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레이션 : 허윤희 (DJ) 김세환 (성우, ‘밥 로스의 그림을 그립시다.’ 밥 로스 역)
70 여 년 전 이 땅을 방문한 어느 스웨덴 학자의 책 - 1930년대 한국이 담긴 소중한 기록
1930년대 우리나라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우리가 일제암흑기라 부르던 그 캄캄한 시절에도 이 땅의 자연은 속절없이 푸르렀고,
사람들은 그들의 삶을 이어갔다. 당시 이 땅을 방문했던 어느 스웨덴 학자는 그 모습을 카메라에 오롯이 담아 한 권의 책으로
펴냈다. 우리에겐 낯선 우리의 이야기, <한국의 야생동물지 (In Korean Wilds & Villages,
1938)>다.
스텐 베리만(1895~1975)은 스웨덴의 동물학자이자 탐구 여행가로 조류 생태 연구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1935년 우리나라를
방문했다. <한국의 야생동물지>는 그가 약 2년간 이 땅에 머물면서 겪은 일들과 직접 찍은 100여 장의 사진을 엮어낸
책이다. 마을과 들판에서 만난 순박한 사람들은 물론 매사냥꾼, 어부, 기생, 해녀 등 생생한 사진들은 우리를 당시의 시대상,
자연, 풍속과 조우하게 해주는 소중한 기록이다.
스웨덴에 남아있는 스텐 베리만의 자손들에게 한국은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사랑했던 나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들은 스텐
베리만이 책에 다 담지 못한 400여장의 사진과 함께 흥미로운 뒷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다양한 형식의 애니메이션으로 풀어낸 다큐멘터리
은 그가 남긴 기록과 그 행간에
숨어있는 흥미로운 사실들을 담은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이다. 총 3부작 중 1, 2부의 주요 에피소드들을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로
제작했다. 덕분에 그가 남긴 사진 자료와 이야기들이 생동감 있게 되살아날 수 있었다. 사진이 움직이는 픽쳐 애니메이션은 물론
간결한 스케치 애니메이션, 채색된 풀 애니메이션 등등 다양한 2D 애니메이션은 따뜻하고 감성적이며 호기심 가득했던 스텐 베리만의
시선으로 우리의 모습을 바라보게 해 줄 것이다.
☐ 1부 코레아의 산과 들에서
1935년 2월, 위해 스웨덴 구스타프 국왕의 든든한 후원을 받으며 고국을 떠난 스텐 베리만. 그는 육로로 시베리아 횡단
열차 등을 갈아타며 13일 만에 지금의 서울, 경성에 도착한다. 그는 동행한 박제사 훼크비스트와 조수 겸 요리사였던 후지모토
겐지와 함께 함경북도 주을 지역을 거점으로 ‘스웨덴 자연사 박물관’에 기증할 새와 동물들 수집을 시작한다. 그의 이야기를 통해서 그
무렵 이 땅에 살고 있던 다양한 동물들에 대해 알아본다.
그는 일본군의 호위를 받으며 악천후를 뚫고 백두산에도 오르는데 오늘날 우린 중국을 통해서 반쪽짜리 백두산을 감상할 수 있을
뿐이다. 당시 그에게 도움을 주었던 전설적인 러시아 사냥꾼 양코프스키가 ‘해로운 동물인 호랑이를 죽여주어’ 근방의 한국인들에게
칭송을 받았다는 사실은 한반도 호랑이 멸종 위기를 논하는 지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지. 또한 일제에 의해 ‘창경원’이 되어버린
창경궁, 그곳에서 벚꽃놀이를 즐기며 세상살이 시름을 잊었다는 수십만 인파의 모습을 보며 역사의 아이러니를 되짚어본다.
☐ 2부 잃어버린 땅, 이어지는 삶
1935년은 일제의 식민지배가 공고히 자리 잡았던 때였다. 땅을 빼앗기고, 늘 굶주려야 했던 그 때. 그래도 사람들의 삶은
억척스레 이어져갔다. 스텐 베리만은 한국인의 삶과 민속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일상과 혼례 장례 등을 비롯해 민간의료까지
그가 남긴 기록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스텐 베리만은 뭐든 직접 체험하길 좋아하여, 청진항 근해의
정어리 잡이에도 나선다. ‘서양괴물’이 탔다는 뱃사람들의 놀림을 유쾌한 농담으로 웃어넘기는 그의 넉넉함이 만선으로 돌아오는 배의
모습과 함께 사진으로 남아있다.
스텐 베리만 이전에도 한국을 방문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 서구 이방인들은 꽤 있었다.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는 1919년 이 땅을
여행하며 다양한 풍경과 사람들을 그녀의 화폭에 담았고, <성 베네딕토 수도회>의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는 1925년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라는 풍물 기록 영화를 남긴 바 있다.
스텐 베리만 역시 많은 동영상을 촬영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36년 여름 스텐 베리만은 사리원에서 열린 축제에 초대받는데,
그곳에서 특별히 교육받은 기생들과 봉산탈춤에 매료된다. 당시 기생 중에는 박물관의 연회에 참석했다가 술 취한 박물관장에 의해
신라시대 금관을 써보는 호사를 누린 기생도 있었다. 다름 아닌 스웨덴 국왕이 발굴에 참여했던 서봉총 발굴 금관과 허리띠였다. 그 날
밤 금관에 허리띠까지 두른 기생을 찍은 사진이 시중에 떠돌다 신문에 실리면서 그 박물관장은 곧장 해임되었다고 한다.
그 밖에도 지금의 북한 지역을 주요 거점으로 탐구활동을 벌이던 그가 지리산에서 제주도까지 한국 전역을 여행하며 보고 느낀 것들을
통해 당시 종교, 사회상을 되돌아본다.
☐ 3부 사람은 가도 옛날은 남는 것
스텐 베리만이 우리나라를 다녀간 후, 70여년이 흘렀다. 이야기는 1997년, 제작진이 네덜란드의 고서점에서 우연히 그의
책을 발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의 책은 100 여 장이 넘는 놀라운 사진, 생태에서 민속을 아우르는 이야기가 가득 담긴 한
권의 타임캡슐이었다. 과연 그는 누구였을까? 어떻게 이런 기록을 남겼을까? 제작진은 스웨덴으로 향한다.
1895년 스웨덴의 작은 마을 란세테르에서 태어난 스텐 베리만. 그는 동물학을 공부하고 어릴 때부터의 꿈인 탐험가가 되어 캄차카와
쿠릴 열도를 누볐다. 그가 쓴 탐험기는 30여 개국에 번역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그의 흔적이 남아있는 스웨덴 국립 자연사
박물관, 일본의 야마시나 조류 연구소 등을 찾아 그가 남긴 학문적인 업적에 대해 알아보고, 그의 자녀들을 통해 그의 일생을
되돌아본다.
몇 마디 말로 ‘그가 누구인가’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쉽지 않다. 그는 이 땅의 야생동물을 제 맘껏 수집해간 간 남획자일
수도 있고, 우리 대신 우리의 옛 모습을 상세히 기록해준 고마운 이방인일 수도 있다. 그게 어느 쪽이든 여느 백인들과 달리
우월주의를 벗어나, 따뜻한 시선으로 이 땅을 돌아보았던 여행자임엔 틀림없는 스텐 베리만, 그의 기록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본다.





첫댓글 빨리 오려주세요 빨리 보구 싶네요 올리 지면 쪽지 주심 감사하구요
한국에 대한 솔직한 애정이 보이네요. 애니메이션이 인상적이에요~
일본인이 주인인게 확실히 드러나는 애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