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공씨는 중국의 곡부(산동성)를 본관으로 삼고 공자 탄생이래 그를 시조로하고 단일본으로 하여 계승해 왔다. 공자의 53세손 공완의 첫째 아들 공사회는 중국에 살았고 둘째아들 공소(孔紹)는 원나라 순제때 한림학자로 노국공주를 수행하여 고려에 와서 귀화하였고 문하시랑 평장사로 회원군에 봉해지고 창원 공씨로하여 우리나라 공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그후 노국의 공씨와 같은 조상이다 하여 1794년에 다시 곡부를 본관으로하였다.
한편 '임자시월정원일기'에 의하면 1792년10월27일(임자년 정조16년) 좌의정 이하 여러 신하가 입시한 자리에서 정조가 전교하기를,고려 말기에 공자의 54세손 공소가 원나라의 노국공주를 수행하여 고려에 와서 귀화하였고, 그 후손인 공서린(孔瑞麟)이 중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태학사가 된 후 조광조(趙光祖) 등과 함께 기묘명현(己卯名賢)이 되었는데, 그의 9대손 공윤항(孔胤恒)이 경기도 용인군에 살고 있으니, 그들 자손에게는 세습제로 하여 녹용(祿用)하는 것이 어떠냐고 의논하여 주달하게 하였다. 여러 신하의 신중한 논의를 거쳐 왕의 전교대로 결정하고 공윤항의 맏아들 공영수(孔營洙)에게 녹과 벼슬을 주는 한편, 공씨의 본관을 곡부로 정하라고 명령한 사실 등의 기록이있다.
[기타]
[시조 묘소] 경남 마산시 합포구 예곡동 두능리 두척산에 있으며
음력 10월 1일에 제사 지낸다.
[인구] 68,951명이 있다.(1985년)
인구 83,164명, 가구수 25,969가구(2000년통계청자료)
[항렬표]
첫댓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