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가지수
1) 코스피
· 2,386.85 (+0.67%)
· 개인 +655억, 외국인 -420억, 기관 -586억
2) 코스닥
· 790.72 (+1.07%)
· 개인 -245억, 외국인 -7억, 기관 +289억
· 코멘트: 코스피 개인 매수세에 상승 / 개인 홀로 운수장비, 전기전자 업종 매수 / 장 초반 순매수하던 외국인 순매도 전환 / 기관 매도폭은 축소 / 비금속광물, 화학, 증권 업종 강세 / 코스닥은 기관 매수세에 1%대 상승 마감 / 코스닥 강세 업종은 금융, 방송, 오락문화 / 원달러 환율은 0.04% 내린 1312.90원 마감
2. 주요 이슈
1) 중국, 기준금리 '동결'
·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 최저 수준에도 기준금리 동결
· 미국과 탈동조화 부작용 우려에 동결..하반기 인하 가능
· 2Q 경제성장률 0.4%..목표 5.5% 도달 위해 인하 필요
2) 상반기 주식거래대금 급감..3분기 전망은?
· 상반기 주식거래대금 2605조6000억원
· 지난해 상반기 대비 -37%, 지난해 하반기 대비 -23%
· 물가 정점 기대감, 연준 자이언트스텝 선반영 관측
3) 약세장에도 목표주가가 오른 기업은?
· 하반기 경기침체 전망에 상향의견 나온 기업 30% 하회
· 덴티움, 셀트리온, 롯데쇼핑, 한국항공우주 등 상향
· 환율 상승, 수출 호조 수혜 완성차·자동차부품주도 상향
4)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찬반 투표..규제완화될까?
· 대형마트 월 2회 의무휴업 폐지, 온라인 국민투표 예정
· 실효성 문제 끊이지 않아..폐지 기대에 관련주 오름세
· 최근 유통업계 매출 부진 우려..편의점만 전망 밝아
5) 정부 "코로나 정점 시기에 확진자 30만명 예상"
· 정부 코로나 재유행 대책 발표..병상 4000개 추가 확보
· 임시선별진료소 다시 확충..치료제 94만 명분 추가 도입
· 모든 편의점서 진단키트 판매 가능하도록 허용
6) WSJ "미국 달러 강세 최근 원자재 가격 안정에 일조"
· 원자재는 달러로 가격 표기..상품가격 상승에 수요 감소
· 달러 강세, 미국 외 지역 원자재 생산자 재고소진 부추겨
· 역사적으로 달러와 원자재 가격 역의 상관관계 보여와
3. 내일 주요 일정
· 루닛 신규상장 예정
· 에이치와이티씨 수요예측(~22일)
· 21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 정부, 세법 개정안 발표
· 현대차, 포스코케미칼, KB금융, POSCO홀딩스 등 실적발표
· 미국, 6월 경기선행지수
·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미국, AT&T·트래블러스 컴퍼니스·뉴코·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유니온 퍼시픽 등 실적발표(현지시간)
·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결정
· 일본, 일본은행(BOJ) 전망 보고서
· 일본, 6월 무역수지
4. 강세업종
1) 콜드체인
· 내일부터 냉장·냉동 보관 의약품 운송 콜드체인 의무화
· 1월 17일부터 시행 후 6개월 계도기간 마감
· 안약류, 유산균제제 까지 확대 적용..대란 불가피
· 상승 종목: 대한과학, 에이디칩스, 태경케미컬, 서린바이오, 아이텍 등
2) 미디어-드라마·영화 제작
· 넷플릭스 2분기 가입자수 감소 예상치 하회 영향
· 2분기 97만명 가입자 감소 기록..예상치(200만명)보다↓
· 이베스트증권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투자 확대 기대"
· 상승 종목: 팬엔터테인먼트, 버킷스튜디오, 삼화네트웍스, NEW, 스튜디오드래곤 등
3) 디지털자산
· 비트코인 한 달만에 3000만원대 회복에 관련주 부각
· 디지털자산에 대한 긍정적 전망도 영향
· 갤럭시 디지털 대표 "디지털자산 최악 상황 지나"
· 상승 종목: 우리기술투자, 비덴트, 네오위즈홀딩스, 에이티넘인베스트, 인바이오젠 등
5. 특징주
· 씨에스베어링: 미국 기후대응 2조달러 예산 편성 기대에 급등
· 아세아제지: 골판지 원지가격 인상 소식에 상승
· 제주반도체: 정부, 반도체 인력 양성 추진에 관련株 부각
· 슈프리마: 출입인증 솔루션 동남아지역 유의미한 수주 소식에↑
· 현대약품: 탈모증상 완화제품 출시 소식에 오름세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