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음, 유파별 산조의 밤
2010. 9. 3 - 24 매주 금요일 저녁 8시
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 민속극장 ‘풍류’
관람료 5,000원
공연문의ㅣ공연전시팀 02)3011-2178 www.chf.or.kr
예약문의ㅣ인터파크 1544-1555 예약바로가기
주최ㅣ한국문화재보호재단
후원ㅣ문화재청
천재일우(千載一遇)
말 그대로 ‘천재일우’다.
출연진 전체가 전국 국악경연대회 대통령상 및 장원 수상자들로 구성된 산조공연.
이제껏 한 번도 없었으며 앞으로도 보기 힘든 공연이 될 것이다.
2010년 9월, 초가을의 밤에 산조에 취해보자.
산조의 종류
가야금산조 다른 악기로 연주하는 산조보다 먼저 발생하였고, 또 가장 많이 연주되며 바디(流)도 가장 많이 전해진다. 현재 김죽파류, 김윤덕류, 성금연류, 최옥삼류, 강태홍류, 김병호류, 서공철류, 신관용류, 유대봉류, 함동정월류 등이 전해지고 있다.
거문고산조 백낙준에 의해서 처음 연주된 거문고산조에는 백낙준류, 신쾌동류, 한갑득류, 김윤덕류 등이 전해지고 있다.
대금산조 20세기 초 박종기에 의해 만들어진 대금산조에는 한주환류, 한범수류, 이생강류, 서용석류, 김동진류, 김동표류, 원장현류 등이 있다.
해금산조 해학적이고 아기자기한 맛이 있는 해금산조에는 지영희류, 한범수류, 김영재류, 서용석류 등이 있다.
피리산조 다양한 기법과 선율로 연주되는 피리산조는 서한범류, 박범훈류, 서용석류, 한세현류, 정재국류 등이 있다.
아쟁산조 애절한 감정의 농도가 짙게 표현되는 아쟁산조에는 한일섭류, 정철호류, 박종선류, 김일구류, 윤윤석류, 서용석류 등이 있다.
| |
|
9월 3일 1.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정윤해 2.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차은경 3. 서용석류 대금산조: 김진성 4. 윤윤석류 아쟁산조: 신현식 5. 고수: 신호수, 최광수
9월 10일 1.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조아라 2.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이웅 3. 서용석류 대금산조: 김진욱 4. 김일구류 아쟁산조: 김도현 5. 고수: 조용안, 박정철
9월 17일 1.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최민정 2.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황진아 3. 이생강류 대금산조: 이오훈 4. 박종선류 아쟁산조: 박재헌 5. 고수: 최광수, 공병진
9월 24일 1.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손정화 2. 김윤덕류 거문고산조: 이재하 3. 원장현류 대금산조: 원완철 4. 지영희류 해금산조: 이유경 5. 고수: 정준호, 조용복 | |
산조(散調)
산조는 충청도·경기도 남부의 민속악인들이 주로 연주하던 곡으로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의 선율악기에 장구 반주를 곁들여 연주자가 자유롭게 연주하는 기악독주곡의 한 형태이다. 무속음악인 시나위와 민간예술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판소리를 바탕으로 하여 민간에서 발전시킨 음악장르로서 매우 높은 경지의 예술성을 지니고 있다.
산조라는 음악장르 자체의 일정한 형식이 있어서 그 안에서 연주자가 자유롭게 곡을 구성하는 것이다. 산조(散調)라는 말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흩어놓는 가락' 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산조는 그렇게 자유롭게 흩뜨려 놓은 듯 한 속에서도 높은 품격을 지닌 가락 자체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산조는 전남 영암출신인 김창조(金昌祖 1865~1919)에 의해서 연주된 가야금산조가 산조 형태를 갖춘 최초의 산조로 알려져 있으나 한숙구, 심창래, 박팔괘 등도 동시대에 산조의 음악형식을 정형화하는 데 기여한 인물들로 알려져 있다. 김창조 이후 백낙준에 의해서 1896년 처음 거문고산조가 연주되었다고 하며 대금산조는 박종기에 의하여, 아쟁산조는 한일섭, 정철호, 장월중선 등이 동시적으로 만들어 연주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피리산조는 지영희, 이충선 등에 의하여, 해금산조는 지용구, 지영희, 한범수 등에 의하여 연주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산조는 남도계면조 음악에 바탕을 둔 시나위와 판소리의 선율적 특성을 각 악기의 특성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연주한다. 산조에 쓰이는 조는 우조·평조·계면조·경드름·강산제·설렁제 등이 있다. 장단은 느린 진양조에서 빠른 단모리까지 쉬지 않고 계속하는데 각 장단형의 처음 한두 장단은 복잡한 선율보다는 기본장단을 알려주기 때문에 악장변화의 구별이 쉽다. 전체적으로 죄었다 풀었다 하는 긴장과 이완의 대비의 멋이 산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산조에 쓰이는 장단은 주로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이지만 산조의 종류나 바디에 따라 엇모리·굿거리·휘모리·단모리 등의 장단이 삽입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