來不入死關(올 때도 죽음의 관문에 들어오지 않았고)
去不出死關(갈 때도 죽음의 관문을 벗어나지 않았도다.)
天地是夢國(천지는 꿈꾸는 집이어니)
但惺夢中人 (우리 모두 꿈 속의 사람임을 깨달으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동국학원 이사장인 월암당(月庵) 정대(正大) 대종사가 18일 새벽5시
안양 삼성산 삼막사 월암당에서 세납 67세, 법납 42세로 입적했다.
스님의 법구는 입적 직후 스님의 출가본사인 수원 용주사로 이운됐으며,
영결식은 오는 22일 오전 10시 용주사에서 동국학원장으로 봉행된다.
정대스님은 입적에 앞서 위와 같은 임종게를 남겼다.
1937년 전북 전주에서 출생한 스님은 1962년 전북 완주 위봉사에서 당대최고
선지식인 전강(田岡)스님을 은사로 득도했다.
62년 인천 용화사에서 전강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수지했으며,
67년 통도사에서 월하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했다.
스님은 도봉산 망월사 선원을 비롯해 수덕사,
용주사 중앙선원 등에서 수행정진했다.
스님은 은사인 전강스님으로부터
‘板齒生毛(이빨에서 털이 난 도리가 무엇인가’를 화두로 받고,
그날부터 자신의 전신을 견성(見性)의 열정으로 채워 정진(精進)에만 몰두했다.
3년동안 ‘판치생모(板齒生毛)’의 화두를 놓고
용맹정진한 스님은 불조(佛祖)의 진면목을 참구한 끝에
‘중생과 부처가 다름이 없고,
마음 밖에 부처도 중생도 없음’을
자증(自證)하고 견성(見性)을 이루었다.
이사(理事)를 두루 겸비한 스님은 종단 중흥과 포교에도 남다른 원력을 갖고,
조계종 총무원 사회부장 재무부장 총무부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치고
중앙종회 부의장, 중앙종회 의장 , 용주사 주지 등을 거치면서
종단 중흥과 안정화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스님은 지난 99년부터 11월 20일 종도(宗徒)의 간절한 원력을 받아들여
제30대 조계종 총무원장에 취임하여 종단의 혼란을 수습하고 종단 안정화와
중흥의 기틀을 다졌다.
2003년 2월까지 3년여간 총무원장에 봉직하며 스님은 종단의 숙원 과제로
남아있던 중앙승가대 이전불사를 완료했으며,
한국불교문화역사기념관 건립 등 종단 중흥의 초석을 튼튼히 다졌다.
지난해에는 유산과 사재를 출현하여 은정장학재단을 설립,
소년소녀가장 등 어려운 여건속에서 학업에 전념하는 인재들을 지원하는데
힘썼으며,
지난해 12월부터 열반직전까지는 조계종 종립 동국학원 이사장을 역임하며,
교육과 인재양성에 매진했다.
18일 입적한 조계종 전총무원장 정대(正大)스님은 판치생모(板齒生毛) 네 글자를
평생의 화두로 삼았다고 한다.
이 화두는 ‘이에서 털이 난 도리가 무엇인가’를 묻는 것이다.
도대체 이 화두의 뜻은 무엇인가.
속인들은 그가 어떤 도리를 터득했는지 알수 없다.
그러나 그가 남긴 열반송(涅槃頌)은 쉬운 말로 생사여일(生死如一)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올 때도 죽음의 관문에 들어오지 않았고 /
갈 때도 죽음의 관문을 벗어나지 않았도다 /
천지(天地)는 꿈꾸는 집이어니 / 우리 모두 꿈 속의 사람임을 깨달으라.”
열반송은 스님이 임종할때 글로 남긴 계(戒)라고 해서 임종게(臨終偈)라고도 한다.
한자 게(偈)는 스님들의 귀글(한문의 정형시처럼 짝을 맞추어 지은 글)을 뜻한다.
한마디로 스님들이 수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의 말씀’을 남기는 것이다.
정휴(正休)스님에 의하면 열반송은
‘때론 서정적이고 때론 충격적으로 역설적’이다.
그래서 어떤 것은 아름다운 서정시가 되고,
어떤 것은 오묘한 난해시가 된다.
대개 해탈의 경지에 접어든 말씀들이라
‘초탈의 미학’이 담겨져 있다.
그러나 때로는 아주 구체적인 것도 있다.
“육신을 화장하지 말고 산짐승의 먹이가 되도록 놔두라”고 당부한 고승도
있다고 한다.
고문집에 실린 열반송에는 이런 것도 있다.
“팔십일년 동안 /
이 한마디 뿐 /
여러분들 잘 있게 /
부디 잘못 알지 말게.”
정대스님처럼 생사여일을 깨우친 열반송은 아주 많다.
“나고 죽음이 없는데 /
어찌 가고 옴이 있으리 /
빙하에서 불길이 솟고 / 무쇠나무에서 꽃이 피네.”
“본래 마음은 밝아 /
나고 죽음이 없네 /
목마가 밤에 우니 /
서쪽에서 해가 뜨네.”
기막힌 역설을 담은 열반송은 한국의 고승들에게서 많이 발견된다.
효봉스님은 이런 게를 남겼다.
“일평생 내가 말한 이 모든 것들
/ 모두가 불필요한 군더더기네 /
오늘의 일을 묻는다면 /
달은 저 일천개의 강에 잠긴다 하리.”
요즘 정치개혁을 이리 저리 회피하는 정치인들에게
‘죽어야 산다’는,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를 주문하는 여론이 많다.
뭐 그렇게까지 심각하게 요구할 수야 있겠냐만 고승들의 생사여일의 말씀은
한번 명심할 필요가 있다.
우리 모두 ‘꿈 꾸는 집’에 사는 인생들인데 너무 뻗대지 말고 좀 겸손해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