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in' up, back on the street
Took my time,
Took my chances
Went the distance
Now I'm back on my feet
Just a man and his will to survive
So many times,
it happened too fast
You trade your passion for glory
Don't lose your grip
on the dreams of the past
You must fight just to keep them alive
후렴:
It's the eye of the tiger
It's the thrill of the fight
Risin' up to the challenge of our rival
And the last known survivor
Stalks his prey in the night
And his fortune must always be
Eye of the tiger
Face to face, out in the heat
Hangin' tough, stayin' hungry
They stack the odds
Still we take to the street
For the kill with the skill to survive
후렴 반복
Risin' up straight to the top
Had the guts, got the glory
Went the distance
Now I'm not gonna stop
Just a man and his will to survive
후렴 반복
The eye of the tiger
박차고 일어나 거리로 돌아가
많은 시간을 보내고
기회를 붙잡으며
할 수 있는 일은 다 해 봤어.
그리고 난 이제 홀로 설 수 있게 됐지
강한 의지를 가진 남자로서 말야.
너무도 빠르게 지나가 버린
수 많은 시간들...
열정을 불살라 영광을 얻으려 해.
지난 날의 꿈을 잊지마
그 꿈을 생생히 간직하며
싸워 나가야 해.
후렴:
그것은 호랑이의 눈,
싸움의 전율과도 같은 것.
일어나 상대방의 도전에 맞서.
마지막 승자는
상대방의 틈을 노리는 법이라구.
그리고 그의 운명은
언제나 호랑이의 눈과 같은 것이어야 해.
얼굴을 맞대고 뜨거운 열기 속에서
끈질기게 버티며 항상 뭔가를 노려야 해.
상대편이 이길 확률이 많지만,
우린 여전히 거리로 나아가 싸우며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익혀야 해.
후렴 반복
일어서서, 곧장 최고를 향해 나아가.
배짱을 가지고 영광을 차지 하라구.
할 수 있는 건 다 해보는 거야
난 멈추지 않아
강한 의지를 가진 남자로서 말야.
후렴 반복
호랑이의 눈처럼...
************************************************************************************♬록키 (Rocky , 1976) 감독 실베스터 스탤론 출연 버트 영, 칼 웨더스, 탈리아 셔
1975년 11월의 필라델피아. 록키는 권투 헤비급의 스파링 파트너로 시합이 있을 때마다 잔돈푼을 얻어 쓰는 밑바닥 인생이다. 냄새나는 아파트의 생활과 2마리의 개가 그의 전부.애완동물 가게를 자주 드나들면서 점원인 아드리안에게 마음이 끌리지만 아드리안은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이 무렵 헤비급 챔피언 아폴로가 타이틀 매치의 상대자로 록키를 지명하면서 3라운드 이내에 끝내주겠다고 공언한다.,,,,,,
인간승리의 감동을 담고 있는 권투 소재의 액션 영화. 주연배우 실베스터 스탤론 자신의 시나리오는 매우 훌륭하다. 누구든지 실력만 있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아메리칸 드림'의 영웅이지만, 이 인간 승리는 험난한 역경을 거친 다음에 다가온 것이라 설득력이 있다. 실제로 당시 무명이었던 실베스터 스탤론은 이 영화로 배우 인생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
록키(1976) 록키 2(1979) 록키 3(1982)
록키 4(1985) 록키 5(1990) 록키 6(1986) ost11
***************************************************************************
그건 그렇고 이 노래의 제목으로 쓰인 "호랑이 눈"은 대체 뭘까요?
혹시 관용구나 숙어처럼 굳어진 표현이 아닌가 해서 사전을 찾아 봐도 특별한 뜻이 나오지 않더군요. 하지만 가사를 살펴 보면 그 의미를 쉽게 유추해 낼 수 있습니다.
조금도 빈틈없이 경계를 늦추지 않고 뭔가를 노리고 있는 듯한 그 모습.... 그건 바로 굶주린 호랑이의 눈을 보면 나타나는 거죠. 노래 중간에 보면 먹이를 찾기 위해 어슬렁 거린다는 말이 나오는데, 바로 이 곳에서 호랑이의 눈의 의미를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실제적인 의미는 경기를 앞둔 선수가 몸을 단련하고, 상대방을 파악하며 경기를 대비하는 모습을 호랑이의 눈에 비유한 듯 싶습니다.
Went the distance
"일이나 경기를 끝까지 해내다, (야구에서) 투수가 완투하다"의 뜻입니다. 노래에서는 영광을 차지하기 위해 불굴의 투지로 노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표현입니다.
Don't lose your grip on the dreams of the past
grip 은 "손으로 꽉 잡기"란 일차적 의미가 있지만, 거기서 파생한 다양한 뜻으로 자주 쓰이니까 예문을 많이 접해보시는 게 최선의 방책입니다.
get a grip on oneself 자신을 억제하다.
keep a grip on ones temper 자기 감정을 억누르다.
have a good grip on an audience 청중의 마음을 단단히 장악하다.
The city was under the grip of martial law. 그 도시는 계엄령하에 있었다.
His mind has lost its grip. 그의 머리는 이해력을 잃었다.
He has a feeble grip of my idea. 그는 내 생각을 잘 알지 못하고 있다.
Stalks his prey in the night
스토커란 말 잘 아시죠? stalk 는 "몰래 다가가다, 살그머니 접근하다"란 말입니다. prey는 '먹이, 사냥감" 이구요.
The cat stalked her prey. 고양이는 먹이에 살그머니 다가갔다.
Hangin' tough
요 말을 보니까, 1990년대 초반에 한반도를 한차례 휩쓸고 지나간 New Kids on the Block의 노래가 떠오르는 데요. 같은 제목의 노래가 있었거든요. 직역하면 "터프하게 매달려(?)" 라고 좀 이상하게 해석되지만, 속뜻은 어려움이 있더라고 끈질기게 버틴다는 말입니다. 철봉에서 오래 매달리기 하는 장면을 상상해 보세요.
They stack the odds
odds란 단어에는 "가능성, 확률, 우세, 승산, 차이" 등 다양한 뜻이 있습니다. stack 은 "쌓다, 쌓아 놓다"란 뜻이구요. 상대방이 odds를 많이 쌓아 놓고 있다는 말은, 그들의 승리할 확률이 많다는 거죠. 하지만 우리의 영웅 록키가 그 확률을 뒤집고 이기게 되죠? 그래야 영화가 되니까요...
Had the guts
gut의 일차적인 의미는 "내장, 창자"이지만, 복수로 쓰여서 guts가 되면 "용기, 배짱"의 의미가 됩니다. 왜 이런 뜻이 되었는지는 저도 모르겠구요... 아무리 추측을 해 보려 해도 요건 이해가 안가네요....
have a lot of guts 배짱이 대단하다.
have the guts to venture 모험을 할 용기가 있다.
He has no guts. 그는 소심하다.
ost11 Rocky 록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