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이란 농업부의 12개년 농업 자동화 계획 발표 후 트랙터 수입 시장규모 확대 -
- 한국산 트랙터 제품의 선호도 증가로 수요 지속 전망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트랙터(HS Code 870190)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이란 농업부에 따르면 이란의 농기계 선호도 1위가 트랙터이며, 2017년 기준 시장규모는 연간 1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
- 이란 정부의 농가 지원 사업도 트랙터에 치중하고 있으며 전체 농기계 시장의 16%가 트랙터임.
ㅇ 이란은 한반도의 7.5배에 달하는 국토를 보유했으나 관개 포함 경작가능지는 9.8%에 불과함. 재래식 농업방식에 따른 낮은 생산성으로 농산물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
ㅇ 이란 농업부의 농업 자동화 및 관련 산업 육성 정책
- 2014년 10월 12개년 농업 자동화 계획을 수립하고 농기계 현지 생산화 90%를 목표로 외국인 직접투자를 적극 유치
- 농가 대상 보조금 지원을 통한 농기계 구매 지원 사업을 진행하며 외국인 합작투자 포함 이란 현지 생산 제품 구매 우선 지원
- 이란 농업부는 해마다 지원 가능한 농기계 리스트 공시
2018년 이란 정부 구매지원 사업 농기계 리스트
(단위: hp)
구분 | 차종 | 마력 | 제품 특징 |
1 | 논용 트랙터 | 20~30 | Double differential |
2 | 논용 트랙터 | 30~40 | Double differential |
3 | 밭용 트랙터 | 40~60 | Single differential |
4 | 밭용 트랙터 | 60~80 | Double differential |
5 | 밭용 트랙터 | 80~120 | Double differential |
6 | 밭용 트랙터 | 120~160 | Double differential |
7 | 밭용 트랙터 | 160~180 | Double differential |
8 | 정원용 트랙터 | 20 미만 | Double differential |
9 | 정원용 트랙터 | 20~40 | Double differential |
10 | 정원용 트랙터 | 40~50 | Hydraulic output |
11 | 정원용 트랙터 | 70~80 | Max. 120cm width |
12 | 콤바인 | 100~110 | Harvest capacity 4tons/hectares (wheat and barley) |
13 | 콤바인 | 110~155 | Harvest capacity 4~8tons/hectares(wheat and barley) |
14 | 콤바인 | 155~210 | Harvest capacity over 8tons/hectares(wheat and barley) |
자료원: 이란 농업부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2015년 이란 핵 협상 및 농업 자동화 계획으로 트랙터 수입시장은 전년 대비 190% 증가한 25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후 3년간 연평균 2000만 달러 수준을 유지
ㅇ 이란 트랙터 수입국 1위는 한국
- 이란의 주요 트랙터 수입국은 한국, 일본, 이탈리아 순이며 2017년 기준 이들 국가가 전체 수입액의 62.5% 차지
- 한국산 트랙터 수입액은 200만 달러 수준에서 2017년 400만 달러 수준으로 급증
- 중국산 및 독일산 트랙터 수입은 2016년 이후 급감
이란 트랙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870190)
(단위: 달러,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전체 | 25,083,796 | 25,732,582 | 17,587,955 | 100.00 | 100.00 | 100.00 | - 31.65 |
대한민국 | 2,784,541 | 2,112,692 | 3,979,491 | 11.10 | 8.21 | 22.63 | 88.36 |
일본 | 587,965 | 4,508,925 | 3,816,418 | 2.34 | 17.52 | 21.70 | - 15.36 |
이탈리아 | 5,129,503 | 1,532,649 | 3,199,729 | 20.45 | 5.96 | 18.19 | 108.77 |
영국 | 45,000 | 780,813 | 3,157,711 | 0.18 | 3.03 | 17.95 | 304.41 |
인도 | 90,608 | 1,090,738 | 1,543,254 | 0.36 | 4.24 | 8.77 | 41.49 |
터키 | 1,712,473 | 2,372,091 | 853,096 | 6.83 | 9.22 | 4.85 | - 64.04 |
독일 | 6,828,936 | 8,364,116 | 564,743 | 27.22 | 32.50 | 3.21 | - 93.25 |
중국 | 5,368,917 | 2,172,582 | 428,346 | 21.40 | 8.44 | 2.44 | - 80.28 |
미국 | 81,761 | 51,852 | 45,167 | 0.33 | 0.20 | 0.26 | - 12.89 |
베트남 | 587,716 | 108,644 | 0 | 2.34 | 0.42 | 0.00 | - 100.00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한국산 트랙터는 지속적으로 높은 시장점유율 보유
- 이란 정부의 보조금 지원 정책으로 저가 제품보다 고품질 제품 선호
- 현지 시장 내 한국산 제품은 가격 대비 높은 품질이라는 긍정적 이미지 형성
ㅇ 2017년 이후 한국 트랙터 제조기업의 이란 현지 생산에 따른 대한 수입액 감소 전망
- 2017년 LS 엠트론, 동양물산 등 한국 기업의 이란 현지 제조공장 설립, 2018년부터 본격 생산 예정
이란 트랙터 수입동향
(단위: 달러)
자료원: 이란 관세청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주요 현지 기업 동향
- Iran Tractor Manufacturing Company(ITMCO)
· 이란 내 독점적 트랙터 제조기업으로 연 3만 대 트랙터 생산능력 보유 및 전 세계 29개국 수출
- Sirjan Tractor manufacturing Co., HEPCO, Darvana Tractor Manufacturing Co., Iran Combine Manufacturing Co. 등 소규모 이란 현지 트랙터 제조업체가 있으나 품질이 낮음.
- 현지 이란 제조업체에 대한 정부 보조금이 최근 3년간 지급되지 않아 생산량 감소 국면에 처해 있음.
ㅇ 한국 대동공업, 일본 Kubota사 등 외국인 투자 기업이 활발하게 진출해 있으며, 한국산 트랙터는 이란 농가의 인지도가 높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해 고가의 일본과 이탈리아 제품 대비 경쟁력이 있음.
□ 유통구조

□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ㅇ 수입 시 모든 국가에 아래와 같은 관세율이 적용됨.
이란 트랙터 품목별 수입 관세율
(단위: %)
HS Code | 품목명 | 수입관세율 | 부가가치세 | 필수인증(COI) 여부 |
8701 9110 | Water proof tractor with special wheels for paddy fields | 5 | 9 | O |
8701 9120 | Agricultural gardening tractors | 10 | 9 | O |
8701 9190 | Other | 15 | 9 | O |
8701 9210 | Between 18kw and 37kw Water proof tractor with special wheels for paddy fields | 5 | 9 | O |
8701 9220 | Agriculture gardening tractor | 10 | 9 | O |
8701 9290 | Other | 15 | 9 | O |
8701 9310 | Between 37kw and 75kw Agriculture gardening tractor | 10 | 9 | O |
8701 9390 | Other | 15 | 9 | O |
8701 9410 | Between 75kw and 130kw Agriculture gardening tractor | 10 | 9 | O |
8701 9420 | Agricultural tractors of with power less than 120hp | 15 | 9 | O |
8701 9490 | Other | 5 | 9 | O |
8701 9510 | More than 130kw Agriculture gardening tractor | 10 | 9 | O |
8701 9590 | Other | 5 | 9 | O |
자료원: 이란 관세청
□ 수입규제 및 인증
ㅇ 2018년 8월 7일 이후 이란 산업광물부는 수입 품목을 4가지로 구분 및 분류에 따라 다른 환율 적용
- 트랙터는 세부 분류에 따라 Group 1에서 Group 3에 해당하며 수입규제 적용대상이 아님.
· Group 1(의약품 및 생필품): 달러당 4만2000이란리알 거래
· Group 2(산업재 및 중간재): 시중환율
· Group 3(소비재): 시중환율
· Group 4(사치품 등): 수입금지
트랙터 세부 분류 현황
HS Code | 품목명 | 분류 |
8701 9110 | Water proof tractor with special wheels for paddy fields | Group 1 |
8701 9120 | Agricultural gardening tractors | Group 3 |
8701 9190 | Other | Group 2 |
8701 9210 | Between 18kw and 37kw Water proof tractor with special wheels for paddy fields | Group 1 |
8701 9220 | Agriculture gardening tractor | Group 3 |
8701 9290 | Other | Group 2 |
8701 9310 | Between 37kw and 75kw Agriculture gardening tractor | Group 2 |
8701 9390 | Other | Group 2 |
8701 9410 | Between 75kw and 130kw Agriculture gardening tractor | Group 2 |
8701 9420 | Agricultural tractors of with power less than 120hp | Group 3 |
8701 9430 | Other | Group 2 |
8701 9510 | More than 130kw Agriculture gardening tractor | Group 2 |
8701 9590 | Other | Group 2 |
자료원: 이란 산업광물부
ㅇ 트랙터는 이란 선적전검사(COI) 인증, 에너지 소비 기술규격 준수 및 에너지 소비 효율 라벨 부착 필수
- 이란 표준산업연구소(ISIRI)에서 발급하는 COI 인증을 받아야 하며 경우에 따라 적합성표준증명(VOC)이 요구됨.
- 이란 수입상은 비용 문제로 수출기업에 선적전검사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고 인증하기까지 최소 2개월 이상 소요되므로, 신용장 개설 전 수입상과 인증 관련 협상을 완료해야 함.
· 이란 표준산업연구소 홈페이지 주소: www.isiri.gov.ir
□ 시사점
ㅇ 이란 현지 제조업체는 최근 3년간 정부 보조금 미지급으로 생산량 감소 국면에 있고, 고품질 트랙터에 대한 수요가 커 외국기업 제품의 인기가 지속될 전망
- 한국산 트랙터는 이란 현지에서 가격 대비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진출이 유리한 상황
ㅇ 이란 정부는 현지 생산을 90%까지 올리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현지 직접투자를 염두에 두고 현지 바이어 및 에이전트를 발굴해 관리해 갈 필요가 있음.
ㅇ 2018년 8월 7일 재개된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로 인해 대금 결제문제와 변동성이 큰 환율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바이어와 거래시 주의해야 하며, 무역 유관기관의 도움을 받아 지속적인 현지 정보 업데이트 필요
자료원: 이란 산업광물부, 이란 농업부, 이란 관세청, 이란 트랙터 제조기업 ITMCO 및 KOTRA 테헤란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