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미디어/엔터/레저 이남수]
★ CJ ENM (035760): 티빙 성장 포텐셜에 주목하자
▶️ 1분기 영업이익 597억(yoy +50.5%)
- 1분기 매출액 8,396억원(yoy +3.6%), 영업이익 597억원(yoy +50.5%, OPM 7.1%)로 컨센 상회 전망
- 커머스 부문 모바일 중심의 전략적 드라이브 유효하며 미디어 부문 시청률 호조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 티빙의 성공은 OTT 성공 그 이상의 의미
- 21년 약 1,000억원의 콘텐츠 제작비 투입하며 <여고추리반>, <서복> 등으로 오리지널 장르 및 제작 확장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서비스를 통해 트래픽 확장 준비 마치고 부가적인 콘텐츠 이용권 또는 유료 가입 전환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15,000원 유지
- 티빙 플랫폼의 성공은 미디어와 커머스 결합으로 인한 시너지 창출 가능하게 만들 전망
- TV에서 콘텐츠와 커머스의 결합을 통한 확장성이 제약 받았던 부분을 모바일을 통해 극복 기대
★ 보고서 링크: https://bit.ly/3dncAq1
★ 스튜디오드래곤 (253450): 확실한 1등으로 격차 벌리기
▶️ 1분기 영업이익 153억원(yoy +31.3%) 전망
- 1분기 매출액 1,240억(yoy +3.1%), 영업이익 153억원(yoy +31.3%, OPM 12.3%)으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 캡티브 방송 편성으로 편성 매출의 높은 안정성과 넷플릭스향 콘텐츠 제작 부문이 아웃퍼폼 이끌 것
▶️ K-콘텐츠 제작 시장 초호황을 누려보자
- 히트 오리지널 IP 제작을 위해서 제작비 투자 규모의 상향 발생하며 국내외 OTT 연간 콘텐츠 투자액 1조원 추정
- 글로벌 OTT, 쿠팡 등 미디어 비주력 부문의 서비스 확대에 따른 공긍럅 증가로 K-콘텐츠 시장의 초호황 국면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40,000원으로 상향
- 21년 매출액 5,949억원(yoy +13.2%), 영업이익 714억원(yoy +45.3%, OPM 12.0%)로 규모 확장과 이익의 질적 개선 기대
- 올해 32편 수준의 제작 기획 통해 규모 확장 및 제작 형태의 다양화를 통한 제작비 선택과 집중 등 효율화 발생 전망
★ 보고서 링크: https://bit.ly/3djzY7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