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칼럼 The Column]
자칭 민주정권의
‘좀스럽고 민망한’ 권위주의 5년
현지 시각 지난 3월 27일,
미국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폭행 사건이
벌어졌다.
코미디언 크리스 록이 윌 스미스의 아내
제이다 핑킷 스미스의 짧은 머리를 두고 농담을
했던 것이 화근이었다.
처음에는 같이 웃던 윌 스미스, 아내의 눈치를
보더니 갑자기 심각한 표정을 지으며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급기야 무대 위로 올라가 크리스 록의 뺨을 때리고,
자리에 돌아와서도 계속 목청을 높였다.
“다시는 내 아내의 이름을 꺼내지 마!”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취임 4주년 특별연설을 하고 있다----
미국은 ‘조크’에 관대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나라다.
여기서 말하는 조크란 모두가 적당히 기분 좋게
웃고 넘어가는 무해한 농담이 아니다.
조롱거리가 되는 사람이 감추고자 하는, 혹은
언급하고 싶어 하지 않는 치부를 드러내고
까발리며 조롱하는 것이다.
아카데미상 시상식처럼 권위 있는 자리일수록
그렇다.
당사자가 불쾌해할 뿐 아니라 때로는 듣는 이도
웃어넘기기 어려울 만큼 독한 조크가 난무한다.
연예인들만 조크의 과녁이 되는 것도 아니다.
백악관 공식 행사에 코미디언을 사회자로 부르면
대통령과 영부인을 놀림감으로 삼는다.
미국식 조크에는 성역도 없고 금기도 없다.
----2017년 8월 18일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청와대
오픈하우스 행사에 참석한 청와대 출입기자단이 경내를
둘러보고 있다----
왜일까?
미국은 자유와 평등의 나라지만 동시에 권위를
존중하기 때문이다.
할리우드, 더 나아가 미국 사회가 권위를 지키는
방식이다.
중세 시대의 왕이나 권력자들이 광대를 옆에 두고
남들이 차마 하지 못하는 이야기를 지껄이고
농담하도록 내버려둔 것과 같은 원리다.
스타들의 치부를 대놓고 언급하면서, 대통령이나
유명 인사들을 바보로 만들면서, ‘권위주의’의
긴장감을 털어버리고 ‘권위’를 세우는 것이다.
권위주의와 권위는 같은 것 같지만 다르다.
요즘 말로 표현하자면 ‘자존심’과 ‘자존감’의
차이를 떠올려볼 수 있다.
권위주의와 자존심은 남들이
알아주고,
인정해주고,
굽실거리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반면 권위와 자존감은 스스로에 대한 확신과
자부심이다.
그로 인해 자연스럽게 타인으로부터 존중을 얻는다.
생각해보면 미국만 그런 건 아니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스스로를 ‘보통 사람’이라
부르며 방송과 출판 등에서 대통령을 풍자하는
걸 기꺼이 허용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그를 주인공으로 삼은 농담인
‘YS 시리즈’까지 나왔지만 단 한 번도 싫은
내색을 비춘 적이 없다.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 등 그 뒤를 이은
대통령들 역시 모두 마찬가지였다.
대통령이 된다는 것은 권위주의를 내려놓는 것,
국민들이 자신을 비웃고 조롱하도록 내버려두는 것,
그렇게 권위를 확인하는 것과 같았다.
이 공식이 달라진 건 문재인 대통령 이후다.
문재인 정권의 여러 잘못 중, 문화적 영역에서 남긴
가장 큰 해악은 바로 이것이라고 생각한다.
권위주의가 판을 치는 세상을 만든 것이다.
1983년에 태어나 모든 대통령 선거와 그 후의
분위기를 경험했던 필자로서, 아무리 기억을
더듬어봐도 이렇게까지 권위주의가 팽배했던 적은
없었다.
문재인 본인부터가 문제다.
“북조선의 개 한국대통령 문재인의 새빨간 정체”
라는 문구가 담긴 전단지를 만들고 뿌렸다는
이유로 대통령이 일개 시민을 모욕죄로 고소했다.
현직 대통령이 시민을 고소하는 것은 대한민국뿐
아니라 그 어떤 민주국가에서도 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그야말로 ‘좀스럽고 민망한’ 일이다.
그러나 이 사안을 두고 문재인 본인이
부끄러워했다는 이야기는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그 후로도 잊을 만하면 ‘격노’를 일삼더니,
퇴임을 앞두고는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
라는 제목의 책까지 냈다.
한심하고 우스꽝스러운 권위주의를 의인화하면
바로 이런 캐릭터가 될 듯하다.
대통령 스스로가 이렇다보니 지지자들의 행태는
한층 더 저열해졌다.
자칭 ‘깨어있는 시민’들이 문재인 정권 5년 동안
대감댁 행랑채의 왈짜들처럼 떠세를 부려댔다.
정권을 향한 비판, 풍자, 농담에 대고
“대통령님이 네 친구냐?”
며 시비를 걸고 다녔다.
크리스 록의 조크를 듣고 웃다가 제이다 핑킷의
눈치를 보더니 무대에 올라가 뺨을 때린
윌 스미스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는커녕,
‘아무도 웃을 수 없는 나라’
가 되고 말았던 것이다.
새로운 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있다.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중이다.
새 대통령 윤석열은 자칭 민주정권의 비민주적인
권위주의를 확실히 털어내주기를, 국민 속에서
진정한 권위를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노정태 경제사회연구원 전문위원·철학
[출처 : 조선일보]
[100자평]
박정도
문통 5년은 OOOO로 권력을 잡은 가짜
민주주의자들이 판치며 나라를 망친 오욕과
불신의 세상이었다.
국격은 추락하고 국민 자존심은 천길 나락으로
떨어진 세월이었다.
다시는 이런 가짜 OOOO 위인들이 득세하지
못하도록 투표 때마다 처절하게 응징해
멸종시켜야 한다.
따라서 깨어있는 국민 의식이 필요하다.
조후영
위선...표리부동...뻔뻔...도덕불감...양심불량,
거짓말...내로남불...바보정책...무능,무모,무지한
요괴정권..
다시는 이런 사기,조작,가면 대통령과 정부가
절대로 재 탄생되면 안됩니다.
유관식
속이 텅빈 부부가 구중궁궐에서 호화스러운
장신구와 권위 의식으로 호위호식한 지겨운
5년이 이제 한달 남았다!
다시는 저런 패거리들에게 나라의 운전대를
맡기는 일은 없어야 한다 다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