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학의 골다공증 치유의 원리
혈행 관련 골다공증에 도움이 되는 대표적인 본초 '단삼'
혈행 관련 골다공증에 도움이 되는 단삼의 약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1) 순환계에 대한 작용(혈관확장작용, 심장질환 치료작용)
- tanshinone, cryptotanshinone은 심근의 허혈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며(적출심장,rabbit), 주사액은 관상동맥을 확장하고, 혈압을 내린다(적출심장, guinea pig, rabbit).
- tanshinone은 일시적인 허혈로부터 심근을 보호하며, insulin-like growth factor-1으로 유도한 심근의 섬유화 과정을 늦춘다(in vitro).
- 추출물은 호모시스테인으로 인한 혈관상피세포의 이상기능을 억제한다(in vitro, HUVEC).
- 추출물은 선천성 심장질환환자에 bypass 시술 후에 나타나는 endothelin-1과 thromboxane B2의 증가를 줄인다(in vivo).
(2) 간세포 보호작용
- 추출물은 세포질 내의 p53을 제거함으로써 담도결찰로 인한 간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한다(in vivo, rat).
- 추출물은 간암 세포내 thiol을 고갈시키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초래하며 활성산소의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간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in vitro, human hepatoma HepG2 cells)
- 추출물은 aflatoxin-B1으로 유도한 간암발생을 억제한다(in vivo, rat).
- 추출물은 담관 결찰로 인한 간문맥에서의 고혈압증상과 간섬유화를 개선한다(in vivo, rat).
(3) 뇌세포 보호작용
- salvianic A는 MPP+로 유도한 세포독성으로부터 neuroblastoma SH-SY5Y cell을 보호한다(in vitro).
- 물 추출물은 흰쥐 신경교세포에 유도한 superoxide의 생성을 억제하고, dopamine의 유리를 촉진한다(in vitro).
- tanshinone은 허혈성 손상(focal cerebral ischemia)으로부터 대뇌조직을 보호한다(in vivo, mouse).
- salvianolic acid B는 H2O2로 유도된 세포독성으로부터 rat 갈색세포종 세포를 보호한다(in vitro).
(4) 항암작용
- tanshinone의 유도체인 compound 278E는 암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c-myc, c-fims, c-jun, c-fos와 같은 proto-oncogene의 발현을 조절한다(in vitro).
- tanshinone은 P388 lymphocytic leukemia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C-15위치의 이중결합과 A환의 단일결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in vitro).
- dihydrotanshinone은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낸다(in vitro).
(5) 알코올섭취 억제작용
- miltrone은 알코올섭취 중단으로 인해 나타나는 해마부위의 GABAa 수용체 a4 subunit mRNA의 발현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알코올 중독 치료에 유효하다(in vitro, in vivo, animal model).
- 추출물 IDN5082는 음주습관의 취득을 늦춘다(in vivo, rat).
그 외에 진정·진통작용, 항세균, 항진균작용, 항염증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피부조직 손상 개선 작용이 있으며 단삼은 무척 중요한 생약이므로 전통적인 진정, 살균, 강심 이외의 위와 같은 현대적인 약리를 알아두는 게 좋다.
신기능강화와 관련된 골다공증에 도움되는 대표적인 생약 '숙지황'
골다공증에 도움이 되리라 여겨지는 천연식물들은 공통적으로 여성의 생리불순, 폐경기와 관련된 질환, 치매에도 도움이 된다는 특징이 있다. 한방방제에서 뼈를 강화하는데 있어 빠지면 섭섭할 본초가 숙지황인데, 숙지황 또한 그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숙지황은 말초혈관 순환장애의 개선, 항알레르기작용, 강심이뇨작용(catalpol), 골 형성 촉진작용이 있으며 생지황을 알코올로 세 번 찐 숙지황의 물 추출물이 골아세포의 증식과 활성은 강화하면서 파골세포의 생성과 활성은 억제한다. 강심 이뇨작용으로 알려진 catalpol은 Glutamate와 amyloid β로 저하된 기억력 개선에 효능을 나타내며 파킨슨의 원인 물질 중의 하나로 여겨지는 MPTP(1-methyl-4-phenyl-1, 2, 3, 6-tetrahydropyridine)에 의한 신경 손상에도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숙지황은 좋은 품질의 것을 여러 번 쪄서 소화 흡수가 잘되도록 하는 것이 실제 환자에게 적용 시 보다 환자에게 편안하게 효과를 내도록 하는 방법이다.
숙지황은 비허(脾虛)로 인해 식사량이 적거나 복부가 팽만하며 변이 묽은 사람은 주의하는 게 좋은데 이와 같은 환자는 비위의 기능을 우선 강화해야 하며 소장의 흡수기능을 강화하는 물질, 점막의 기능을 돕는 물질의 적용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한 것으로 천연물 외에 영양소 중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소화효소, 프리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 아연, 비타민B군 등이 있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에 의해 생성된 낙산염이 Wnt10b를 통해 골 형성을 촉진한다는 연구가 있다. 참고로 Wnt10b는 'Wingless-related integration site 10b'라고 하여 Wnt 유전자 패밀리에 속하는 단백질로, 세포 신호 전달 경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Wnt10b는 특히 뼈 형성과 유지, 세포 분화 및 배아 발달에 관여한다. Wnt10b는 지방 세포 대신 골아세포(뼈 형성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여 골다공증 같은 뼈 질환을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Wnt10b는 이와 같은 기능을 통해 뼈와 연골의 건강한 발달과 유지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Wnt10b를 통한 골형성 촉진 및 장내 미생물 신호가 혈류를 통해 골수에 있는 CX3CR1(C-X3-C chemokine receptor 1)+ 단핵구 세포에 의하여 인식되어 생성된 싸이토카인으로 인해 골수의 조혈작용이 조절되므로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기능강화와 관련된 골다공증에 도움되는 대표적인 생약 '삼지구엽초'
그 밖에 신양을 돕는 본초인 삼지구엽초의 Icarrin, icdariside II, icdaritin은 조골세포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한다.
삼지구엽초는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특징으로 인해 오랫동안 골다공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됐다. 중요한 성분으로 이카린이 함유되어 있다.
△이카린의 주요 효과
- 뼈 형성 촉진: 이카린은 뼈를 만드는 세포의 발달과 석회화를 촉진한다.
- 지방 생성 억제: 지방 세포로의 변환을 막아 뼈의 건강을 유지한다.
- 파골세포 억제: 뼈를 파괴하는 세포인 파골세포의 형성을 차단하고, 그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여 뼈 흡수를 감소시킨다.
- 유전자 발현 증가: SMAD4, BMP-2와 같은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뼈 발달을 돕는다.
- 신호 전달 경로 활성화: 이카린과 이카리틴(유사 성분)이 신호 전달을 활성화하여 뼈 형성을 더욱 촉진한다.
△이카리틴의 역할
이카리틴은 이카린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파골세포를 억제하고, 뼈 형성 관련 단백질을 증가시킨다. 줄기 세포에서 지방 생성을 방해하고, 뼈 형성에 중요한 단백질 수치를 높여준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이카린과 이카리틴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그 외 갈근(ALP, OCN, OPN, Col I, SaOS-2와 같은 조골세포 분화 마커증가), 하수오(Tetrahydroxystilbene glucoside가 조골세포 분화 촉진), 골쇄보(총 플라보노이드가 BMP2/Smad 경로를 통해 조골세포 활성 강화), 당귀(수용성추출물이 OPC-1의 분화와 ALP 활성을 자극), 황기(치주골 형성을 촉진) 등이 골다공증에 도움이 된다.
골다공증 관련 본초의 효능을 조골세포 분화와 파골세포 기능 억제로 나눠서 보면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있다.
- 조골세포 분화: wedelia calendulacea(긴갯금불초), fructus ligustri lucidi(여정자), cistanche salsa(육종용), eucommia ulmoides(두충), acanthopanax senticosus(가시오가피), cuscuta chinensis(토사자), gycine max, green tea(녹차)
- 파골세포기능 억제: paeonia lactiflora pallas(적작약), curcuma longa linn(울금), guizhou epimedium(귀주 삼지구엽초), epimedium(삼지구엽초)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