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일미사 참례를 못했을 때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사실 이런 질문과 관련 있는 속풀이는 몇 년 전에 이미 다룬 적이 있습니다, "주일미사, 주님의 기도 33번으로 대신할 수 있나요?”에서... 보통 주님의 기도 서른세 번 하라는 어르신들의 말씀이 전통적인 처방전처럼 전해져 왔습니다. 어떤 분은 열두 번을 말씀하시기도 하고.... 하지만 교회의 공적인 지침은 아닌 듯합니다. 공적인 지침을 원하시면, "한국 천주교사목지침서" 74조 4항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미사나 공소예절 등에도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 대신에 묵주기도, 성경 봉독, 선행 등으로 그 의무를 대신할 수 있다.” 이 항에서 해석하고 있는 “부득이한 경우”는 직업상 또는 신체적이나 환경적 이유로 주일미사에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주일이 낀 일정의 출장을 주변에 성당이 없는 곳으로 갔거나 주말에 출근하여 일을 해야 하는 경우 혹은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 처한 경우입니다. 폭설이 내려 고립된 상황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일미사를 대신할 수 있는 묵주기도, 성경 봉독, 선행은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2014년 3월 한국 천주교주교회의 춘계총회에서 주교님들은 그 내용을 "묵주기도 5단", "참례하지 못한 주일미사의 독서와 복음 묵상", "희생과 봉사활동" 등 가운데 하나를 실천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고 해석해 주셨습니다. 이런 일이 드물지 않게 벌어지는 현실이란 것을 인정하고 신자들의 마음의 짐을 덜어 주고자 한 것이 주교회의의 해석입니다. 부득이하게 주일미사를 빠졌을 때, 그로 인해 생기는 죄의식으로 신자들이 방황하지 않기를 바랐던 주교단의 배려라 하겠습니다. 한편, 적잖은 분들이 평일미사 참례를 통해 주일미사에 빠진 것을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평일미사가 신앙생활을 위한 권장 사항이긴 하지만 주일미사의 의미와는 같을 수 없습니다. 주일은 주님이 부활하신 날이기에 부활 사건을 기념하고 선포한다는 큰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일미사와 평일미사를 구분하려는 것도 교회의 입장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이와 같은 사목지침은 각 교구에서 올라오는 다양한 문제들이 취합되어 시간을 두고 논의된 결과물입니다. 목자들은 신자들이 죄의식에서 해방되어 기쁘게 생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신자들이 어떤 외적, 내적 어려움을 겪는지도 모르면서 교회법을 앞세워 신자들을 탓하기 보다는, 신자들이 하느님의 자비와 위로를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하는 태도가, 사목자들에게 더 확산되길 기대합니다. 오늘 속풀이에 관한 참고 자료로 이 기사도 함께 보시면 좋겠습니다.
박종인 신부(요한), 서강대 인성교육센터
First Love (첫사랑) / Violin Solo & Chamber |
첫댓글 저두 주일미사를 빠지게 되면 성체를 못모시니 그로인해 몇달 쉬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변화된 사목지침이 신자생활에 도움이 된다 봅니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에서는 한번 주일 미사를 결함으로 인하여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끼는 신자들이 냉담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많이 경험하게 되면서 보다 확실하고 쉬워 보이는 보석을 행하게 함으로써 주일미사에 가름다하도록 하는 배려라고 봅니다.
좋은 정보라고 해야 하나요? 좋은가르침의글 고맙습니다.
많은 순진한 신자들이 주일미사 궐함으로 많은죄의식을
느끼는데요 고해성사도 부담스러워 하는통에 아에 쉬는 교우들이 많습니다.
이럴때 주교회의에서 신자들을 위한 보속 등 배려의글이 너무 좋습니다 ^^*
저는 핑계삼아 7년 냉담했었습니다.애고 ㅠ
7년동안 냉담하시다가 다시 성당에 나오기 시작하셨을 때 하늘에서는 잔치가 벌어졌을 것입니다 .......(루가 15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