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LITIES AND CONCEPTS
The Buddha’s Explanation of the World
By
SUJIN BORIHARNWANAKET
수진 보리하른와나켓
Translated from the Thai by Nina van Gorkom
First published in Thailand in March 2000
Dhamma Study and Support Foundation
I
FORWARD
What is real and what is only concept? Or is anything real? We might think these perennial questions are the irrelevant musings of philosophers. In fact, as the following pages make clear, they are pertinent to every moment of our lives. More than 2500 years ago, Siddhattha Gotama, the Buddha, comprehended the answers to them; and with unlimited patience and compassion explained how to develop that same knowledge. We are extraordinarily fortunate to live in a period where his complete teachings are still available.
서문
무엇이 실재하는 것이고 무엇이 개념에 불과한가? 실재하는 것들이 있기는 한가? 이 끈질긴 질문들은 철학자들이나 심사숙고할 문제이지 우리와는 상관없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뒤에 나오는 글들을 읽으면 분명해지겠지만, 관념과 실재라는 것은 우리의 삶과 매순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2500년도 더 이전에 붓다,고타마 싯달타는 이 질문에 대한 완전한 대답을 얻었다. 그리고 무한한 인내와 연민으로 그와 같은 앎을 어떻게 계발할 것인지 말씀하셨다. 붓다의 가르침이 살아있는 시대에 살고 있으니 우리는 진정 엄청나게 행운이다.
There are now many books in English that give an overview of Buddhism, but the deeper aspects that people in Thailand receive on a daily basis, on the radio and in print, are seldom seen in the West. This book is, accordingly, a very welcome addition to this sparsely sown area. However, for those not steep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it is a difficult read. The subject is profound and many words from Pali language are used. Nevertheless, it is not beyond the capacity of anyone who perseveres. The Pali terms actually promote clarity, as their meaning is precise; they are used because the English equivalents are too approximate and have varying connotation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goal of the book is not to help readers gain mere intellectual comprehension. It aims, rather, to be a support for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realities as they arise at the six doors. If this practical purpose is kept in mind the apparent technicality of the text will be brushed aside and the deep truths may be glimpsed.
붓다의 가르침에 관한 개략적인 얘기를 하는 책들은 영어로 많이 나와 있다. 그러나 태국사람들이 방송이나 인쇄물로 매일 접하는 것과 같은 심오한 측면의 불교는 서양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책은 서양에서 매우 환영 받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경전을 많이 접해보지 않은 사람은 읽기가 어려울 것이다. 주제는 심오하고 빨리어 용어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내를 가지고 하면 못할 것도 없다. 빨리 용어는 뜻을 명확히 해준다. 영어에 해당하는 그 단어들이 너무 개략적이거나 여러 가지 뜻을 함축하고 있어서 빨리어를 써서 뜻을 분명히 했다. 또 이 책의 목적이 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이 책을 쓴 목적은 여섯 문에서 일어나는 실재를 경험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데 있다. 이 의도를 확실히 안다면 텍스트에 나오는 여러 전문용어들을 뛰어넘어 심오한 진리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Wise readers will then hopefully pursue further knowledge and consult the Tipitaka (the collection of the Buddha’s teachings) and commentaries; they may even be encouraged to begin to study realities directly, as they appear at this moment.
현명한 독자들은 더 깊이 알고 싶어할 것이며 삼장과 주석서를 찾아볼 것이다. 심지어 지금 이 순간에 나타나는 실재를 직접 연구하려고 할지도 모른다.
Realities and Concepts is a section from a much larger book, A Survey of Paramattha Dhammas, by Sujin Boriharnwanaket. This comprehensive guide has been reprinted many times in its original Thai version and has now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Further sections will be published in the future.
이 책은 수진 보리하안와나켓 여사가 쓴 <A Survey of Paramattha Dhammas>의 한 부분이다. 이 포괄적인 아비담마 안내서는 태국에서 출판된 이래 여러 번 다시 출판되었으며 이제는 영문판으로 나오고 있다. 언젠가 내용이 보완되어서 출판될 것이다.
For those who would like background reading The Buddha’s Path and Abhidhamma in Daily Life, both by Nina van Gorkom, are recommended (Zolag, London). English translations of the Tipitaka and many of the commentaries can be obtained from the Pali Text Society, Oxford.
배경지식을 원하면 <The Buddha’s Path>과 <Abhidhamma in Daily Life> (니나 반 고르콤 지음, 영국Zolag 출판사 간행)를 읽어 보기 바란다. 삼장의 영어번역과 주석들은 주로 PTX에서 인용하였다.
About the Author
Sujin Boriharnwanaket has been explaining Abhidhamma and the path of vipassana for forty years. Her talks are broadcast daily on more than twenty radio stations throughout Thailand and are a source of guidance for monks, nuns and lay people alike.
저자에 대하여
수진 보리하안와나켓은 40여년 동안 아비담마를 강의하고 위빠사나 수행을 해왔다. 태국 전역에 20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매일 강의한다. 승려나 일반 수행자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고 있다.
Realities and Concepts
Part 1
Paramattha dhammas[1] are realities; they are not beings, people, or self. The paramattha dhammas that arise are only citta, cetasika, and rupa,[2] each of which has its own characteristic, its own nature. They arise because of conditions and then they fall away again very rapidly. If one does not know the characteristics of citta, cetasika and rupa, paramattha dhammas, which arise and fall away and succeed one another very rapidly, one knows just concepts. One takes rupa and nama,[3] which arise and fall away in succession, for things that are lasting. Thus, one lives in the world of conventional truth,sammutti sacca.(세속적 진리)
When realities appear, one clings to shape and form, to a “whole,” one takes fleeting realities for things that exist.
빠라마타 담마는 실재다. 존재, 사람, 개아가 아니다. 일어나는 빠라마타 담마는 마음, 마음의 작용, 물질뿐이다. 그것들은 제 나름의 특성, 즉 고유한 성질을 갖고 있다. 그것들은 조건 때문에 일어나고 다시 재빠르게 사라진다. 만일 잇달아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마음, 마음의 작용, 물질 등의 빠라마타 담마를 모른다면 우리는 오로지 개념만 알 것이다. (그리고) 잇달아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물질과 정신을 영속하는 존재로 잘못 안다. 그리하여 관습적인 진리, 세속적인 진리의 세계에서 살아간다.
[1] Paramattha dhammas: usually translated as ultimate, absolute, or fundamental realities.
[2] Citta, cetasika, and rupa: Citta is a moment of consciousness which cognizes an object; seeing, for example cognizes colour. There is one citta at a time and it is accompanied by several cetasikas, mental factors, which each performs its own function. Rupa, physical phenomena (materiality, matter), does not know anything.
[3] Nama: mental phenomena, that is citta and cetasika. Rupa: physical phenomena.
However, when one has studied paramattha dhammas and knows how to develop panna (wisdom), there can be awarenes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and panna can become keener. Then the stage of insight can be reached which is the clear understanding of realities that arise and fall away at this moment. One will clearly see that there is no being, person or self. One will know that there are only paramattha dhammas that appear one at a time.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truth which the Buddha realized at his enlightenment and which he taught to others.
그러나 빠라마타 담마를 공부하고 지혜를 계발하면 나타나는 특성을 알아차릴 수 있고 지혜가 예리해진다. 그때는 통찰력의 단계가 지금 이 순간에 일어나고 사라지는 실재를 분명하게 이해하는데 다다른다. (그러면) 존재나 사람, 개아 등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알 것이다. 한순간에 하나만 나타나는 빠라마타 담마만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것은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할 때 안 것이고 사람들에게 법을 편 것이다.
Ignorance is deeply rooted and very persistent. It conditions us to cling to conventional truth and to take realities for things, beings, and people. From the moment of rebirth-consciousness there are nama and rupa which are arising and falling away, succeeding one another all the time. When we leave our mother’s womb and enter this world we experience the sense objects which appear through the six doors. We see, hear, smell, taste, and experience cold and heat through the body sense. We do not know that what appears through the eyes is only a kind of reality that can be seen, visible object.
무지는 깊이 뿌리 박혀 있고 매우 끈질기다. 무지는 우리로 하여금 관습적인 진리에 매달리도록 조건 짓고 실재를 사물, 존재, 사람으로 잘못 알도록 한다. 재생연결식의 순간부터 항상 연이어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정신과 물질이 있다. 우리가 어머니 자궁을 떠나서 이 세상에 온 순간부터 여섯 문을 통해서 나타나는 감각대상을 경험한다.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신체 감각을 통해 차고 더움을 경험한다. (그러나) 우리는 눈을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 오로지 보이는 대상에 의해 보이는 실재라는 것을 모른다.
Realities arise and fall away and succeed one another all the time, but it seems as if they do not arise and fall away and thus they are taken for “something.” We cling to a concept of things as a mass, a conglomeration or whole (gana pannatti). We may do this even when we don’t yet know the conventional terms of things. Even small children, who cannot talk yet and do not know the meanings of things as expressed in language, and also animals, know concepts of a “whole.” When a child grows up it learns the correct meaning of the words used in language, which denote concepts. Thus, the child becomes familiar with conventional truth.
실재는 늘 잇달아서 일어났다가 사라진다. 그러나 일어나고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어떤 무엇’으로 잘못 안다. 우리는 덩어리, 집합, 전체로써의 사물의 개념에 집착한다. 심지어 사물의 관습적인 용어를 아직 알지 못할지라도 집착한다. 아직 말도 하지 못하고 사물의 의미를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어린 아이도 집착한다. 어린 아이가 자라면 언어를 사용하여 개념을 드러내는 단어의 뜻을 안다. 그리하여 아이들은 차츰 관습적인 진리에 익숙해진다.
If we only know conventional truth, and do not develop right understanding of nama (mentality) and rupa (physical phenomena), realities appear as if they do not arise and fall away. It seems that we see things, beings, and people. We may touch a cup, a plate, a spoon or fork, but in reality it is just the element of earth[4] or hardness that is touched. What do we see or touch in daily life? When we touch something we are not used to realizing that the reality of hardness can be touched. We have the feeling that we touch a spoon, a fork, a plate, or a cup.
만일 우리가 관습적인 진리만 안다면 정신과 물질에 관한 바른 이해를 계발하지 못하고 실재는 마치 일어나고 사라지지 않는 것처럼 드러난다. 우리는 마치 사물, 존재, 사람 등을 보는 것 같다. 우리는 컵, 접시, 스푼, 포크 등을 만진다고 할지 모르지만 실제로는 다만 지대 즉, 단단함을 접촉할 뿐이다. 우리가 생활 속에서 보거나 만지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가 무언가에 접촉할 때는 단단함이라는 실재와 접촉했는지를 알지 못하기 쉽다. (다만) 우리는 스푼, 포크, 접시, 컵 등과 접촉했다고 느낀다.
[4] The element of earth denotes solidity appearing as hardness or softness. I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ouch.
Since realities arise and fall away and succeed one another very rapidly, we cling to the shape and form of things, to a conglomeration or mass. It seems that the spoon is hard, the fork is hard, the cup is hard, and the plate is hard. In reality, what is touched is only the rupa (physical phenomena) which is hardness, the element of hardness. Since we remember the different shapes and forms of things we know that a cup is not a dish, a spoon is not a fork. What is real in the absolute sense is rupa dhamma,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hardness, but we remember only what is real in the conventional sense. We remember that a dish is for serving rice, a bowl for curry and a spoon for serving food.
실재는 일어났다가 사라지고 서로 빠르게 이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덩어리나 집합으로서의 사물의 형태나 모양에 집착한다. 스푼은 단단하게 보이고 포크도 단단하게 보이며 컵도 그렇고 접시도 단단하게 보인다. 실재로 우리가 접촉하는 건 단단함이라는 요소인 루빠(물질적 현상)일 뿐이다. 우리는 사물의 다른 모양과 형태를 기억하기 때문에 컵은 접시가 아니고 스푼은 포크가 아니라고 안다. (그러나) 절대적 의미에서 실재하는 건 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적인 현상(루빠 담마)이다. 그러나 우리는 관습적 의미에서 실재하는 것을 기억한다. 접시는 밥을 담는 것이고 그릇은 카레를, 스푼은 음식을 먹기 위한 것이라고 기억한다.
One recognizes the conventional things, which are in reality different elements. When one sees, for example, a radio or a television, one takes it for granted that they are composed of iron, plastic, and other materials. However, in reality the component parts are only different rupa elements. One may be forgetful of the characteristics of nama dhammas and rupa dhammas that appear one at a time and then fall away. One remembers the conventional terms of things after seeing what appears through the eyes. There are, all the time, more and more conventional terms needed because every day there are new inventions. When we know the shape and form of different things that appear as a mass or a whole, we know concepts, conventional truth, not absolute truth.
사람들은 실재에 있어서는 다른 요소를 관습적인 사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보고 그것들이 철, 플라스틱, 그리고 다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러나 실재는 구성하는 부분들이 다른 물질적 요소일 뿐이다. 한 순간에 하나씩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정신과 물질의 특성을 잊어버렸는지도 모르겠다. 사람들은 눈을 통해 나타나는 것을 본 후에 (그) 사물을 관습적인 용어로 기억한다. 매일 새로운 발명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더 많은 관습적인 용어들이 필요할 것이다. 덩어리나 전체로써 나타나는 여러 가지 사물의 모양이나 형태를 알면 우리는 개념, 즉 세속적인 진실을 아는 것이지 절대적인 진실을 아는 것이 아니다.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