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
1. 개요
가지목 가지과 구기자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구기자는 열매 이름이며 나무 이름은 구기자나무, 순 한국말로는 괴좆나무, 물고추나무 이지만 현재는 어감 때문에 열매 이름을 따서 구기자 나무로 불린다. 다시말해 나무 이름이 열매 이름에게 역으로 먹혀 버릴만큼 열매의 존재의의가 크다.
2. 상세[편집]
높이는 1~2m이며 크게는 4m까지 자란다. 7~8월 한여름에 꽃이 피며 늦여름에 꽃이 지면서 열매가 자란다.
야생에서도 간간히 발견되며 시골에서 마당에 한그루씩 흔히 키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적응성이 좋아 아파트 단지 내에서도 많이 볼 수 있지만 농약 범벅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먹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한국을 포함하여 아시아 전역에 넓게 분포한다. 덕분에 아시아에서 간식 내지는 귀한 약재까지 다양한 용도로 쓰여왔으며 영지버섯과 함께 십장생에 나오는 불로초로 추정되는 식물 중 하나다. 특히 중국의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영하 구기자가 특상품으로 유명하다.[1]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나온 불로초 나무라고 한다.
해외에서는 구기자 열매를 고지베리[2]라고 부른다. 울프베리(wolfberry)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학명인 Lycium의 어원을 늑대(그리스어로 뤼코스(lykos))로 착각해서 생긴 이름이다. 원래는 아나톨리아 지방의 뤼키아(Lycia)에서 자주 나는 식물이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진도, 청양 구기자가 등록되어 있다.
3. 활용[편집]
구기자 나무 열매는 시력에 매우 좋다하며 특히 삼계탕에 넣어 먹으면 좋다고 한다.
각종 매체에서 악녀로 묘사되는 청나라 서태후가 스테미너 보충을 위해 즐겨 찾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구기자의 열매는 강장제로 유명했으며, 한국에서도 예로부터 강정제의 약재로 쓰여왔다. 다만 찬 성질이 있어 과량 복용시 폭풍설사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단독으로 사용하지 말고 보완 약재를 같이 써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말린 구기자를 먹을 때도 한번에 과량은 금물이고 따뜻한 차와 함께 먹는 것을 추천하기도 한다.
잎, 열매, 뿌리껍질 무엇하나 빠질 것 없이 약재/식재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효능에는 면역 기능 개선, 뇌세포 손상 방지, 피부 건강, 눈, 혈당 수치, 간 개선 등이 있다. 약용에는, 뿌리의 껍질, 열매를 사용한다. 근피, 과실 모두 가을에 채취하며 근피는 강장, 염증의 억제, 해열에, 과실은 강장약으로서 달여 마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