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철원리(新鐵原里)
원래 지포리(芝浦里)에 속했던 곳인데 194년 수복이후 철원읍에 던 철원군청을 이 곳에 설치함에 따라 인구가 늘어나고 지포리의 범위가 넓어졌기 때문에 1956년 이를 나눠 지포리와 신철원리로 분할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선조 정조 2년(1778) 10월 당시의 부락명은 갈종면(葛宗面)의 지습포리(池濕浦里)였으며 인구 313명의 73호가 살고 있었다.
가마탕 (소) 삼부연(三釜淵) 또는 노리탕. 개적봉 (바위) 밑에 굴이 있는데 궁예왕이 피신해 있던 곳. 너븐저고릿골 (골) 아홉말메기 남쪽에 있는 골짜기. 눌치[느치(訥雉)] (마을) 궁예왕이 흐느껴 울었다는 곳. 뒷골 (골) 용해 뒤에 있는 골짜기. 마장굴 (골) 말을 매 놓았던 골짜기. 매봉재 (산) 시장 앞에 있는 산. 먹굴 (골) 용해[용화동(龍簧)] 안에 있는 골짜기. 보매기 (마을) 옛날에 보를 막았던 곳으로 지금은 시가지가 되었음. 삼부연(三釜淵) (소) (용탕,가마탕,노귀항,솥탕)소(沼)가 3개가 있어 모두 솥처럼 생겼다 하여 삼부연이라 부르는데 그 중 제일 작은 것은 노귀탕, 중간 것은 솥탕, 가장 큰 것은 가마탕이라 부르며 여기서 용이 올라 갔다하여 용탕이라고 함. 선녀바윗골 (골) 선녀가 내려와 놀았다는 골짜기. 시루미(중간) (산) 느치 남동쪽에 있는 산. 높이 488m 모양이 시루처럼 생겼다 함. 시르메 (고개) 느치에서 용화로 가는 고개. 아홉말메기 (골) 화전을 하여 좁쌀을 아홉말을 뿌렸다는 골짜기. 용해 [용화(龍華)] (마을) 삼부연 위에 있는 마을. 자등골 (골) 서면 자등리(自等里)접경에 있는 골짜기. 절터골 (골) 수리봉에 있는 옛 절터. 젓디미 (골) 명성산 어귀에 있는 골짜기. 창살바위 (바위) 문창살처럼 줄이 쳐저 있는 바위. 한잔모텡이 (골) 궁예왕이 한숨을 쉬었다는 골짜기. 증산(甑山) 덕시루와 같이 생긴 산. 석천암(石泉庵) (암자) 돌틈에서 단물[단수(甘水)]의 샘물 약수가 나는 곳에 암자를 세웠던 암자. 가마솥골 (골) 가마 소이가 있는 골짜기. 골보매기 (보) 골짜기에 있는 물을대기 위해 설치해 놓은 보. 굴골 (골) 굴이 있었다는 골짜기. 덕재고개 (고개) 용화동에서 이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곡가마골 (골) 독을 군 가마터가 있었다는 골짜기. 대장터 (터) 대장간이 있었다는 터. 샘말 (마을) 샘이 많이 나왔다는 마을. 와가마골 (골) 개와(기와)를 구었다는 골짜기. 왜둔지 (터) 동리 뒤에 있는 넓은 밭 둔지. 이심소 (소) 이시미가 있었다는 소이. 인두봉골 (봉) 사람의 머리 같이 생긴 봉우리. 자라바위 (바위) 자라바위가 2개 있었는데 일제하에 돌려놓았다는 바위. 자씨네골 (골) 자씨 성을 갖은 사람이 살았던 골짜기. 장자골 (골) 부자가 살았다는 골짜기. 절뒤터 (터) 절이 있었다는 뒤의 화전 터. 진사터골 (골) 진사가 살았다는 골짜기. 탑자리 (합) 탑이 서 있던 터. 꺽지소이 (소) 꺽지가 많이 서식했다는 소이. 삼형제바위 (바위) 삼형제 같이 나란히 산봉우리에 있는 바위. 선녀탕 (소) 선녀가 목욕을 했다는 삼부연 아래쪽에 있는 소이. 음지말 (동리) 신철원 남쪽에 있는 음지 마을. 작은낭 (개울) 용화 저수지에서 흐르는 한탄강에 유입되는 후비쳐 흐르는 강 언덕 성골 (골) 약물이 나오는 산의 골짜기. 솔봉우리 (산) 현 청소년 회관 자리에 있던 솔나무가 있던 봉우리. 약물개 (고개) 성골 골짜기에 약물이 나오는 얕은 고개. 장구매기 (산) 장구같이 잘루막한 산허리 합소 (소) 용화천과 군탄개울이 합쳐지는 곳에 있는 소이. 울음산[명성산(鳴聲山)] 신철원 4리에 있는 울음산(922.6m)은 궁예가 그의 부하인 왕건에게 쫓기어 이 산중에서 피신하다가 더 이상 저항할 길이 없어지고 자기를 따르던 군사들을 해산하자 그의 곁을 떠나는 군사들이 슬피 울었다 하여 그 후 사람들은 이 산을 울음산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가끔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전설도 있으며 산정상에는 궁예가 왕건의 군사를 막기 위해 쌓았던 성터가 남아 있으며 지금도 당시의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기암절별벽으로 형상된 산정상에는 성터가 암아 있고 그 성을 울음성[명성성(鳴聲城)]이라 한다.
용화저수지(龍華貯水池) (저수지) 신철원 3리 용화동에 위치해 있다. 철원 8경의 하나인 삼부연(三釜洲) 폭포의 수원지인 이 저수지는 1960년 자연소류지를 확장 사력축조(沙礫築造)로 축조된 저수지는 저수 면적 28.47ha, 저수량 17,770t, 유역면 적 1,400ha, 몽리면적 4,400ha의 규모로 지포리, 군탄리 지역에 관수하고 있으며 민물 어류도 많이 서식하고 있는 저수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