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임실 엉겅퀴 농장에서 찍은사진과. 그곳에서 얻어온것을 관찰하여 쓴것입니다.
그리고 인터넷 사이트 검색을 통해 빌려온지식도 있어요.
엉겅퀴를 만나며 가장 먼저 궁금했던것은 지난번 제가 올린 엉겅퀴 수술가루 나오는 동영상에서 ㅡ곤충으로 가장한 제손가락이 꽃을 만지면, 보라색 수술대롱이 흔들거리며 약간 속으로들어가면서 하얀가루가 나오는게 너무 신기했어요..저 보라색 대롱이 어디로들어가는걸까
가루는 또 어떻게 나오는걸까
분해해보니 이런구조였기에 가능했던겁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5D9D4157B491B724)
위 사진1ㅡ수술대롱이 밀려들어가기전
![](https://t1.daumcdn.net/cfile/cafe/211EE53D57B491B80F)
위사진 2 ㅡ 수술대롱이 들어가고 속의 얇은 암술이 나온모습.수술대롱이 뒤로밀린만큼 뒤쪽의 갈라진부분이 접힌다
위사진은 겉의 5갈래로 갈라진꽃잎을 떼어낸 모습이에요
속도 저렇게 5 갈래로 나뉘어져 있어서 수술대롱이 밑으로 들어갈수있었어요.일종의 완충작용이라고 해야하나요
수술대롱 끝에서 가느다란 암술이 나왔는데요
자세히 보시면 암술의 끝 자주색과 연분홍으로 나뉘어지는 경계 부분이 볼록하게 되있죠?
수술대롱 속에서 암술이 위로점점 올라오면서
저 볼록한 부분이 가루를 바깥으로 자연스레
밀고나오는겁니다.
너무도 과학적인 설계?에 신기하고 놀라울따름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21C63F57B491B92F)
위사진은 하나의 꽃모습이죠.
꽃잎이 총5개로 갈라져있네요
꽃잎이란 단어가 맞나요?
왼쪽은 암술이 나온상태.곧 수정이되겠죠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B743E57B491BA0E)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BE53F57B491BB14)
위사진은 씨앗을 멀리 날아가게해줄 우산모양의 날개가 펼쳐지기전 모습을 갖추고있네요. 자세히보시면 우산 날개 말고 맨아래부분에 털같은게 따로 나있어요
아마 씨앗의 통풍?역할도 해주고. 나중에 씨앗이 위로 매끄럽게 잘 빠져나갈수있게 하기위함도 있는거같아요. 제생각이에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7EC4557B491BC1D)
씨앗으로 변한모습
![](https://t1.daumcdn.net/cfile/cafe/2659BC4557B491BD0C)
씨앗이 윤기가나네요. 우산날개(정확한 명칭이 있나요? )외에 맨아래 있는 털이 더 명확히보이네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62BFB4457B491BE30)
씨앗의 모습
![](https://t1.daumcdn.net/cfile/cafe/2261923E57B491BF37)
![](https://t1.daumcdn.net/cfile/cafe/2166084557B491C001)
씨앗으로 싹 틔워봤어요 떡잎두개 이후 세번째 나는 잎부터는 작아도 뾰족뽀족한 엉겅퀴잎과 많이닮았죠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F724057B491C00B)
![](https://t1.daumcdn.net/cfile/cafe/2256104557B491C20F)
털이 난 엉겅퀴 줄기와 줄기 속모습
![](https://t1.daumcdn.net/cfile/cafe/221CFA4257B491C224)
거미가 줄을 친게 아니에요.엉겅퀴는 줄기에 하얀털과 이런거미줄같은게 나있답니다( 혹시 거미줄일확률이 있을까요 )
![](https://t1.daumcdn.net/cfile/cafe/233E724457B491C41E)
엉겅퀴 잎차례는 나선형 어긋나기같은데 맞나요
위에서 바라볼때
잎과잎사이의 각도는 약 120도정도인거같아요
정확치는않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66D83E57B491C731)
뿌리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57764157B491CA28)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A104657B491CE39)
잎은 앞뒷면 색이 달라요 뒷면이 더 연하구요
양면 모두 잔털이 나있네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72C6A4057B491D12C)
너무도 예쁜 꽃빛이네요
엉겅퀴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 .만주.중국 분포
*여러해살이풀
*키 50ㅡ100 센티
*두상화이며 관상화ㅡ엉겅퀴는 머리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는 갓모양의 꽃으로 화관이 가늘고 긴 대롱 모양의 꽃으로 통꽃의 일종이며 국화과 식물의 두상 꽃차례에서 중심에 모여있는 꽃이다.
관상화.두상화.설상화에대한..
http://m.blog.naver.com/yunchun4/220093306758
*엉겅퀴는 자웅이숙중 수술이먼저 성숙하는 우예선숙이다ㅡ암수가 시간차이를 두고 성숙하는것을 자웅이숙이라 말하는데 양성화가 피는 식물에서 암술과 수술이 시간차를두고 성숙함으로서 자가수분을 최소화하려는 장치 . 자웅이숙은 수술먼저 성숙하는 웅예선숙과 암술먼저 성숙하는 자예선숙으로 나뉜다ㅡ질경이
(엉겅퀴는 윗부분의 수술이 꽃가루를 방출하고나서야 암술이 비로소 윗쪽으로 올라와 같은대롱위에 있던 수술의 꽃가루가 아닌 다른개체 꽃송이의 꽃가루를 수정하는방법으로 근친교배를 피하는 진화된 고등식물이다)
*수술이 움직여 꽃가루를 밀어내는 구조를가진 식물은 수레국화가 대표적인데 엉겅퀴는 더욱 극적인 부분이 많다
여러곳에서 본자료와 제가 관찰하고 찍은 사진들로
쓰긴했는데 틀린부분있으면 말씀해주셔요.^^
첫댓글 엉겅퀴는 국화과 식물입니다.
식물계통학에서 보면 국화과 식물은 많이 진화된 식물이지요.
수분에 있어서 자가수분이 되었다고 인식되면 씨앗을 만들지 않고 쭉정이로 마무리합니다.
자가수분은 허용하지 않고 타가수분으로 이루어진 유전자 조합으로만 후세를 이어간다고 보면 됩니다.
지능이 뛰어난 식물이라고 보심 됩니다.
국화과 식물은 꽃 한송이 한송이가 모여 꽃다발을 이룬다고 해서 두상화서라고 합니다.
암술대에 5개의 수술이 둘러싸고 있어요.
자가수분을 피하기 위해 수술이 먼저 성숙해 꽃가루를 방출한 다음 암술이 쭉 올라와 다른 그루의 꽃가루을 받게 됩니다.
이것을 웅예선숙이라고 하지요.
아~그럼 꽃잎처럼 보이는 5개갈라진그게.수술이군요.감사합니다^^
와 자가수분 되었다고 인식되면 씨앗 만들지않고 쭉정이로 된다는게 참 신기합니다.느티샘 해박한 지식 늘 감탄스럽고 감사합니다^^
@꽃지 꽃잎처럼 보이는것 말고요, 보라색의 통상화 아래쪽 5갈래가...
확실하지 않아서 자세히 관찰한 다음 다시 대화하게요 ㅎㅎ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6.08.18 22:42
1~2번 사진에서 수술대가 암술대에 붙어 터지는 모습인거 같네요.
저도 여기까진 관찰하지 않아서 잘 모르는데 꽃지님의 생각이 맞지싶어요.
그리고 3번 사진은 꽃받침이 갓털로 변한 모습입니다.
꽃받침이 갓털로 변해 씨앗을 멀리 멀리 날리게 되지요.
아~!우산대닮은 깃털이.갓털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