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투현상이란
농도가 낮은 액체가 농도가 높은 액체로 이동하는 현상
용매분자가 반투막을 통과 용액으로 확산되는 현상
용액의 농도가 낮은 쪽의 용매분자가 높은쪽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농도가 다른액체 2개 사이에 반투막 이라는 작은 분자들만 통과할수 있는 막을 놓고 있으면 한참후에 2개의 농도가 같아 지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삼투현상이라고 합니다.
예)
식물의 뿌리털은 흙 속에서 물과 무기양분을 흡수한다.
식물의 뿌리털이 물을 흡수하는 원리가 삼투 현상인데, 뿌리털 안은
농도가 짙은 반면,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물은 농도가 낮아 농도를
맞추기 위하여 흙 속에 있는 농도가 낮은 물이 농도가 높은 뿌리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 예라고 할 수 있지요.
또한,
나무뿌리가 물을 흡수할 때
-나무내부가 농도가 높아 물을 흡수함
바닷물을 정화할 때(역삼투)
-삼투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여 소금물에서 물을 추출
배추김치 만들기 전 배추를 절일 때
-배추내부보다 소금을 뿌려놓은 외부의 농도가 높아 배추속의 수분이 빠져나옴
적혈구의 용혈현상
-적혈구를 물에 담그면 외부의 농도가 적혈구 내부농도보다 낮아 적혈구가 물을 흡수하는데, 세포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터지는 현상
달팽이를 죽일때 뿌리는 소금
-달팽이가 내부의 수분을 빼앗겨 말라죽음
젓갈이나 잼
-젓갈, 잼은 소금이나 설탕을 과하게 넣은 음식으로 농도가 매우 높아서 세균이 침투하면 젓갈, 잼에 수분을 빼앗겨 죽는다 ---> 음식이 오래 유지됨
카페 게시글
공학정보
삼투현상이란?
석금철
추천 0
조회 185
07.01.30 22:51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