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JC특우회 일본 대마도 덕혜옹주 비문 봐 (4)
안동JC특우회원들은 어둠이 스며드는 가운데 조선 마지막 비운의
덕혜옹주(德惠翁主) 결혼봉축기념비 앞에 섰다.
어둠이 깃든데다 기념비마져 검은색으로 변해있어 비문 글씨마저
잘 보이지 않을 정도다.
자세히 보니 "이왕가종백작가어결혼봉축기념비(李王家宗伯爵家
御結婚奉祝記念碑)"라고 써 있다.
일본 대마도에 관광객으로 오는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덕혜옹주의
결혼 기념비를 보거나 사진을 찍을 것이다.
제 26대 고종의 장여 덕혜옹주가 昭和 6년(1931) 5월 일본 대마도의
宗武志(소다케유키)와 결혼을 하였다.
이 비는 두 분의 성혼을 축하하며 대마도 거주 한국인들이 건립하였다.
결혼 생활은 많은 고난이 있었으나 딸 정혜(正惠)를 낳아 서로 신뢰와
애정이 깊었다.
그러나 양국의 관계는 갈등이 심하여 두 분은 1955년 이혼을 하였으며
다케유키(武志)공은 1985년에, 덕혜옹주는 1961년 귀국 후 1989년
각각 별세하였다.
비문 속에 쓴 글을 읽으니 마음이 아리다.
회원들은 덕혜옹주의 비문을 보고 돌아오는 길에 '일본관광물산관'
이라는 곳에 들렀다.
'환영 어서 오십시요'라고 한글로 쓴 현수막을 걸어 놓았다.
우리들은 이곳에서 간단한 생활필수품을 구입하고 저녁식사를 하려
식당에 갔다.
식당 이름은 '이츠모'인데 한글로는 '언제나, 항상, 늘' 이라는 뜻이다.
이 식당은 '이자카야'식으로 한국말로는 '선술집'이다.
저녁 식사 메뉴는 소고기 소금구이와 우동이다.
저녁식사가 끝난후 정동호 시장 등 원로회원들이 대마도 이즈하라
시내서 2차로 술을 마실 계획이었으나 시내서 숙소까지 택시로 30분이
걸려 포기하고 안동에서 가져간 술과 안주로 우리 방에서 술 파티를 열었다.
분위기도 좋고 진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서 좋았다.
권희훈 가이드에 의하면 일본 전체 인구는 1억2천5백만명. 이 가운데
직장에서 퇴직하고 알 바로 일하는 노인들이 4천여만명.
우리나라는 퇴직하면 골프를 치거나 취미 생활로 붓글씨, 외국어, 그림 그리기
등을 하는 등 자기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일본 사람들은 퇴직하면 알 바를 하여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에 힘쓴다.
이로 인해 일본 사람 중 나이가 100살 넘는 사람이 10만 여명이고 120살
넘는 사람이 6천 여명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에서 장수의 비결로 장려하는 방법은 (1) 1만 보 걷기 운동을
하지 말라 (2) 근력 운동을 하여 다리를 튼튼하게 하라 (3)유산균을 많이
마셔라 (4) 소식 하지 말고 마음껏 먹어라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