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세이 본선 노선도감
1. 노선 데이터
영업 km : 69.3km(케이세이우에노~나리타공항)
궤간 : 1435mm(표준궤)
역수 : 42개 역(케이세이우에노~나리타공항)
단선/복선구분 : 아오토~케이세이다카사고간 복복선, 케이세이우에노~아오토/케이세이다카사고~쿠코다이니비루간 복선 / 쿠코다이니비루~나리타공항 구간 단선
전철화 구분 : 전 노선 전철화(직류 1.5kV)
선로최고시속 : 110km/h(케이세이나리타~코마이노신호장간)
신호장치 : C-ATS(케이세이/신케이세이/호쿠소/케이큐/시바야마철도/도에이아사쿠사선 표준)
전 구간 IC카드 사용 가능
도쿄에서 나리타공항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사철로서, 케이세이 소유의 노선은 케이세이우에노~케이세이나리타~코마이노신호장 구간이며, 코마이노신호장~나리타공항은 원래는 나리타공항고속철도가 선로의 주인이며 케이세이전철은 JR과 같이 선로사용료를 내면서 사용하고 있다. 노선 전 구간이 JR소부본선/JR나리타선 등과 치열하게 경합하는 구간으로, 공항 승객의 수송은 JR나리타익스프레스와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와의 대결구도가 조성되었고, 통근수송의 경우도 JR소부본선의 쾌속열차 등과 열띤 경쟁을 벌이고 있다.
우에노~츠다누마 구간의 선로 사정은 매우 열악한 편이며, 급곡선 구간이 많은 관계로 JR이 소요시간/선로사정 등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오히려 나리타방면의 이용객은 거꾸로 케이세이 쪽이 많다.(JR은 치바를 돌아가는 루트이기 때문에) 그래서 소부선을 이용한 승객이 케이세이후나바시역에서 케이세이본선으로 갈아타서 나리타 방면으로 가는 이용자들이 매우 많으며, 따라서 케이세이의 최혼잡 구간은 도심이 아니라 다이진구시타~케이세이후나바시 구간이다.(157%)
JR에 비해 선로사정이 좋지 않은 약점을 케이세이-도에이-케이큐-호쿠소-시바야마 5사간 직통운행이라는 회심의 카드로 극복한 전형적인 사례이다. 하네다공항~나리타공항 간의 직통루트가 효율적으로 짜여 있으며 타사 차량도 활발히 운행되고 있어서 요즘은 오히려 케이세이 오시아게선이 본선 대우를 받고 케이세이우에노~아오토간의 본선이 지선 취급을 받기도 한다. 쾌특/특급/통근특급/쾌속(도에이 직통)의 이용률이 비교적 높으며, 대부분 열차가 8량편성으로 운전되고 있다. 보통열차는 4/6량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스카이라이너의 경우는 2011년 나리타신공항철도 개통 이후 호쿠소철도선/나리타스카이억세스선 경유로 새로운 차량을 도입하였고. JR도 이에 대한 대향마로 신형차량 E259계 카드를 내놓아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현재는 나리타스카이억세스선 경유 열차도 활발하게 운행되고 있다.
2. 전면전망 동영상
하행열차 동영상(케이세이우에노 -> 나리타공항)
상행열차 동영상(나리타공항 -> 케이세이우에노)
3. 역사
1912/11/03 - 오시아게~마와가네(현재의 케이세이다카사고)~이요타(현재의 에도가와)간 개업. 궤간 1372mm
1914/08/30 - 에도가와~이치카와신덴(현재의 이치카와마마)간 개업.
1915/11/03 - 이치카와신덴~나카야마(현재의 케이세이나카야마)간 개업.
1916/12/30 - 나카야마~후나바시간 개업.
1921/07/17 - 후나바시~츠다누마간 개업.
1926/12/09 - 츠다누마~시쓰이간 개업.
1926/12/24 - 시쓰이~나리타하나사키쵸(가정차장)간 개업.
1930/04/25 - 나리타하나사키쵸(가정차장)~나리타간 개업. 가정차장 폐지.
1931/11/18 - 다카사고, 후나바시, 나리타, 츠다누마 등의 역 앞에 <케이세이>명칭을 붙임.
1931/12/19 - 케이세이 우에노선 닛포리~아오토간 개업.
1933/12/10 - 케이세이 우에노선 우에노코엔(현재의 케이세이우에노)~닛포리간 개업.
1944/--/-- - 우에노코엔~케이세이나리타간을 본선, 오시아게~아오토 구간을 케이세이 오시아게선으로 분리.
1959/10/14 - 소우고산도~케이세이나리타 구간을 표준궤(1435mm)로 개보수함으로 케이세이본선 표준궤화작업 개시.
1959/11/30 - 케이세이우에노~닛포리 구간을 마지막으로 표준궤작업 완성.
1970/08/24 - 오하나차야~아오토간 고가화.
1973/12/30 - 스카이라이너 운행개시.
1978/05/21 - 케이세이나리타~나리타공항(현재의 히가시나리타)간 개업.
1985/08/12 - 아오토~케이세이타카사고 구간 복복선화.
1991/03/19 - 나리타국제공항 완공으로 코마노분기점~나리타공항간 나리타공항고속철도 개업. 케이세이나리타~히가시나리타
구간은 케이세이 히가시나리타선으로 분리됨.
1994/04/01 - 소우고산도~케이세이나리타간 경로 변경.
2006/11/25 - 카이진~후나바시케이바죠간 복선 고가화 완성. 케이세이후나바시/다이진구시타역 상하행선 고가화 완성.
2009/11/14 - 공항제2빌딩역이 섬식 승강장으로 되면서 코마이노신호장~공항제2빌딩 구간 복선화.
2010/07/17 - 나리타스카이억세스선 개업, 본선 운행계통이 변경되며 스카이라이너 신형 AE형 차량 운행, 억세스특급 운행 개시.
2014/06/07 - 케이세이타카사고~야치요다이 구간의 신호체계가 C-ATS로 바뀌며 전 구간 C-ATS신호체계로 변경.
4. 운행 형태
전 노선, 특별히 케이세이우에노~케이세이츠다누마 구간은 직선 구간이 짧고 급곡선 구간이 많은 형태로, 다른 도쿄지역 사철에 비해 선로환경이 열악하여, 시각표 상에 병목구간이 다수 존재한다. 케이세이후나바시~케이세이나리타 구간은, 치바역을 경유하는 JR과 비교해서 비교적 선형이 우수하며, 소요시간이 적으며 운임면에서도 유리하다. 도쿄메트로 도자이선과 직통하는 토요고속철도와 경쟁관계에 있으며 운임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소요시간에서 열세에 있기 때문에, 카츠타다이역에서 토요고속선과 환승하는 승객들이 상당히 많다.
쾌속특급/특급/통근특급 전 열차와 쾌속의 대부분은 이용률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8량편성으로 운전되나, 보통열차는 승강장 길이가 6량분 밖에 없는 역이 있기 때문에, 일부 보통열차만 8량으로 운행되며, 대부분의 보통열차는 6량/4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스카이억세스선 경로와 본선 경로가 나뉘어 있기 때문에, 안내루트도 서로 구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카이라이너 - 시간당 2편 운행하며, 1일 29왕복 운전되고 있다. 전 좌석 지정석으로 운행되며, 8량편성의 AE형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 열차가 나리타스카이억세스선 경유로 운행되며, 최고속도는 재래선 최고속인 160km/h이다. 케이세이우에노~나리타공항 구간을 최속 41분에 연결한다. 정차역도 매우 심플해서, 닛포리~쿠코다이니비루 구간의 전 역을 전 열차가 모두 통과한다.
모닝라이너 / 이브닝라이너 - 홈라이너 성격을 가지는 열차로, 본선 경유로 운행된다. 모닝라이너는 아침에 상행으로, 이브닝라이너는 저녁에 하행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케이세이우에노~케이세이나리타/나리타공항 경로로 운전된다. 전 차량 지정석으로 운영되며, 역시 AE형 8량편성으로 운행된다.
쾌속특급 - 일반차량으로 운행되는 최상위 속달열차로, 2006년부터 운행되기 시작했다. 여러 가지 패턴의 열차가 운행되는데, 우선 케이세이우에노~케이세이나리타/나리타공항/시바야마치요다 구간의 열차가 있으며, 그 외 도에이지하철 니시마고메 출발열차, 케이큐선 하네다공항 출발열차 이렇게 3가지의 패턴이 운행된다. 원래는 케이큐와 맞추기 위해서 <쾌특>으로 명칭이 정해졌지만, <쾌속>과 읽는 소리가 비슷하여 혼동 방지를 위해 명칭이 쾌속특급으로 변경되었다. 원칙적으로 케이세이전철 차량이 주로 운용되나, 도에이지하철 소속 차량이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
억세스특급 - 2010년 7월 17일부터 개업한 나리타스카이억세스선을 경유하는 일반차량 중 최고 등급의 열차이며, 쾌속특급과 경로만 다를 뿐 동급이다. 본선 내에서의 정차역은 쾌속특급과 같으며, 케이세이타카사고부터 케이세이나리타까지는 케이세이 나리타공항선을 경유한다. 케이세이우에노발 / 니시마고메발 / 하네다공항발 이렇게 3가지의 패턴이 있는 것은 동일하다. 그 외 소수파로 오시아게역 출발, 미사키구치, 쿠리하마발 등 열차도 일부 있다. 케이세이전철 차량이 중심이지만, 그 외에도 케이큐의 차량이 운행에 참여한다.
특급 - 특급은 일반차량 중에서 속달 등급으로, 낮시간에 케이세이우에노~나리타공항 구간의 본선경유 열차이다. 스카이라이너 등과 구별하기 위해서 차내 방송에서는 <보통특급>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케이세이우에노~나리타공항 간의 소요시간은 약 71분 정도이며, 낮시간대에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케이세이우에노 ~ 나리타공항/시바야마치요다 외에도 니시마고메, 하네다공항 등의 패턴이 있으며, 호쿠소철도로 직통하여 인바니혼이다이/인자이마키노하라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케이세이우에노~케이세이사쿠라까지는 쾌속특급과 같은 정차역을 가지나, 케이세이사쿠라부터는 각역정차화 되는 특징이 있다.
통근특급 - 2002년 10월 12일부터 운행되기 시작한 종별로, 케이세이우에노/케이세이타카사고~카츠타다이 구간에서는 쾌속특급/특급과 정차역이 같지만, 카츠타다이~나리타공항 구간은 각역정차를 하는 등급이다. 주로 통근시간대에 운행된다. 아침시간대의 통근특급은, 여성전용차량이 설치되어 있다. 설정 위치는 진행방향 맨 뒤의 차량이다. 모두 케이세이 차량으로 운전된다.
쾌속 - 2002년 10월 12일부터 운행을 개시했으며, 주로 도에이지하철 아사쿠사선 직통을 부담하는 준속달 열차이다. 케이세이우에노~케이세이츠다누마 구간에서는 통과역이 꽤 있는 편이지만, 케이세이츠다누마역부터는 무조건 각역정차를 한다. 도에이지하철 차량 및 케이세이전철의 차량이 주로 사용되나, 케이큐의 차량도 소수 사용되고 있다.
보통 - 각 역에 정차하는 열차이다. 주로 케이세이우에노~케이세이츠다누마/케이세이우스이 구간의 열차가 보통열차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외에도 치바선/치하라선 직통열차가 출퇴근시간대를 중심으로 운행되고 있다. 그 외에 도에이지하철 직통 보통열차도 활발하게 운행되고 있으며, 주로 도에이지하철 직통 보통열차는 호쿠소철도 방면으로 직통하는 경우가 많다. 소수이지만 소고산도, 케이세이츠다누마, 케이세이나리타 출발 보통열차의 운행도 어느 정도 있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4량/6량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5. 운용 차량
케이세이 AE형 - 8량편성. 유료특급 스카이라이너 / 모닝라이너 / 이브닝라이너로 사용.
케이세이 3000형 - 6/8량편성. 보통/특급/쾌속특급/억세스특급/쾌속 등에 다용도로 사용.
케이세이 3050형 - 8량편성. 특급/통근특급/쾌속특급/쾌속 등에 다용도로 사용.
케이세이 3100형 - 8량편성. 주로 억세스특급 등에 사용.
케이세이 3400형 - 8량편성. 특급/통근특급/쾌속특급/쾌속 등에 다용도로 사용.
케이세이 3500형 - 4/6량편성. 쾌속/보통 등에 사용.
케이세이 3600형 - 4/8량편성. 쾌속/보통/특급/통근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케이세이 3700형 - 8량편성. 특급/통근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도에이지하철 5500형 - 8량편성. 억세스특급 등으로 운용.
도에이지하철 5300형 - 8량편성. 쾌속/특급/통근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케이큐 1000형 1800번대 - 8량(4량+4량)편성. 억세스특급으로 운용.
케이큐 1000형 - 8량편성. 억세스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케이큐 600형 - 8량편성. 억세스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케이큐 1500형(1700번대) - 8량편성. 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호쿠소철도 7300형 - 8량편성. 주로 오시아게선 경유로 보통/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호쿠소철도 7500형 - 8량편성. 주로 오시아게선 경유로 보통/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치바뉴타운철도 9100형 - 8량편성. 주로 오시아게선 경유로 보통/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치바뉴타운철도 9200형 - 8량편성. 주로 오시아게선 경유로 보통/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치바뉴타운철도 9800형 - 8량편성. 주로 오시아게선 경유로 보통/특급/쾌속특급 등에 사용.
시바야마철도 3500형 - 4량편성. 주로 보통열차로 운용.
6. 역 일람
7. 역사진 컬렉션
JR우에노역 환승안내(도보 15분, 신칸센 25분)
1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30) - 타바타/미나미우라와/오오미야 방면
2번 승강장 - JR야마노테선(JY05) - 타바타/이케부쿠로/신주쿠 방면
3번 승강장 - JR야마노테선(JY05) - 도쿄/신바시/시나가와 방면
4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30) - 도쿄/신바시/시나가와 방면
5/6/13~16번 승강장 - JR우츠노미야선(JU02) - 오쿠/오오미야/우츠노미야 방면
6/8/9~12/16/17번 승강장 - JR죠반선(JJ01) - 미나미센쥬/카시와/미토 방면
7/8/9번 승강장 - JR우에노토쿄라인(JU02) - 도쿄/요코하마/오다와라 방면
19/20번 승강장 - JR도호쿠신칸센 - 오오미야/센다이/신아오모리 방면
21/22번 승강장 - JR도호쿠신칸센 - 도쿄 방면
도쿄메트로 우에노역 환승안내(도보 10~15분)
긴자선 1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긴자선(G16) - 신바시/오모테산도/시부야 방면
긴자선 2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긴자선(G16) - 아사쿠사 방면
히비야선 1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히비야선(H18) - 아키하바라/롯폰기/나카메구로 방면
히비야선 2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히비야선(H18) - 기타센쥬/니시아라이/미나미쿠리하시 방면
닛포리역 환승안내
3번 승강장 - JR죠반선(JJ02) - 우에노/도쿄/시나가와 방면
4번 승강장 - JR죠반선(JJ02) - 기타센쥬/마츠도/토리데 방면
9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32) - 우에노/도쿄/요코하마 방면
10번 승강장 - JR야마노테선(JY07) - 우에노/도쿄/시나가와 방면
11번 승강장 - JR야마노테선(JY07) - 타바타/이케부쿠로/신주쿠 방면
12번 승강장 - JR게이힌토호쿠선(JK32) - 타바타/미나미우라와/오오미야 방면
도쿄도교통국 닛포리-토네리라이너 닛포리역 환승안내
1/2번 승강장 - 도쿄도교통국 닛포리-토네리 라이너(NT01) - 쿠마노마에/토네리코엔/미누마다이신스이코엔 방면
도쿄메트로 마치야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0~15분)
1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치요다선(C17) - 오오테마치/요요기우에하라 방면
2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치요다선(C17) - 기타센쥬/아야세/토리데 방면
도쿄사쿠라트램 마치야에키마에 정류장 환승안내
남측 승강장 - 도쿄 사쿠라트램(SA06) - 쿠마노마에/오지에키마에/와세다 방면
북측 승강장 - 도쿄 사쿠라트램(SA06) - 미노와바시 방면
토부철도 우시다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번 승강장 - 토부 스카이트리라인(TS08) - 기타센쥬/신코시가야/토부도부츠코엔 방면
2번 승강장 - 토부 스카이트리라인(TS08) - 히키후네/아사쿠사 방면
아오토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5분)
1번 승강장 - 토부 오시아게선(KS09) - 오시아게/아사쿠사/니시마고메 방면
케이세이타카사고역 환승안내
4번 승강장 - 호쿠소철도선/나리타스카이억세스선(KS10) - 히가시마츠도/인바니혼이다이/나리타공항 방면
5번 승강장 - 케이세이 카나마치선(KS10) - 케이세이카나마치 방면
도에이 모토야와타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2번 승강장 - 도에이 신주쿠선(S21) - 진보쵸/신주쿠/사사즈카 방면
후나바시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5분)
1번 승강장 - JR츄오소부완행선(JB31) - 니시후나바시/아키하바라/나카노 방면
2번 승강장 - JR츄오소부완행선(JB31) - 마쿠하리/이나게/치바 방면
3번 승강장 - JR소부쾌속선(JO25) - 긴시쵸/도쿄/요코하마 방면
4번 승강장 - JR소부쾌속선(JO25) - 츠다누마/치바/나리타공항 방면
토부 후나바시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0~15분)
1/2번 승강장 - 토부 어번파크라인(TD35) - 신카마가야/카시와/오오미야 방면
케이세이 츠다누마역 환승안내(환승시간 3~5분)
3/4/5번 승강장 - 케이세이 치바선(KS26) - 케이세이치바/치하라다이 방면
5/6번 승강장 - 신케이세이전철 신케이세이선(SL24) - 기타나라시노/신카마가야/마츠도 방면
카츠타다이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2번 승강장 - 토요고속철도 토요고속선(TR09) - 무라카미/니시후나바시/나카노 방면
유카리가오카역 환승안내
승강장 - 야마만 유카리가오카선 - 지쿠센터/죠시다이/이노 방면
JR나리타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2번 승강장 - JR나리타선(JO35) - 사쿠라/치바/도쿄 방면
3번 승강장 - JR나리타선(JO35) - 나리타공항 방면
5번 승강장 - JR나리타선 - 사와라/쵸시/카시마진구 방면
6번 승강장 - JR나리타선 아비코지선 - 아비코/우에노 방면
케이세이나리타역 환승안내
1/2/6번 승강장 - 케이세이 히가시나리타선(KS40) - 히가시나리타/시바야마치요다 방면
쿠코다이니비루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번 승강장 - 케이세이 나리타공항선(KS41) - 인바니혼이다이/케이세이타카사고 방면
JR1번 승강장 - JR나리타선 공항지선(JO36) - 나리타/사쿠라/치바 방면
나리타공항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번 승강장 - 케이세이 나리타공항선(KS42) - 인바니혼이다이/신카마가야/케이세이타카사고 방면
JR1/2번 승강장 - JR나리타선 공항지선(JO37) - 나리타/사쿠라/치바 방면
첫댓글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작년 말에 가 보니 낮 시간대에는 쾌속만 나리타공항에 들어와서 나리타역에서 특급으로 환승해야 빨리 도쿄 시내로 갈 수 있도록 사악하게 시각표가 바뀌어져 있더군요. (모르는 사람들은 그냥 정차역이 많은 쾌속 타고 가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