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돔낚시… 밑걸림 줄이고 미끼 움직임 자연스럽게
겨울감성돔낚시는 바닥층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공략하느냐에 따라 조과가 달라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온이 바닥권으로 떨어지면서, 감성돔 활성도 역시 낮아질대로 낮아져 있기 때문이다. 바닥층에 머물고 있는 경계심 높은 감성돔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채비를 만들 때 신경을 써야 한다. 활성도가 높은 가을이나 초겨울에는 상식에서 벗어난 채비만 아니면 얼마든지 입질 받을 수 있지만, 한겨울에는 사정이 많이 다르다. 계절 특성을 고려해 그에 맞는 채비를 사용해야 손맛 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겨울 감성돔 채비는 약은 입질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예민하게 만드는 게 좋다. 또한 미끼가 입질 예상 지점인 바닥층에서 잘 벗어나지 않도록 침강성도 우수해야 한다. 탐색형 수중찌를 사용하면 이같은 특징을 함께 갖춘 채비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겨울 감성돔낚시에서는 고부력 반유동채비를 사용한다. 저부력 전유동채비에서와는 달리, 고부력 반유동채비에서는 탐색형 수중찌를 목줄에 다는 게 효과적이다. 탐색형 수중찌는 속조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미끼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줄 뿐 아니라, 밑걸림을 줄이는 능력도 뛰어나다.
벵에돔낚시… 가벼운 밑채비 효과적으로 하강
한겨울은 연중 벵에돔 씨알이 가장 굵은 시기이기도 하다. 남해안 먼바다 섬으로 낚시터가 한정되고 포인트 역시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 시기에 벵에돔낚시를 즐기는 꾼들이 생각보다 많은 이유도 씨알 때문이다. 대물급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한겨울 벵에돔낚시에서 좋은 조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채비를 다소 무겁게 만드는 게 효과적이다. 낮은 수온으로 인해 입질이 대부분 바닥층에서 오기 때문이다. 탐색형 수중찌를 사용하면, 저부력 채비로도 대물벵에돔이 머물고 있는 바닥층까지 미끼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힐 수 있을 뿐 아니라, 밑채비 움직임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참돔낚시… 밑밥과 미끼 동조시키는 능력 탁월
참돔은 다른 낚시 대상어에 비해 밑밥에 빠르게 반응하는 어종이다. 따라서 참돔낚시에서 좋은 조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밑밥과 미끼를 동조시키는 게 매우 중요하다. 겨울에도 참돔을 노릴 때는 밑밥과 미끼를 동조 시키는데 관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겨울에는 주로 수심 깊고 조류 빠른 포인트에서 고부력채비를 사용해 참돔낚시가 이뤄진다. 따라서 밑밥 역시 비중이 큰 집어제를 넉넉히 섞어 무겁게 만드는 게 좋다. 얼핏 생각하면 채비와 밑밥이 모두 무겁기 때문에 밑밥과 미끼를 동조시키기 쉬울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사정이 많이 다르다. 이런 상황에서 밑밥과 미끼를 효과적으로 동조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채비 투척 지점과 밑밥 투척 지점을 잘 선정해야 한다. 조류 세기와 밑밥 하강 속도 그리고 밑채비 하강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투척 지점을 정해야 하는 것이다. 고부력 반유동채비를 사용하는 한겨울 참돔낚시에서 탐색형 수중찌를 활용하면 밑밥과 미끼를 효과적으로 동조시킬 수 있다. 탐색형 수중찌는 목줄에 다는 게 기본이다. 조류 세기나 공략 수심 그리고 공략 거리에 따라 다는 위치가 달라진다. 조류가 빠른 경우에는 탐색형 수중찌를 도래 밑에 달고, 좁쌀봉돌은 바늘 가까이 물려야 한다. 반면, 조류가 느리거나 공략 거리가 짧을 때는 바늘 가까이 탐색형 수중찌를 달아야 하며, 좁쌀봉돌은 되도록 물리지 않는 게 좋다. 탐색형 수중찌는 잔존부력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미끼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선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