배어 나온다.
경상도 북부 지역은 다른 지역 보다 된장을 이용한 음식이 많은데,
그 중에 하나가 장떡이다.
장떡은 된장이나 고추장을 넣어 만든 부침 종류이다.
광저기 인삼 영양밥
밥을 지을 때 광저기(동부)에 인삼을 넣고 밤을 함께 넣은 한 영양밥이다.
아주 약불에서 5분 정도 뜸을 들인 후 눌리지 않게 하여 그릇에 담아낸다.
광저기의 검은 물이 곱게 물들고 인삼의 은은한 향과
밤의 달짝지근한 맛이 어우러져 가을에 먹으면 좋은 별미이다.
곤대국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초가을쯤이면 곤대국이 생각난다.
토란 겉 순을 곤대라고 한다.
토란 겉 순을 잘라 말리기도 하고 말리려고 준비하던 겉 순을 잘라 다듬어서
쌀뜨물에 된장 풀고 곱창을 넣어 얼큰하게 끓여 먹는다.
오이 뱃두리
여름날 식욕이 떨어져 힘이 부칠 때
인삼밭 울타리에 심어둔 너무 크거나 작지 않은 오이를 따서 만든다.
오이뱃두리의 아삭한 맛을 살리기 위해 물기를 꼭 짜두고,
간장에 졸일 때는 중불과 약불로 조절해 가며 마지막에 꿀을 조금씩 바르고,
윤기가 나기 시작하면 항아리 차곡차곡 담아두고 즐기는 여름 별미이다.
마두부찜
마는 산에 나는 귀한 약재라고 해서 산약이라 부른다.
밥 지을 때 마를 밥 위에 올려 쪄 먹으면 포근포근 아주 맛이 있다.
생콩가루 북어찜
북어 대가리를 다리가 휘어진 개들에게 먹이면 낳는다는 말이 있다.
북어를 물에 불려 물기를 꼭 짠 후 마른 면보에 싸두고
날콩가루를 골고루 묻히고 찜통에 김이 오른 후 7분 정도 찐다.
간장, 설탕, 다진 마늘, 참기름과 함께 버무린 후 고루 섞어
양념장에 살짝 찍어 먹는다.
장포
장포는 쇠고기에 양념장을 덧발라 가며 굽기와 두드리기를
반복해 만든 고급 반찬이다.
천리를 가도 변하지 않는다고 하여 천리찬이라 하기도 한다.
쇠고기 포를 고기 망치로 두들겨 부드럽게 해서
양념이 고루 배도록 조물조물 무치고
석쇠를 달궈 구웠다 망치로 두드리기를 여러 번 하는데
이 고기 굽는 냄새가 정말 대단하다.
송기떡
오월 단오 무렵 소나무에 물이 많이 올랐을 때쯤
소나무 껍질을 벗겨서 양잿물에 삶아 며칠 우려낸 후,
찹쌀과 소나무 속껍질을 한데 어우러지게 반죽해서 떡을 만든다.
송기떡은 오래 두어도 상하지 않고 두고두고 먹어도 되는 음식이었다.
두부경단
연두부는 잘게 부수어 볼에 담고 그 위에 찹쌀가루를 넣어 섞어서 반죽한다.
끓는 물에 경단을 넣어 떠오르면 20초 정도 두었다가 냉수에 건져 물기를 뺀다.
흑임자가루에 꿀과 물을 넣고 만들어 삶은 경단에 끼얹어 준다.
두부경단에 깨소금을 넣어 반죽을 하여 끓는 물에 데친다.
녹차가루와 황설탕을 1:3의 비율로 섞어 경단에 뿌린다.
인삼정과
인삼정과는 인삼과 음식궁합이 잘 맞는 꿀을 넣고
약한 불에서 조려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게 만든 한과이다.
쌉쌀한 수삼 맛에 꿀의 달콤하고 부드러운 풍미가 어우러진 음식이다.
한국전통음식연구소 앞에서의 김영희씨
김영희씨는
2003 서울세계음식박람회 전통전시경연 부문 금상 수상.
2004 서울국제요리경연대회 향토음식 부문 금상 수상.
2006 문화관광부 ‘명가(名家)의 내림손맛 복원 연구개발 사업’ 내림음식 명가로 선정.
2008~2010 서울국제식품전 ’8도의 반가・명가 내림음식’ 전시.
2011 사단법인 한국반가음식 문화연구원 설립
현재는 한국전통음식기능보유자.
한국반가음식 문화연구원 대표이사로 있다.
글,사진 : 동아일보 파워 블로거 강춘
첫댓글 우리 시누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매스콤을 밥먹듯 타고 10년이란 세월을 서울에서 공부하면서 고생도 많이했던 시누님 지금은 영광의 면류관쓰고
세상에서 인정받고 그릇이 큰 우리 시누님 올케한테도 정을 쏟아주는 인정미 어떤 말로도 표현 할 수 없도록 고마운 시누님
항상 고맙답니다. 우리 고장을 빛낸 인물 김영희 한국반가 음식 대표 이사님 승승장구 일취월장하시기를 바랍니다.
시상에서 둘밖에 없는 우리 올케 ..아무렇케나 하고 도그 채바퀴 속에서 열심히 살아 가는모습 이 너무 아름다운데 무리해서 몸이 고장 날까봐
항상 걱정인걸 ..언니, 쉬엄쉬엄 하면서 모든걸 즐기면서 해 그래야 우리 이 살기 조은 세상에서 곱고 멋있는 노후를 맞이 하는 삶이
되야할것같아 ..~~~지는노을이 아름다운걸 느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