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증시 동향]
-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주요 기업 실적과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경계심과 차익실현 욕구 실현을 요인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2.5% 이상 하락하며 3대지수 모두 하락
- 바이든 美 법인세 타협 가능성 대두, 바이든 美 대통령은 의회 초당파 의원들을 면담한 자리에서 2조 3천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인프라 구축 및 일자리 창출 계획과 관련해 "타협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한 한편 일부 언론에서는 법인세 최고 세율을 25%로 올리기로 가닥을 잡았다는 보도
- J&J 백신 재개 여부 주목, 지난주 美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FDA가 존슨앤존슨(J&J)의 자회사 얀센이 만든 코로나19 백신 '혈전' 부작용과 관련 접종 중단을 선언,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백신 접종 재개 결정이 오는 23일 회의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언급, 이는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백신속도에 중대한 요소
- 印 코로나 확산, 인도에서 코로나19 변이가 확산하면서 확진자가 폭증, 일일 신규 확진자는 연초 2만 명을 밑돌았지만 3월 말부터 급격히 늘기 시작해 이달 4일 10만 명을 돌파한 데 이어 15일부터는 20만 명 넘는 일일 확진자 발생
- 섹터별로는 전 업종 하락한 가운데 자유소비재 업종 약세, 종목별로는 테슬라(TSLA)는 운전자 없이 달리던 모델S 차량 사고로 조수석과 뒷좌석에 앉아있던 두명이 사망하면서 3.4% 하락, 코카콜라는 1분기 실적 호조에 0.6% 상승
- WTI는 상승, 美 달러화 가치가 급락이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지만 印 코로나 확산은 상승 폭 제한
- 비트코인(BTC) 가격은 55,000USD로 63,000USD를 상회하던 고점대비 10% 이상 하락
_
* 주요 지수
다우존스: 34077.63 (-0.36%)
S&P500: 4163.26 (-0.53%)
나스닥: 13914.77 (-0.98%)
유로Stoxx: 4019.91 (-0.32%)
FTSE100: 7000.08 (-0.28%)
CAC40: 6296.69 (0.15%)
DAX30: 15368.39 (-0.59%)
닛케이225: 29685.37 (0.01%)
상해종합: 3477.549 (1.49%)
항셍: 29106.15 (0.47%)
VIX: 17.29 (6.40%)
S&P 500 은행 인덱스: 395.75 (-0.35%)
유로Stoxx 은행 인덱스: 89.14 (1.16%)
닛케이 은행 인덱스: 143.68 (-0.36%)
LIBOR-OIS 스프레드: 0.1029 (-0.58%)
_
* 주요 지표 (서베이, 발표치 or 발표시간, 이전치)
전거래일 ( 19일)
일본 2월 광공업생산 MoM ( --, -1.3%, -2.1%)
금일 ( 20일)
일본 2월 3차 산업 지수 MoM ( 0.5%< 13:30, -1.7%)
* 환율
파운드달러: 1.4 (-0.01%)
아시아통화 인덱스: 108.18 (-0.05%)
달러인덱스: 91.1 (-0.50%)
원달러: 1118.2 (0.03%)
원엔: 10.32 (-0.02%)
원위안: 171.42 (-0.19%)
엔달러: 108.15 (0.02%)
달러유로: 1.2 (0.00%)
위안달러: 6.51 (0.16%)
_
* 상품
WTI: 63.38 (0.40%)
현물 금: 1771.43 (0.00%)
LME 3개월 구리: 9211 (-0.79%)
BDI: 2385 (2.67%)
_
* 채권
미국10y: 1.605 (2.484bp)
미국2y: 0.157 (-0.398bp)
독일10y: -0.24 (2.90bp)
그리스10y: 0.9 (0.57bp)
스페인10y: 0.41 (2.12bp)
이탈리아10y: 0.79 (4.35bp)
포르투갈10y: 0.41 (1.64bp)
SHIBOR 1w: 2.23 (0.027)
중국 CDS 5y: 36.06 (-2.027)
한국 CDS 5y: 21.06 (-0.668)
브라질 CDS 5y: 197.29 (-4.974)
_
* S&P500 섹터별
자유소비재: (-1.14%)
필수소비재: (-0.47%)
에너지: (-0.06%)
금융: (-0.29%)
헬스케어: (-0.01%)
산업재: (-0.40%)
IT: (-0.88%)
커뮤니케이션: (-0.28%)
소재: (-0.44%)
유틸리티: (-0.49%)
_
* S&P500 Winners & Losers
UP
앨버말 (3.60%)
모간스탠리 (1.83%)
찰스 슈왑 (1.76%)
뉴욕멜론은행 (1.61%)
APA Corp (1.55%)
DOWN
펜 내셔널 게이밍 (-6.94%)
알트리아그룹 (-6.17%)
인페이즈 에너지 (-5.91%)
시저 엔터테인먼트 (-5.22%)
제네락 홀딩스 (-4.08%)
$$$ S&P 500 섹터별 주요종목 등락
[주요종목]: 페이스북 (-1.29%), 아마존 (-0.81%), 애플 (0.51%), 넷플릭스 (1.45%), 구글 (0.20%), 엔비디아 (-3.46%), AMD (-1.27%), 마이크론 (-2.48%), 테슬라 (-3.40%)
[IT]: 인텔 (-1.73%), 시스코 (0.09%), 어도비 (-1.70%), 페이팔 (-0.73%), 오라클 (-0.25%), 세일즈포스 (-0.61%), 브로드컴 (-3.51%), IBM (-0.35%), 텍사스인스트루먼트 (-2.54%), 퀄컴 (-2.14%),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2.12%), 램리서치 (-3.41%), 마이크로칩 (-2.69%)
[커뮤니케이션]: 버라이존 (0.19%), 디즈니 (0.09%), AT&T (0.13%), 컴캐스트 (-1.76%), 액티비전 블리자드 (-0.50%), EA (-1.01%), 트위터 (-3.11%)
[자유소비재]: 홈디포 (-0.37%), 나이키 (-1.30%), 스타벅스 (-0.63%), 로우스 (-2.04%), 부킹홀딩스 (-0.84%), 타겟 (0.05%), 샌즈 (-0.62%), GM (-1.41%), 이베이 (-1.76%), 메리어트 (-0.49%), 베스트바이 (-0.86%), 포드 (-0.98%), 익스피디아 (0.98%)
[필수소비재]: 월마트 (-0.64%), P&G (-0.47%), 코카콜라 (0.60%), 코스트코 (-0.32%), 필립모리스 (-1.33%), 에스티로더 (-1.00%), 크래프트 하인즈 (-0.12%), 월그린스 (0.92%)
[에너지]: 엑슨모빌 (-0.32%), 쉐브론 (0.29%), EOG 리소시스 (1.11%), 파이어니어 (0.11%)
[금융]: JP 모건 체이스 (-0.42%), BofA (0.05%), 웰스파고 (0.09%), 씨티그룹 (-0.44%), 골드만삭스 (0.23%), 모건 스탠리 (1.83%)
[헬스케어]: 존슨앤드존슨 (0.28%), 유나이티드헬스 (-0.30%), 화이자 (0.93%), 머크 (0.25%), 애브비 (0.65%), 일라이 릴리 (0.21%), 길리어드 (-1.38%), CVS 헬스 (-0.17%), 암젠 (0.10%), 바이오젠 (-0.47%)
[산업재]: 유니온 퍼시픽 (0.34%), 록히드 마틴 (-0.02%), UPS (-0.92%), 보잉 (-1.62%), 캐터필러 (-0.42%)
__
[리츠]: 아메리칸 타워 (-0.03%), 이퀴닉스 (1.29%), 프로로지스 (-0.28%), 엑스트라 스페이스 스토리지 (0.93%), 에쿼티 레지덴셜 (0.56%)
# 주요종목신고가신저가
기간별 거래소 신고가 종목
-60일 : KT&G, 대우조선해양, 보령제약, 파미셀, 동아쏘시오홀딩스, 경동나비엔, 롯데손해보험
-52주 : POSCO, 한국조선해양, 현대건설, GS건설, 현대미포조선, KCC, 롯데정밀화학, 한전기술, 코스맥스
-역사적 : 한솔케미칼, 케이씨텍, 유니드
기간별 거래소 신저가 종목
-60일 : CJ CGV, CNT모티브
-52주 : 없음
-역사적 : 없음기간별 코스닥 신고가 종목
-60일 : 씨젠, 제넥신, 다원시스, 한글과컴퓨터, 경동제약, 어보브반도체
-52주 : 주성엔지니어링, 테스, 휴온스글로벌, 원익머티리얼즈, 대한그린파워, 티케이케미칼, 하나마이크론, 게임빌, 에스에이엠티, 피에스케이홀딩스
-역사적 : SK머티리얼즈, 리노공업, 티씨케이, 실리콘웍스, 동화기업, 유진테크, 원윅QnC, 에이피티씨, 웹케시, 테크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