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줄탁동기회 원문보기 글쓴이: 운영자
요약정리한 것이지먼 분량이 많습니다.
비록 삽질해온 것일지라도
필독하여 중간고사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고전시가론> 요약정리
1. 고전시가의 개념
① 고전시가란 용어는 흔히 상고시대부터 근대문학 성립전까지의 우리 시가문학을 총칭
② '고전(古典)'이란 용어는 시간적 범주와 가치의 문제를 지니고 있는 데 시간적 범주는 갑오개혁을 근대의 중요한 분기점으로 잡고 가치의 문제는 고전이란 단순히 오래된 책이란 의미보다는 오늘날에도 모범이 될만한 전형성(典型性)을 지니고 있다는 가치개념을 지닌 말이다.
③ '시가(詩歌)'란 용어는 문학적 형식과 전달방식의 문제를 지니고 있는데 시가란 시와 가의 합성어로서 문학과 음악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특성에서 현대시는 문자중심주의적이라면 고전시가는 음성중심주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시가는 시조나 가사에서 보는 것처럼 정형율 또는 그에 가까운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율격성을 지니고 있다 하겠다.
④ 고전시가의 범주에는 국문시가, 한시, 민요와 잡가등의 구비문학도 포함됨.
2. 고전시가의 연구방법
① 외적(목적적)해석법: 시가 작품에서 추출해 나고자 하는 가치를 먼저 설정해 놓고 시가 작품을 연구하는 방법(시가 작품의 독자성을 훼손시킬 위험성이 있다.)
② 내적 해석법: 시가 작품 자체가 지닌 여러 특성을 통해 시가 작품의 가치를 파악하려는 방법(무미건조한 언어학적 조작에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③ 서지. 주석적 방법: 원본 확정과 언어 조직을 정비하는 일
④ 역사주의적 방법: 작품의 외적 환경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일
⑤ 형식주의적 방법:시가 작품을 작품 외적 사실과는 무관한 유기적 총체로 본다. 시가작품이 가진 언어적 기법, 문학적 수법, 전체의 구성 및 구조에 관한 기술 등에 관심을 가지면서 작품의 요소들이 갖는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작품을 해석하는 방법
⑥ 사회.윤리적 방법: 역사주의적 방법과 유사하나 사회적 역할에 더 관심을 갖는다.
⑦ 심리주의적 방법: 작품내적 심리분석에서 독자 심리분석으로까지 그 범위를 확대한다.
⑧ 신화. 원형적 방법: 카시러의 신화해석법, 프레이저의 민간신앙론, 융의 집단무의식론에 그 근거를 둔다.
⑨ 비교 문학적 방법
⑩ 구조주의적 방법: 문학을 기호체계로 보고 작품의 보편적 질서나 구조화의 원리, 문화적 약호나 문법과 같은 체계적 규칙을 발견해내고 해명하려는 연구방법.
제 2 장. 상대시가(上代詩歌)
1.상대시가의 개념
① 상대시가 또는 상대가요란 우리 민족의 선조인 예. 맥족이 한반도와 남만주 일대에 삶의 터전을 잡고 생활을 영위하고서부터 향찰표기의 향가가 발생하기 이전가지에 존재하였던 시가를 묶어서 부르는 편의상의 명칭이다.
② 이 시기는 정치. 사회적으로 구석기시대의 씨족사회시대로부터 부족국가 시대를 거쳐 고대국가인 고구려. 백제. 신라가 정립하던 시기까지이다.
③ 문학사적으로 주술노래시대로부터 원시종합예술체의 존재시기를 거쳐 향찰표기의 향가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기다.
2. 상대시가의 존재양상과 구조
① 중국측 고기록 : ⅰ) 신격(神格)에 대한 찬양과 기원의 노래: 영고(迎鼓)=(부여), 동맹(東盟)=(고구려), 무천(舞天)=(예) 등 천신을 위한 국중대회(國中大會)=(나라굿) ⅱ) 性的노래: 수혈(隧穴)에 수신(隧神)을 맞이하여 제의(祭儀)를 가진다. - 동맹(고구려) ⅲ) 추수감사의 노래: 남부의 부족사회에서 농공시필기(農功始畢期)에 곡모신(穀母神)을 위한 농경의례 ⅳ) 애정적. 서정적노래 ⅴ) 농사짓는 춤의 노동요(모심기나 타작하는 모양)
② 우리측 고기록 : ⅰ) 요랑(樂浪)언덕의 수렵제의 - 삼국사기(온달조): 천신. 산천신에 대한 제의. 다획(多獲) ⅱ) 희락사모지사(戱樂思慕之事) - 삼국유사(가락국기조): 허왕후(許王后) 도래시(渡來時)의 일을 재현한 놀이 ⅲ) 『기우주(祈雨呪)』 ,『구지가(龜旨歌)』 등은 욕망. 영신등의 성취를 위한 주술의 매개체로 사용 - 이러한 주사류(呪詞類)는 신령(神靈)이나 정령(精靈)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③ 『기우주』, 『구지가』,『벽귀사( 鬼詞)』,『진화재사(鎭火災詞)』,『해가』 등의 주술적 노래는 환기,명령, 위압적 다짐의 서술, 신격내력의 서술 . 명령의 어법으로 짜여 있다.
④ 『황조가(黃鳥歌)』 『공후인( 引)』 등의 서정적 노래는 2행시체가 중심형식이되, 애소적(哀訴的) 의문형이나 체념적 의문형으로 노래의 끝을 맺는 구성법을 사용한다.
*부족국가시대에 있어서 우리 선조들의 詩歌(시가)생활상 : 첫째(신격에 대한 찬양과 기원내용이 담긴 노래), 둘째(남녀의 性的(성적) 노래로 풍요를 기원), 셋째(태양신에 대한 풍요기원과 추수감사의 내용을 가진 노래), 넷째(애정적, 서정적 노래), 다섯째(협동심의 고취와 노동의 피로를 풀기 위한 노동요가 불리어졌다)
3. 상대시가의 발전과정
① 고구려. 백제. 신라 순이나 신라의 자료가 시가의 발전과정을 고구(考究)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2행시체에서 발전한 시가가 궁중의 가악에서 분화되기 시작한 시기: 내해왕(奈解王)代
③ 중국의 예악사상에 입각한 시가의 창제는 유리왕代의 『도솔가』
④ 개인적인 서정노래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 내해왕代의 물계자(勿稽子)에 의해서
⑤ 진흥왕12년에 우륵이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에 노래. 금(琴). 무(舞)를 전파
⑥ 진평왕 8년 예부의 산하에 음성서를 설치하여 궁중악을 관장
⑦ 진흥왕대 화랑제도의 창설로 '상열이가락(相悅以歌樂)으로 6행시체 사뇌가양식 발전
4. 상대시가의 작품개관
① 신라: 유리왕代(회악.신열악.도솔가.회소곡), 탈해왕代(돌아악), 파사왕代(지아악),
내해왕代(사내악,물계자가), 내물왕代(가무), 눌지왕代(우식악), 자비왕代(대악),
지증왕代(우인), 법흥왕代(미지악), 진흥왕代(도령가,원사,남모요)
진평왕代(날현인,해륜가,실혜가,사내기물악,장한성,무득가,몰가부가), 무열왕代(양산가)
② 고구려: 황조가, 내원성, 연양, 명주
③ 백제: 성운산, 무등산, 방등산, 정읍, 지리산
④ 가락: 구지가
⑤ 고조선: 공후인
★ 궁중가악인 것: 회악,신열악, 돌아악, 지아악, 사내악, 우식악, 우인, 도령가, 날현인, 사내기물악
★ 고려시대 속악에 사용되었고 그 시가가 이어(俚語)인 것: 장한성, 선운산, 무등산, 방등산, 정읍, 지리산, 내원성, 연양, 명주
★ 황조가(黃鳥歌) : 자연물을 빌어 고독함과 실연의 감정을 4언4구의 시경체로 읊은 순수 서정시가
작자(유리왕), 출전(삼국사기), 관련인물(치희(稚姬), 화희(禾姬))
翩翩黃鳥(편편황조) : 펄펄 나는 저 꾀꼬리
雌雄相依(자웅상의) : 암수 서로 정 다운데
念我之獨(념아지독) : 외로운 이 내마음
誰其與歸(수기여귀) : 뉘와 함께 돌아 갈꼬
★ 구지가(龜旨歌) : 희생의식 중에 신탁(神託)에 의해 춤과 더불어 불리어진 주가(呪歌).
이 주가의 형식은 민요의 기본 형식인 2행체였는데 한역될 때 4구로 정착되었고 기본구조는 환기법, 명령법, 가정법, 위압적서술법을 갖춘 시가인 것이다.
가락국 탄강신화(誕降神話)는 고대 금관지방의 구지봉에서 구간(九干)에 의해 행해지던 영군제의의 구술 상관물로 차례는 신탁의식(神託儀式), 희생의식(犧牲儀式), 등극의식(登極儀式)의 세단계로 희생의식에는 구간을 비롯한 오르기(orgy)적 가무가 따랐고, 등극의식에서는 하강과 수용, 격리, 재수용, 등극의 과정이 있었다.
모두가 일정한 규모의 집단적 제의에서 불리는 주술적 노래로서, 여럿이서 함께 부르는 집단주술의 형태를 띠고, 그 본래적 기능이 祈雨(기우)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주술적 위협의 대상이 주술적 해결의 능력을 지닌 존재가 신의 매개자라는 특성을 지닌다.
출전(삼국유사) , 일명(구하가,구지곡,영신군가)등으로 불리운다.
구하구하(龜何龜何) : 거북아 거북아
수기현야(首其現也) : 머리를 내어 놓아라
약불현야(若不現也) : 만약에 내밀지 않으면
번작이끽야(燔灼而喫也) : 구어먹으리라
여기서 "龜"에 대한 해석 : 거머>검(神), 토템으로서의 거북, 남근(男根)
★ 공후인( 引) : 중국 상고문형에 4언4구의 시경체로 정착된 상화가이며 순수 서정시가.
주제(임의죽음), 중심소재(물), 작자(여옥), 출전(고금주(古今注))
이 시가와 부대설화를 최초로 수록한 책자: 후한말 채옹의 금조(琴操)
ⅰ) 작자문제 : 고금주(여옥), 해동역사(백수광부처)
ⅱ) 제작시기문제 : 후한말(133-192)이전에 형성된 노래
ⅲ) 제명문제 : 시가명(공무도하가), 음악적인 견지에 입각한 이름(공후인)
ⅳ) 국적문제 : 백수광부와 처(설화적 인물), 여옥(한인), 곽리자고(한 군졸)
ⅴ) 조선진의 위치문제: 난하( 河)유역
公無渡河(공무도하) : 임은 물을 건너지 마오
公意渡河(공경도하) : 임은 그예 물을 건너다
墮河而死(타하이사) : 물에 떨어져 죽으니
將(當)奈公何(장(당)내공하) : 임은 어쩌란 말인가(체념. 회의)=여기서 고금주에서는 "장(將)내공하"로, 해동역사에서는 "당(當)내공하"로 표현되어 있다.
公=곽리자고, 河=남편으로 표현된 사랑이 스며든물
⑥ 가사부전시가
ⅰ) 도솔가 : 신라 유리왕이 나라안을 수행하다 굶주린 노파를 위로한 것과 관련. 동양적 예악사상에 입각해 의도적으로 제작되고 종묘의 제향등 궁중의례에 주악된 최초의 정풍가악에 사용된 노래(한국가요의 남상) 내용(민속환강(民俗歡康), 시화연풍(時和年 ), 출전(삼국유사)
ⅱ) 회소곡(會蘇曲)=(회악=會樂) : 왕이 6부를 정하고, 이를 두패로 가른 뒤,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내의 여자들을 거느리게 하여 붕당을 만들어 길쌈을 하던 노래
ⅲ) 물계자가(勿稽子歌) : 개인적, 서정적인 내용으로 지어진 금곡(琴曲)의 가락에 맞추어 불리운 노래, 신라 奈解王(내해왕) 때 지어진 노래로 대나무의 곧은 性癖(성벽)을 슬퍼하여 그것에 寄託(기탁)하여 자신의 심정을 표현한 것으로 집단가요에서 개인적인 서정노래로의 분화과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 이노래에 이르러 신라에 있어서는 종합예술형태인 가악이 비로서 가악과 무용으로 분화되기 시작한 것. (신라 내해왕代의 물계자가 작자)
ⅳ) 우식악(憂息樂)=(우식곡): 작자는 눌지왕으로 미사흔이 귀국하자 세 형제가 다시 만나게 된 기쁨을 나누는 자리에서 왕 스스로가 춤추며 지은 노래(박제상 관련)
ⅴ) 대악( 樂) : 극빈한 백결선생이 거문고로 방아소리를 내어 아내를 위로하는 노래
ⅵ) 원사(怨詞) : 신라 진평왕代 기녀인 천관이 지은 노래(김유신관련)
ⅶ) 해론가(奚論歌) : 가잠성의 역전과 해론 父子의 용기,영절,효심을 기린 서사적 장가
ⅷ) 실혜가(實兮歌) :귀양 벼슬가는 실혜의 왕에 대한 충절과 영신에 대한 지탄을 읊은 노래
ⅸ) 장한성(長漢城) : 고구려에게 점거된 것을 신라인이 군사를 일으켜 회복하여 지은 노래
ⅹ) 몰가부가(沒柯斧歌)와 무애가(無 歌) 작가(원효)가 설총을 낳기위해 (몰가부가)를 지었고 낳은뒤에 (무애가)를 지었다. 출전(삼국유사)
誰許沒柯斧(수허몰가부) : 누가 자루 빠진 도끼를 빌려 주겠나
我斫支天柱(아작지천주) : 나는 하늘 받칠 기둥을 깍으리라
몰가부 = 자루빠진도끼 = 여성(요석공주), 지천주 = 하늘받칠기둥 = 남성, 아들(설총)
xi) 양산가(陽山歌) : 양산전장에서 백제군과 싸우다 산화한 김흠운, 예파, 적득, 보용나의 호국정신과 절개를 기린 집단적 서사적 시가(갈충보국의 화랑정신 고취) 출전(삼국사기)
xii) 명주(溟州) : 물고기의 희생으로 서생과 양가의 딸이 맺어진다는 내용과 관련 출전(고려사), 고구려 노래
xⅲ) 정읍사(井邑詞) : 무고정재에서 불리어진 속악의 가사로 행상나간 남편의 무사를 기원 출전(고려사악지) 백제노래, 전강. 소엽부분을 『투곤아가보(投 雅歌譜)』에서는 『아롱곡(阿弄曲)』이라 가명을 붙였다. "어긔야"라는 감타사와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라는 후렴구가 있다.(화자가 여성)
ⅹⅳ) 방등산(方等山) : 백제 속악으로 도적에게 잡혀간 여인이 구해주지 않는 남편을 풍자
ⅹⅴ) 선운산(禪雲山) : 백제 속악으로 돌아오지 않은 남편을 그리워하여 선운산에 올라가 부른 노래(화자가 여성)
ⅹⅵ) 무등산(無等山) : 백제 속악으로 무등산에 쌓은 성이 백성들을 평안하게 한다고 해서 부른 노래
ⅹⅶ) 지리산(智異山) : 백제 속악으로 왕이 여인을 간음하려 하나 정절을 지키며 부른 노래(도미처와 관련)(화자가 여성)
ⅹⅷ) 내원성(來遠城) : 고구려 속악으로 고구려인의 선린정신과 위국정신을 담은 노래
ⅹⅸ) 연양(延陽) : 고구려 속악으로 주인을 위해 힘껏 일하겠다는 희생정신을 그린 노래
제 3 장. 향가(鄕歌)
1.향가의 명칭과 갈래
① 향가란 항찰로 표기된 신라시가 14수(모두 출전은 [삼국유사])와 고려초 균여의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11수, 예종의 『도이장가(悼二將歌)』 1수를 지칭한다.
② '향(鄕)'이 내포한 자기 폄하적 의미를 염두에 두고, 한시가 또는 당악에 대해 우리 시가를 낮추어 향가라 불렀다.
③ '향'이 결코 자기 폄하적 의미만을 가진 한자어가 아닌 만큼 중국 시가와 대등한 위치에서 서로 구별하기 위해 쓰여진 '시골말'이 아닌 '우리 고유의 말'(노래)이라는 명칭
④ '시(詩)'는 당나라 말로 얽음으로써 五言七字로서 탁마를 하고 '가(歌)'는 우리말로써 배열하여 三句六名으로써 가다 듬는다.'라 균여전에서 언급한것도 당시와 향가의 대등함과 '우리노래'를 입증하고 있다.
⑤ 향가란 4구체(2행체)의 도솔가, 10구체(6행체)의 『제망매가』 『우적가』 『보현10종 원왕가』 등 향찰로 표기된 모든 시가 형식을 표괄하는 명칭
⑥ 사뇌가란 3구6명체(6행체) 향가인 『창기파랑가』 『보현 십종원왕가』 에만 사용
⑦ 따라서 사뇌가란 향가의 특정한 한 갈래임
2. 향가의 형성과 전개
① 2행체향가는 신라 초부터 존재하였고 6행시체 사뇌가는 5세기 초.중엽에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 원인으로 ⅰ) 불교의 전래와 역경의 차자형식의 수용, ⅱ)일본에 사뇌가 형식인 시라기노래 존재 ⅲ) 김씨왕권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지배계층의 형성과 그에 적합한 시가 양식의 요청
② 향가는 화랑도 정신과 신라적 불교 사상 (호국삼부경, 미륵삼부경, 천수경)의 소장에 따라 전개된 주밀적(呪密的) 성격을 계승한 시가이다.
③ 향가는 정토삼부경(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에 의거한 정토왕생사상을 노래한 작품도 있다. - 원왕생가, 제망매가
3. 향가의 작가의 성분과 향가의 성격
① 향가 작가층: ⅰ)승려5인(융천사, 월명사, 충담사, 광덕, 영재) : 8수 ⅱ)화랑도(득오), 국선도(정치인)=신충 : 2수 ⅲ)기타 4인(무왕, 희명(불신도), 처용, 실명노인) :4수 iv)범국민적인 참여층, 화랑의 문학이다, 고급문화인층에 의해 창작, 郞僧(랑승)의 무리가 충심을 이룬다
② 향가의 성격과 기능: ⅰ) 신라의 국풍적 성격 ⅱ) 현세에 누리는 신라 귀족들의 호화스러운 향락을 내세에까지 연장하는 기능 ⅲ) 집단결속과 개인표현을 함께 감당하는 기능
★잡밀적 성격: 혜성가, 도솔가, 도천수대비가 ★기원적 성격: 제망매가, 원왕생가
★교도적 성격: 안민가, 우적가 ★맹우 관습적 성격: 찬기파랑가, 모죽지랑가
★찬불적 성격: 균여의 『보현십종원왕가』
4. 향가의 형식과 율격
① 향가의 형식
ⅰ)향가의 문학적 형식을 대체로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누고 그 완성형을 10구체로 본다.
ⅱ)특히 10구체가에 한하여 전8구 후2구로 구성된 시가로 보는 견해와 전부 8구, 후부3구인 11구로 구성된 정형시가로 보는 견해가 있다.
ⅲ)향가형식의 발전과정은 2행시체(4구체)향가형식에서 6행시체(三句六名체)사뇌가 형식으로 발전 했을 것이다.
ⅳ)2행시체는 사노 부족국가시대 이전부터, 사뇌가 형식은 5세기 초 중엽에 이르러 형성되어 6세기 말엽에는 완전히 서정시로 독립되었을 것이다.
v)嗟辭(차사)란 10구체 향가에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세 번째 단락의 첫 구절에 보인다
② 6행시체 사뇌가 형식인 3구 6명에 대해서는 율격의 단위로 해석하는 방법과 구조의 설명으로 해석하는 방법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을 취하고 있다.
ⅰ)율격의 단위로 해석하는 방법
3句6名을 3字6字라 하여 노래 한줄 안에 6음절이 3음보율을 이루는 것
句 句 句 - 3句
노래한줄= ○-○ ○-○ ○-○ → 여섯 개의 소리덩이(음절)
名名 名名 名名 - 6名
ⅱ)구조의 설명으로 해석하는 방법은 여러 견해가 있다.
가. 句는 뜻덩이 둘, 名은 뜻덩이 가. 句는 의의적 구조단위, 名은 단어
가. 句는 글귀(章), 名은 문절(구절) 가. 句와 名은 각각 다른 시형식을 지칭함
가. 특정句에 6名이 들어 있다는 견해 가. 句는 구성분단으로 名은 字로 보는 견해
가. 句. 名을 불전어(佛典語)로 보고 그 구조를 해석하는 견해
가. 특히 '아야. 아으' 따위의 감탄사를 한 名으로 처리한 이유는 첫째 ,가창(음악상 창조)에서의 중요한 기능, 둘째, 시상의 전환내지 총괄의 디딤돌적인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iii)3구6명에 대하여 "시는 당나라 말로 얽음으로써 5언7자로서 琢磨(탁마)를 하고, 歌(가)는 우리말로써 배열하여 3구6명으로써 가다듬는다 = 詩 唐辭 磨琢五言七字 歌排鄕語 切磋於三句六名(시구당사 마탁5언7자 가배향어 절차어3구6명)"
③ 향가의 율격 연구는 초기에는 음수율에 주안을 두고 3.3조가 대두되었고 근래에 와서는 음보율로 율격을 논의 하였는데 음보율에는 3음보설, 6음보설, 4음보설이 대두 되었다.
5. 향가 작품의 개관
★ 민요계열 향가 : 서동요. 풍요
★ 서정계열 향가 :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원가. 제망매가
★ 불교계열 향가 : 현교계열(원왕생가. 안만가. 우적가. 보현십종원왕가 11수), 주밀계열(도솔가. 혜성가. 도천수대비가)
★ 주사계열 향가: 처용가
(1) 민요계열 향가
① 서동요 : 작가(서동:무왕), 연대(진평왕), 형식(민요적 2행체), 관련인물:선화공주 내용(남녀 상열의 행동을 직설적으로 그렸다.), 전래동요의 개작 * 그윽 어러 두고 : 남 몰래 짝을 맞추어 두고 * 바매 알 안고 가다 : 밤에 알을 안고 가다
② 풍요 : 이 노래는 반복법을 써서 노동요의 기능인 공동 노역에서의 호흡조절을 기할 뿐 아니라 영탄법을 써서 생의 무상감을 절감하고 泥土施主(이토시주)를 통해 공덕닦음을 강조작가미상, 연대(선덕왕), 형식(2행체), 반복법, 영탄법 사용, 공덕닦기 권유 내용(호국사찰인 영모사의 장6상 조성 시 진흙을 나르며 부른 찬불 민요) * 오다 셜 해라 : 온다 서러운 이 많아라 * 셜 하 ㅣ 물아 : 서러운 중생의 무리여
(2) 서정계열 향가
① 헌화가 : 작가(견우노옹), 연대(성덕왕), 형식(2행체), 관련인물: 수로부인. 내용(순수 애정을 지향하는 신라인의 정신세계), 가정법, 도치법 구사 * 지뵈 바회 애 : 자주빛 바위가에 * 자 몬손 암소 노히시고 : 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 * 나 안디 붓그리샤 :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② 모죽지랑가 : 작가(득오), 연대(효소왕), 형식(4행체), 화랑도의 맹우 관습 내용(죽지랑을 연모하여 그의 정을 객관화,구체화 시킨 일종의 추도시), 노래의 구조는 과거, 현재, 미래의 시제 형태소와 봄, 년수, 사이, 밤 등의 시간적 어사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정서의 이동을 통한 사모의 정을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제4행에서는 은유적 표현을 빌어 임에 대한 자기의 항심을 객관화하고 구체화함으로써 刻苦意識(각고의식)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음이 특징이다. * 모 기으샤 : 살아계시지 못하여 *곳 기시온 : 전각을 밝히오신 * 즈 힝ㅣ 혜나암 헐니져 : 모습이 해가 갈수록 헐어 가도다 * 누늬 도랄 업시 뎌옷 : 눈의 돌음 없이 저를.
③ 찬기파랑가 : 작가(충담사), 연대(경덕왕), 형식(6행체), 내용(기파랑의 고매한 인격을 자연물에 비유하여 찬양한 노래) * 이슬 갼 라리 : 이슬 밝힌 달이 * 구룸 조초 간 언저레 : 흰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 몰이 가 믈서리여힝ㅣ : 모래 가른 물가에 * 逸鳥나릿 ㅣ 긔 : 逸鳥내 자갈 벌에서 * 아야, 자싯가지 노포 : 아아, 잣 나무 가지가 높아 * 누니 모 두폴 곳가리여 :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④ 원가 : 작가(신충), 연대(효성왕), 형식(6행체), 인간과 식물사이의 생명적 연대사고
잣나무와 관련 '달. 연못. 물결. 모래'라는 이미지를 구사하여 작가의 심적상태를 극명히 형상화 시킨 행 : 3행 - 라리 그르메 린 못 / 녈 믐겨랏 몰애로다(달이 그림자 내린 연못 갓/지나가는 물결에 대한 모래로다.) * 즈 라나 : 모습이야 바라보지만
⑤ 제망매가: 작가(월명사), 연대(경덕왕), 형식(6행체), 정토삼부경 사상
남매사이에 있어서의 죽음을 한가지에 났다가 떨어져 흩어지는 낙엽에, 젊은 나이에 죽는 것을 덧없이 부는 이른 바람으로 떨어진 잎에 비유하여 요절의 슬픔과 허무를 절묘히 표상화 하고 있는 행 : 3행
* 어느 이른 매 :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 이에 뎌에 러딜 닙 :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3) 불교계열 향가(현교계열)
① 원왕생가: 작가(불신도), 연대(문무왕), 형식(6행체), 정토삼부경사상, 내용(서방정토 왕생을 기원한 노래), 작가설(광덕설, 광덕처설, 원효설)
* 라리 엇뎨역 : 달이 어째서 * 곰 함 고쇼셔 : 보고의 말씀 빠짐없이 사뢰소서 * 다딤 기프신 옷 라 울워러 : 서원(誓願) 깊으신 부처님을 우러러 바라보며 * 두 손 모도 고조 : 두 손 곧추 모아
② 안민가: 작가(충담사), 연대(경덕왕), 형식(6행체), 대살차니건자소설경사상, 유교사상
'君-아비, 臣-어미, 民-아이'의 인칭적 은유의 수사법 사용 * 君은 아비여 : 군은 아비여 * 臣은 실 어 여 : 신은 사랑하시는 어미요 * 民 어릴한 아힝ㅣ고 : 민은 어리석은 아이라고
③ 우적가 : 작가(영채), 연대(원성왕), 형식(6행체), 범강경의 계율사상, 원효의 발심수행장 사상, 도적을 감복시키고 감화하기에 충분한 교훈적 내용 * 제의 : 제 마음의 * 즈 모 보려든 : 모습이 볼수 없는 것인데 * 아야, 오직 뎌오 한 : 아아, 조만한 선업(善業)은 * 안 도 업스니다 : 아직 턱도 없습니다.
④ 보현십종 원왕가 11수: 작가(균여), 연대(고려 광종代), 형식(6행체), 화엄경사상.
예경제불가(제불에게 예경하고), 칭찬여래가(여래를 우러러 찬탄하고). 광수공양가(널리 공양을 닦고), 참회업장가(스스로의 업장을 참회하고), 수희공덕가(남의 공덕을 따라 기뻐하고), 청전법륜가(설법하여 주기를 청하고), 청불주세가(부처가 이세상에 머무르기를 청하고), 상수불학가(항상 부처를 따라 배우고), 항순중생가(항상 중생을 따르고), 보개회향가(모두다 회향하는 것), 총결무진가(앞의 십원을 무진을 총결하려는 다짐)
(4) 불교계열 향가(주밀계열)
① 도솔가: 작가(월명사), 연대(경덕왕), 형식(2행체), 산화행법에서 가창. 미륵하생경 사상. 하늘에 해가 둘이 나타난것과 관련 * 보보 고자 너는, : 솟아나게 한 꽃아 너는, * 고 命가 브리이악 : 곧은 마음의 命에 부리워져 * 모리셔 벌라 : 뫼셔 나립(羅立)하라
② 혜성가 : 작가(융천사), 연대(진평왕), 형식(6행체), 금강명최승왕경사상 세 화랑(거열랑, 실처랑, 보동랑)이 풍악에 놀러 가려 하는데 혜성이 나타나 심성을 범하자 융천사가 별의 변괴를 퇴치키 위해 소재도장을 배설하고 지은 노래. 융천사는 이 노래에 둘러집기(원곡)의 수사법을 구사 * 녀리 믐 : 옛날 동쪽 물가. * 홰 안 어여 수프리야 : 횃불 올린 어여 수플이여
③ 도천수대비가 : 작가(희명), 연대(경덕왕), 형식(6행체), 천수경사상. 노래는 기원구조로 눈을 뜨게 해달라는 노래 * 무루플 초며 : 무릎을 낮추며 * 두 손 모도 라 : 두 손바닥 모아
(5) 주사계열 향가
① 처용가 : 작가(처용), 연대(헌강왕), 형식(4행체), 토속신앙과 용사상 * 東京 기 라라 : 동경 밝은 달에 * 밤 드리 노니다가 : 밤들이 노니다가
(6) 가사 부전의 향가 : 여기에 나오는 가사는 모두 '이어(俚語)'라는 것이 특징이다. 俚語 : 비속어, 속어=우리말 : ①이견대 ②신공사뇌가 ③앵무가 ④현금포곡, 대도곡, 문군곡 ⑤동경(1) ⑥동경(2) ⑦목주 ⑧여나산
*옛날 고어일 경우 깨져서 표시가 되고 있으니 교과서를 찾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제 4 장. 속가(俗歌)
1. 속가의 명칭과 개념 : ① 속가란 원래 민간의 노래였다가 고려말기에 궁중으로 유입되어서 불려진 것 ② 고려시대에 우리말로 불리어 지되 속악의 가사로 사용된 시가의 한 갈래 ③ 고려가사, 고려가요, 장가, 별곡, 고속요(속요)등의 많은 명칭으로 불리운다.(속요라는 명칭은 민간에 떠도는 속된 노래이되 악기의 반주가 없는 노래를 말한다) ④ 현전하는 속가는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에 실린 우리말 노래 14편과 고려사악지, 익제난고, 급암선생시집에 실려 있는 한역노래14편 등 모두 28편이다. ⑤ 조선시대에는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배척을 받았다. ⑥ 男女相悅之詞(남녀상열지사), 鄙俚之詞(비리지사), 淫褻之詞(음설지사) 등은 모두 속가에 대한 것이다.
2. 속가의 편수와 주제 : ① 가사는 전하지 않고 가영 밑에 작자. 유래. 내용등만을 간략히 해설해 놓은 속가: 서경. 대동강. 양주. 장단. 원흥. 금강성. 장생포. 총석정. 송산. 예성강. 동백모. 태평곡. 북전 ② 구비 전승되다가 국자 창제이후 정착된 속가 : 동동, 벌곡조, 처용가. 삼진작(정과정), 쌍화점(삼장), 사모곡, 상저가, 서경별곡, 정석가, 청산별곡, 가시리, 이상곡, 만전춘별사 ③ 한역되어 전하는 속가: 장암, 오관산, 거사련, 사리화, 제위보, 안동자청, 한송정, 사룡, 원정화, 소년행, 수정사, 북풍선, 정인, 니활, 우대후, 호목, 만수산, 묵책, 보현찰, 아야, 목자득국, 이원수
④ 속가를 주제별로 분류해보면 : ⅰ) 육친애: 사모곡. 오관산. 상저가 ⅱ) 부부애: 예성강. 거사련. 원흥ⅲ) 염정: 동동. 쌍화점(삼장). 사룡. 만전춘별사. 후전진작(북전) ⅳ) 이별: 서경별곡. 가시리 ⅴ) 정조: 안동자청. 제위보 ⅵ) 단심: 정석가. 이상곡 ⅶ) 연군: 정과정. 동백목. 정인 ⅷ) 송축: 서경. 대동강. 장단. 송산. 정산. 금강성 ⅸ) 유상: 한송정. 총석정 ⅹ) 유락: 양주. 태평곡. 소년행 xi) 민원: 사리화. 북풍전 xii) 풍유: 원정화. 장암. 벌곡조. 수정사. 니활 ⅹⅲ) 참조: 우대후. 호목. 만수산. 묵책. 보현찰. 아야. 복자득국. 이원수 ⅹⅳ) 구나: 처용가 ⅹⅴ) 군여: 장생포 ⅹⅵ) 유망: 청산별곡
3. 속가의 작가와 향유계층
① 대부분의 속가는 작가나 제작연대를 알수 없는데, 이유는 원래 민간에서 구전되던 민요를 궁중의 속악가사로 수용되어 개편 과정을 겪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속가는 그 원작자가 민중인 것이다..
② 속가가 원래 민간에서 구전되던 민요였음을 증명하는 사실들
ⅰ) 지방적 성격을 띤 속가가 많은점
ⅱ) 내용에 남녀 상열이라는 점
ⅲ) 동일한 내용의 가사나 비슷한 내용의 가사가 두 속가에 나타나는점
ⅳ) 민요 특유의 구조, 표현. 시어. 율격을 가진점
ⅴ) 여음구나 투어의 사용에 개편의 흔적이 보이는 점
③ 각지방에 산재해 있던 민요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궁중의 속가로 수용되고 개편되었을까?: 창기나 관비. 무당을 통해 궁중으로 수용되고 상층지배층의 취향에 따라 개편되었다.
④ 지방의 창기나 관비. 무당을 통해 궁중으로 들어간 민요가 어떤이유로 속악의 가사로 쉽게 수용. 개편 될 수 있었을까? - 그 주제의 성격이 남녀 상열지사나 군주를 송축. 연모하는 민요였기 때문이다.
⑤ 남녀간의 상열 내용 민요나 군주를 송축. 연모하는 민요가 어느때 많이 궁중의 속악가사로 상승했으며, 또 속악의 악조에 따라 민요의 원사를 개편한 담당층은? -고려말(13세기후반-14세기 중엽), 폐행, 창기, 악곡등이 담당
⑥ 속가 중 개인 창작 속악가사의 작가층은 - 왕. 권문세족. 신흥사대부
4. 속가의 형식과 율격
① 속가에는 사뇌가나 시조와 같은 정형성은 없다.
② 속가에는 후렴구, 반복구, 조흥구, 감탄사를 가진 노래가 많다. 그 이유는?
악곡의 형식에 맞추다 보니 일어난 현상
③ 후렴구의 기능 : 연시체형속가 - 노래를 연단락으로 나누는 구실과 장기화 경향구실
: 단시체형속가 - 조흥의 구실
④ 속가의 여흥구(후렴구. 조흥구)를 악기의 구음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⑤ 속가의 형식에서 또 하나 논급할 문제는 서사와 결사다.
⑥ 속가의 율격은 음보율에서는 3,4음보율로 되어 있으나 3음보율이 우세하고 음수율에서는 2.3.4.5음절로 되어 있으나 3,4음절이 우세하다.
5. 속가 작품의 개관
① 현전 국어체 속가(14편)
ⅰ) 육친애(肉親愛) 속가: 사모곡, 상저가
★사모곡(思母曲) : 일명 '엇노리'라 하며 어머니 사랑이 아버지 사랑보다 높음을 호미와 낫으로 비유하여 읊은 노래, '목주가'의 별칭은 아니다 조흥구(덩더둥셩), 감탄사(아소님하), 호 ㅣ도 히언마 / 낟 티 들리도 업스니이다..., 출전(악장가사)
★상저가(相杵歌) : 빈곤한 생활속에서도 부모를 봉양하는 지극한 효심을 읊은 노래
조흥구(히얘, 히야얘), 출전(시용향악보), 주고 받는노래(방아노래), 듦긔동 방해나 디히 히얘 / 게우즌 바비나 지어 히얘....
ⅱ) 염정(艶情)속가: 동동, 쌍화점, 안전춘별사, 북전(후전진작)
★동동(動動) : 이 속가는 아박정재에서 불리어진 속악의 가사로서 버림받은 여인이 임을 연모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 13연의 월령체(달거리)노래, 후렴구(동동다리), 감탄사(아으), 출전(악학궤범), 덕(德)으란 곰 ㅣ예 받 고 / 복(福)으란 림 ㅣ예 받 고 ....
★쌍화점(雙花店) : 충렬왕때 오잠, 김원상, 석천보, 석천경등이 기녀들에 가르쳐준 육체적인 욕정의 노래, 등장인물(회회아비- 몽고군, 사주-승려, 용-군왕, 술집주인-상인)
후렴구(더러둥셩 다리러디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리 다로러 / 긔 자리에 나도 자라가리라)
조흥구(다로러거디려), 감탄사(위위), 남장별대들이 부른 노래로 추정하기도 함.
쌍화점에 쌍화사라 가고신 / 회회아비 내손모글 주여이다... 출전(악장가사)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 쌍화점과 같이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사랑노래
출전(악장가사), 감탄사(아소님하), 음악적 분단은 6分段(분단)이나 문학적분단은 한 련이 전후로 나누어진 3련이다, 이 작품의 생성연대를 충혜왕대로 잡기도 한다. 3장 6절 6단으로 되어있는 노래극의 대본으로 보기도 한다. 이 작품의 련은 시조의 형식에 접근하고 있어서 시조기원의 근거로 삼기도 한다. 고려시대 대표적인 사랑노래이다.
어름우흐 댓닙자리 보아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뎡 ....
★북전(北殿)=(후전진작(後殿眞勺)) : 은유법, 청유법을 구사하고 4음보 3행시형의 시조양식이며 이중적 체계로 전승된 속가
흐리누거 괴어시든 어누거 좃니 새 / 젼 져 로 벗님의 젼 로셔...
ⅲ) 이별(離別)속가: 서경별곡, 가시리
★서경별곡(西京別曲) : 남녀사이의 이별만 일관되게 노래, 율격은 3음보, 출전(악장가사)
구성형식은 구체적 병행과 통사적 병행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 감탄사(위)
후렴구(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조흥구(아즐가),
서경이 아즐가 / 서경이 셔울히마르는.....
★가시리: 시용향악보 에는 (귀호곡)이라 함. 출전(악장가사)
후렴구(증즐가 태평성대), 조흥구(나 ), 감탄사(위)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 리고 가시리잇고 나 ...
ⅳ) 단심(丹心)속가 : 정석가, 이상곡
★정석가(鄭石歌) : 결련(구스리 바회예 디신 ...)부분은 서경별곡에도 나옴
조흥구(나 ), 출전(악장가사),
딩아돌아 당금에 계상이다 / 딩아돌아 당금에 계상이다......
★이상곡(履霜曲) : 자기를 버리고 떠나간 임에 대한 연모의 정과 일편단심을 강조한 노래
조흥구(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세 너우지), 감탄사(아, 아소 님하), 출전(악장가사)
비오다가 개야 아 눈 하 디신나래 / 서린 석석사리 조 곱도신 길헤.....,
ⅴ) 연군(戀君)속가 : 정과정
★정과정(鄭瓜亭) : 고려때 유배간 정서가 지은 연주지사(새벽달과 별에 비유)
출전(악학궤범), 감탄사(아으, 아소님하), 이 노래를 악학궤범에서는 三眞勺(삼진작)이라 하였다. 眞勺(진작)이란 속악조명이며, 이에는 1부터 4까지 있는바 1이 가장 느린 노래이니 삼진작인 이 노래는 빠른 가락의 노래임을 알 수 있다.
내님믈 그리 와 우니다니 / 山졉동새 난 이슷힝요이다.....
ⅵ) 풍유(諷喩)속가 : 유구곡(維鳩曲)=(벌곡조)
비둘기 울음보다는 뻐꾸기 울음이 더 좋다는 속가, 출전(시용향악보)
비두로기 새 / 비두로기 새 / 우루믈 우루 ㅣ ...
ⅶ) 구나(驅儺)의 속가 : 처용가(處容歌)
고려 후기부터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섣달 그믐에 구나 의식을 행한 뒤 내당에서 지당구를 설치하고 노는 놀이 가운데 불리어진 노래, 율격은 주로 3.4음보이고 서사에 귀절의 반복구조를, 본사에 귀절의 반복구조와 통사적 병렬구조를 지닌다. 출전(악학궤범), 감탄사(어와,아으) 신라성대 소성대 / 천하태평 나후덕 / 처용아바.....
ⅷ) 유망(流亡)속가 : 청산별곡(靑山別曲)
모두 8연으로 되어 있는 유랑하며 체험했던 삶의 고통을 솔직하게 표현
후렴구(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출전(악장가사)
살어리 살어리랏다 / 청산에 살어리랏다 / 멀위랑 래랑 먹고.....
ⅸ) 추모(追慕)의 창작가요: 도이장가(悼二將歌)
예종이 고려 왕건을 위해 전사한 두 공신(신숭겸,김락)을 추모하는 노래
문학사적으로 향가와 시조 단가의 징검 다리로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출전(장절공유사)
主乙完平白平心聞 / 際天乙及.... 님을 온전케 하온 / 마음은 하늘 끝까지 미치니....
2.한역속가(대부분 이제현의 [익제난고]에 실린 것) : 궁중의 속악에 사용된 가사를 한역한 악부시를 한역속가라 한다. : ① 장암(長巖) : 환로에서 당하는 위난을 읊은 것, 벼슬에 오르지 말라는 충고 ② 거사연(居士戀) : 부인이 남편을 기다리는 애틋한 정을 읊었다. ③ 제위보(濟危寶) : 부랑배에게 잡힌 손을 씻을 길이 없다며 여인의 한스러움 노래(여향(餘香):남편의 향기) ④ 사리화(沙里花) : 땀흘려 농사지은 것을 수탈당하는 백성의 고통스런 마음을 노래 (참새등장) ⑤ 처용(處容) : 익재 나름으로 창작한 관극시(처용가를 한역한 것이 아님) ⑥ 오관산(五冠山) : 일명 『목계가(木鷄歌)』 , 노모(老母)축수의 노래 ⑦ 단심(丹心) : 서경별곡의 2연, 정석가의 6연과 같은 내용 ⑧ 정과정(鄭瓜亭) : 속가 『정과정』을 한역한 것 ⑨ 삼장(三藏) : 『쌍화점』 의 제 2연을 한역한 것 ⑩ 안동자청(安東紫靑) : 일명 『자청가』 , 여인의 정조, 또는 숫총각, 숫처녀가 부른 사랑의 노래 ⑪ 월정화(月精花) : 버림받은 여인의 애달픈 심정을 잘 드러낸 노래 ⑫ 한송정(寒松亭) : 갈매기 등장 ⑬ 사룡(蛇龍) ⑭ 만전춘(滿殿春)
3. 한역속요 : 전래 민요를 한역한 악부시 : ① 소년행(少年行) : 어린시절의 즐거웠던 추억을 더듬는 노래② 수정사(水精寺) : 생계를 위해 부득이 몸을 파는 제주도 노기의 처참한 생활상 ③ 북풍선(北風船) : 일명 탐라요, 북풍선자 로 불림. 제주도 백성의 고통을 노래 ④ 정인 ⑤ 부구 ⑥ 니활
4. 한역참요 ; ① 보현찰(普賢刹) : 정중부의 무신란이 미리 일어 날 것을 예언한 노래 ② 호목(瓠木) : 고종때 유행하던 동요, 현실에 고뇌된 원차적. 저주적 노래 ③ 만수산(萬壽山) : 고려의 망함을 예언한 노래④ 묵책(墨冊) : 문란한 국정을 풍자한 노래 ⑤ 아야(阿也) : 충혜왕의 죽음을 예언한 노래 ⑥ 우대후(牛大吼) : 공민왕의 잘못된 정치를 비판한 노래 ⑦ 남구(南寇) : 홍두적란(紅頭賊亂)을 예언한 노래 ⑧ 이원수(李元帥) :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관련
5. 가사 부전의 속가 : ①서경 ②대동강 ③양주 ④장단 ⑤정산 ⑥별곡조 ⑦원흥 ⑧금강성 ⑨장생포 ⑩총석정 ⑪송산 ⑫예성강 ⑬동백목 ⑭쌍연곡 ⑮태평곡
제 5 장. 경기체가(京幾體歌)
경기체가는 고려 고종때 발생하여 고려후기와 조선전기에 유행하다가 임란 이후에 소멸된 정형시가로, 그 향유층은 신흥사대부다.
1.경기체가의 명칭과 갈래론
① 한림별곡류의 경기체가의 명칭들: 별곡, 별곡체, 별곡체가, 경기하여가, 경기하여체가, 경기체별곡 등
② 경기체가는 사뇌가 형식에서 볼 수 있는 의미 단락의 전후 분단성을 계승하면서 전대절은 화제의 나열을 통해 정보의 양을 극대화 함에 주력하였고 후소절은 대체로 "위 가가景긔 엇더힝니잇고"라는 공식적 표현구절을 사용하여 화제의 초점을 집약. 응축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③ 청산별곡류 시가는 서정장르에 속하며, 한림별곡류 시가는 교술장르에 속한다.
④ 청산별곡류 시가는 정형을 이루는 것이 아니나 한림별곡류 시가는 전반적으로 엄격한 정형시라 볼 수 있다.
⑤ 한림별곡이란 말은 고려속요 뿐만 아니라 가사에도 쓰이고 있다.
⑥ 경기체가 景(경)이란 표현은 장르적 성격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구실을 하는 것이므로 이것을 살리는 것이 좋다.
2.경기체가의 개관 및 소멸과정
① 고려 고종3년 당시 한림제유들의 한림별곡 이 처음 불리어진 뒤 안축의 관동별곡 죽계별곡 이 창작 됨으로 해서 한 시가 장르로 성립
② 그 뒤 경기체가는 조선조 명종. 선조대에 권호문의 독락8곡을 마지막으로 소멸 되었는데, 경기체가가 소멸되는 원인은 결국 재도지문의 문학관을 지닌 사림파의 등장이 직접적인 원인이었고, 가사. 시조의 융성이 간접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③ 특히 이황은 도산십이곡 발문에서 한림별곡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혹평을 가했다. "한림별곡의 류는 문인의 입에서 나왔으나 긍호하고 방탕하며 아울러 설만하고 희압하여 더욱이 군자가 숭상할 바 아니다."
(如翰林別曲之類 出於文人之口 而???? .....)
④ 경기체가는 우리시가에서의 기원설, 중국시가에서의 기원설, 절충설 등의 견해가 있는데 경기체가의 형식구조를 고려한 기원설로는 '우리시가에서의 기원설'이 설득력이 있는 견해라 할 수 있다.
⑤ 노래의 형식구조를 처음 창안한 계층이 당시 미천한 鄕里(향리) 출신으로 최씨 무신집권기에 漢詩文(한시문)을 마음대로 구사할 수 있는 能文能吏(능문능리)의 관료들이었기에 새로운 시형을 추구하다가 결국 기형적인 시형을 창안했다고 볼 수 있다.
3.경기체가의 형식과 율격
① 현전하는 경기체가 26편 가운데 정형성을 띤 노래는 한림별곡, 구월산별곡, 화산별곡, 가성독, 오륜가, 연형제곡, 서방가등 7편 뿐이고 나머지는 변격 내지 파격이다.
② 경기체가의 형식과 율격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 몇 개의 장이 중첩되어 한 작품을 이루는 연장형식을 취하고 있다.
ⅱ) 한 장은 6행이되 제 4행과 5행에서 두 개의 구조적 단위(전대절.후소절)로 양분되는 분절 형식이다.
ⅲ) 4행과 6행에는 경기체가의 고정된 상투어인 "위-景긔엇더힝니잇고"가 온다.
ⅳ) 5행의 4음보 가운데 뒤 2음보의 가사를 반복한다.
ⅴ) 1행에서 3행까지는 매행이 3음보이며, 5행은 4음보인 것이 원칙이다.
ⅵ) 음수율은 1,2행이 3.3.4, 3행이 4.4.4., 5행이 4.4.4.4.의 음절로 고정된다.
4. 경기체가의 작품개관
① 풍유적인 노래: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구월산별곡, 불우헌곡, 금성별곡, 화전별곡, 독락팔곡
② 송도적인 노래: 상대별곡, 화산별곡, 가성덕, 축성수, 배천곡, 충효가
③ 교도적인 노래: 오륜가, 연형제곡, 육현가,도동곡, 엄연곡, 태평곡,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 서방가, 기우목동가
★ 한림별곡(翰林別曲) : 장수(8장), 형식(정격), 작자(한림제유), 연대(고려 고종)
출전(악장가사,고려사악지,악학변고), 경기체가 최초의 작품
1장(시무=詩 )), 2장(서적=書籍), 3장(명필=名筆), 4장(명주=名酒), 5장(화훼=花卉), 6장(음악=音樂), 7장(누각=樓閣), 8장(추천= 韆:그네)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 / 李正言 陳翰林 雙韻....
★관동별곡(關東別曲) : 장수(9장), 형식(변격), 작자(안축), 연대(고려 충숙왕), 출전(근제집) 海于重 山萬....
★죽계별곡(竹溪別曲) : 장수(5장), 형식(변격), 작자(안축), 연대(충숙.충목왕), 출전(근제집, 죽계지, 해동잡록)
★상대별곡(霜臺別曲) : 장수(5장), 형식(변격), 작자(권근), 연대(조선 정종.태종代), 출전(악장가사,악학변고)
사헌부의 위풍에 대한 칭송과 관원들의 하루 일과를 차례로 읊은 내용
華山南 漢水北 千年勝地 ...
★화산별곡(華山別曲) : 장수(8장), 형식(정격), 작가(변계량), 연대(세종代), 출전(악장가사,세종실록,악학변고)
조선 왕도의 위대함과 왕업의 영원함을 노래
華山南 漢水北 朝鮮勝地 ....
★가성덕: 장수(6장), 형식(정격), 작자(예조), 연대(세종11년), 출전(세종실록)
★축성수: 10장, 파격, 예조, 세종11년, 세종실록
★오륜가: 장수(6장), 형식(정격), 작자(미상), 연대(세종代), 출전(악장가사,약학변고)
★연형제곡: 5장, 정격, 예조, 세종代, 악장가사
★기우목동가: 12장, 변격, 지은, 세조代, 적멸시중론
내용은 부처에 대한 예찬과 서방정토에의 왕생이다.
無念無思 是名長安 佛祖傳心...
★불우헌곡: 7장,변격, 정극인, 성종代, 불우헌집
★화전별곡: 6장, 파격, 김구,중종代, 자암집
내용은 남해의 풍경과 인물의 찬양, 기녀들과 풍유하는 것
天之涯 地之頭 一點仙島
★금성별곡: 6장, 변격, 박성건, 성종代, 오한공유고, 문원
海之東 湖之南 羅州大牧.....
★독락팔곡: 7장, 파격, 권호문, 명종.선조代, 송암선생속집, 경기체가의 마지막 작품
내용은 입신양명의 뜻을 버리고 전야에 묻혀 유유자적하며 고고한 생활을 즐기던 자기의 심회를 읊은 것으로 조선조에 와서 연장체 형식은 유지되나 각장은 장형화하다가 소멸해 버린 경기체가이다.
太平盛代 田野逸民...
제 6 장. 악장(樂章)
1. 악장의 명칭과 개념
① 조선초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악장은 왕실을 중심으로 한 궁중의 공식 행사에 쓰인 음악의 일종으로 불려진 노래들이다.
② 조선조 초기인 15세기에 주로 지어진 궁중의 음악으로 왕실을 찬양하거나 국가의 번영을 기원하는 내용이 중심이 되어서 이루어진 노래이다.
③ 악장의 명칭은 궁정(宮廷)문학, 아송(雅頌)문학, 송축가, 송도가, 송도시, 악장 등의 다양하게 제기 되었다.
④ 궁중에서 사용된 음악 중에서 말로 된 것이다.
2. 악장의 성립과 전개과정
① 초기 악자의 성립은 고려때의 악곡에 새로 지은 악장을 얹어서 부르게 된다.(반쪽노래) 그 이유로는 훈민정음이 창제되지 않았고 예악이 정비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즉 정도전의 『납씨가』는 『청산별곡』의 곡조에 얹어서 부르게 하고 『정동방곡』 은 『서경별곡』의 곡조에 얹어서 부르게 했다는 사실이다.
② 그후 세종代에 새로운 악장이 나오는데 125장의 『용비어천가』 가 그것이다.
용비어천가는 『여민락』 이라는 새로운 곡조를 만들 만큼 창작악장의 완성된면을 보이고 있다.
③ 그후 『월인천강지곡』 이후 악장은 쇠퇴의 길을 걷는다.
④ 이와같이 악장의 수명이 짧은 원인은 악장의 성격이 왕실의 위대함을 찬양하는 노래였던 만큼 정치가 안정되고 태평성대를 누리자 새로운 악장을 만들어 낼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3.악장의 형태와 분류
① 형태에 의한 분류: 단장체악장, 연장체악장
② 표기수단에 의한 분류: 한문악장, 국문악장, 현토악장
③ 단장체 악장(單章體 樂章)
ⅰ) 한문악장: 몽금척(정도전)
ⅱ) 국문악장: 신도가(정도전)
ⅲ) 현토악장:한문으로 이루어진 것에 우리말로 토씨를 붙여서 만든 것
봉황음(윤회), (작자미상의)북전, 횡살문
④ 연장체 악장(連章體 樂章)
ⅰ) 한문악장: 정동방곡(정도전), 천권곡, 응천곡(변계량), 축성수, 악장종헌가(예조)
: 작품들 모두 후렴구(偉 東王德盛)가 있는게 특징
ⅱ) 국문악장: 감군은 (四海 바닷 기픗 ...), 유림가, 화산별곡
: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에 이르러 조선의 악장이 완전한 모습을 갖추었다.
ⅲ) 현토악장: 문덕곡(정도전): 法官이 有儼 深九重 힝시니...
4. 주요작가와 작품
① 정도전: 납씨가, 궁수분, 정동방곡, 문덕곡, 몽금척, 수보록, 신도가
특히 문덕곡(文德曲)은 4개의 장으로 나누면서 "개언로(開言路), 보공신(保功臣), 정경계(正經界), 정예악(定禮樂)"이라는 제목이 특징이다.
② 권근: 천감, 화산
③ 하윤: 신도형승곡, 도인송수곡
④ 변계량: 천권곡, 응천곡
⑤ 윤회: 봉황음
⑥ 세종: 125장의 용비어천가와 580여장의 부처의 일대기를 노래한 월인천강지곡
⑦ 龍飛御天歌(용비어천가)는 與民樂(여민락)이라 하여 백성들과 함께 하는 노래로 인식되었다. 단편적인 서사성을 국가의 흉성이라는 일관된 서사성으로 집약한 작품이다. 한문과 현토 등으로 표기되던 악장을 국문표기로 통일시킨 작품이다.
제 7 장. 시조(時調)
1. 시조의 명칭과 개념
① 시조라는 명칭을 사용한 최초의 문헌기록은 신광수의 석북집(石北集) , 석북집의 내용중 『관서악부』 에는 "初唱 ... 太眞(양귀비) ... 時調 ... 李世春 / ....."
② 이학규는 "시조는 또 이르기를 시절가라고도 한다. 대개 항간의 속된말로 된것인데 느리게 소리를 길게 해서 부르는 것이다.
③ 문학적인 형태로 쓰인 것은 19세기 이후 최남선(국풍사수), 이병기에 의해서이다.
④ 지칭하는 용어: 단가, 시여, 신조, 장단가
⑤ 개념: 시조는 고려말엽에 발생하여 조선후기까지 노래로 불리워진 것으로 3행시의 형태를 지니며 3.4조의 4보격의 율격을 가진 정형의 서정시다.
2. 시조의 기원
① 外來起源設(외래기원설) : 중국 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시조의 연원을 찾으려는 것으로서 한시와 시조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학설
ⅰ) 漢詩起源設(한시기원설)과 ⅱ) 佛歌起源設(불가기원설)이 있다.
② 在來起源設(재래기원설) : 우리나라의 전통시가에서 시조의 기원을 찾으려는 견해로서 향가나 고려가요 등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학설.
ⅰ) 民謠.神歌起源設(민요.신가기원설) : 6구3절형의 민요나 무가의 노랫가락에서 시조가 발생
ⅱ) 鄕歌起源設(향가기원설) : 우수의 句(구)보다 기수의 句(구)가 더 짧다. 세 번째 장의 첫 머리에는 석자로 제한하면서 반드시 감탄적 느낌을 주는 말이 쓰인다. 의미상으로는 향가나 시조 모두 3단락으로 나누어진다.
ⅲ) 高麗俗謠起源設(고려속요기원설)
3. 시조의 발생시기
① 고려 말엽 발생설 :ⅰ) 별곡과 시조의 유사점이 많으며, 고려 말의 작가들이 지었다는 작품이 많이 남아 있다. ⅱ) 고려 말에 지어진 시조 중에 한역된 것도 있는데 양자를 비교할 때 그 형식에서 차이가 없다. ⅲ) 『만전춘』의 2연과 5연이 3장이라는 분장의 형태, 리듬의 템포, 호흡의 완급 등이 시조와 흡사하다.ⅳ) 우리나라 시가를 장르사적 변천과정에서 파악하고 향가를 계승한 시조가 고려 말기에 발생했다. v) 고려속요와 시조의 형태적 유사성과 문헌에 나와있는 작품들의 작자를 그대로 믿는다는 가정하에 출발하는 시조발생설이다.
② 16세기 발생설 : ⅰ) 시조집에 수록되어 있는 시조들에 대한 기록을 그대로 받아 들이기 어렵고, 고려시대에는 시조라는 명칭이 없었으며 고려말의 정치 격변기에는 시조가 나타날 리가 없다. ⅱ)『진본청구영언』 과 후대에 만들어진 시조집들과의 상이점과 『만전춘』 의 2연과 5연등이 불완전한 종결형태를 갖춘 것 ⅲ) 『오산설림』 에 '이시렴 부디 갈다...'라는 시조가 실려있다.
③ 사설시조의 발생시기는 주로 17세기의 생성기를 거쳐 18세기에 성행.
4. 시조의 형식과 율격
① 시조의 형태는 3장이라는 표현보다는 3행시라고 하는 것이 옳은 규정이다.
② 1행을 2구로 파악하여 한편의 평시조를 6구로 인식하는 것이 정당하다.
③ 시조창에서 사용하던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의 개념이 문학에서는 3장 6구체의 시조로써 45자 내외로 된 것을 (평시조), 평시조에서 초.중.종장중 어느 한곳이 음수에 있어서 원규칙에 벗어난 작품을 (엇시조), 평시조 형태에서 중장이 2구 이상 실어진 것을 (사설시조)라 한다.
④ 시조의 문학적 분류를 다시 시도한 것이 단형시조와 장형시조의 구분이다.
⑤ 율격의 초기이론은 음수율론이었고 음수율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시가의 율격이론을 새롭게 정립한 것이 음보론이다.
⑥ 4음절로 된 음보를 (평음보), 2보다 작은 음절로 된 것을 (소음보), 보다 많은 음절로 된 것을 (과음보)라 하여, 특히 종자의 전반부가 지닌 소음보-과음보의 불균형은 시적 긴장이 모이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후반부는 이완의 흐름을 형성하여 한 편의 시조가 마무리 된다는 것이다.
⑦ 결국 시조는 3행시의 형태를 지니며 3.4조의 4보격의 율격을 가진 정형의 서정시다.
5. 시조의 전개과정과 주요작품
① 고려 말의 시조는 국가에 대한 충성, 기울어져가는 왕조에 대한 걱정과 한탄등을 주로 노래, 즉 늙음에 대한 한탄, 황음한 군주에 대한 걱정, 우국충절, 혼란한 정치에 대한 원망, 몰락해가는 고려 왕조에 대한 번민 등이 주요 내용
★우탁 : 춘산에 눈 노긴 람 건 듯 불고 간듸 업다....
: 한 손에 막듸 잡고 또 한손에 가승 쥐고...
주제:(늙어감을 한탄하는 탄로시), 출전:청구영언(靑丘永言)
★이존오 : 구름이 無心탄 말이 아마도 虛浪힝다.....
주제:(자연현상으로 당대현실을 풍자, 신돈의 탄핵과 관련), 출전;청구영언
★이색 : 白雪이 자진골에 구룸 머흐레라...
주제:(고려에 대한 곧은 절개), 출전:청구영언
★이조년 : 이화에 월백힝고 은한이 삼경인제.....
주제:(임금을 그리는 심정을 자연에 의탁하여 노래), 출전:청구영언
★최영 : 녹이상제 지게 먹여 시 ㅣ가물에 싯겨 고....
주제:(대장부의 호쾌한 기상), 출전:가곡원류
★이방원: 이런들 엇더힝며 저런들 엇더힝료...(하여가)
★정몽주: 이몸이 주거주거 일백변 고쳐주거...(단심가)
출전은 모두(청구영언), 최영은 제외(가곡원류)
② 조선 초기의 시조는 멸망해 버린 고려왕조를 그리워하는 안타까운 마음을 노래한 회고시조와 새롭게 건설된 왕조를 찬양하고 태평성대와 충성을 기원하고 강조하는 등의 정치적 사건과 관련이 있는 작품들이 많이 등장한다.
★원천석 : 흥망이 유수가니 만월대도 추초 ㅣ로다....(회고가), 출전:청구영언
★길재 :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도라드니...(회고가), 출전:청구영언
★정도전 : 성인교 나린 물이 자하동에 흐르르니...., 출전:화원악보
★변계량 : 내가 죠타 가고 남 슬흔 일 가지 말며...., 출전:청구영언
★맹사성 : 강호 사시가(江湖四時歌) : 강호에 봄(녀름,가을,겨월)이 드니.... 출전:해동가요
주제:(안빈낙도하는 은둔자의 한가로운 정취와 연군지정을 읊은 최초의 연시조),
★황희 : 대쵸볼 불근 골에 밤은 어이 쁠드르며.... 출전:청구영언
주제:(태평하고 안정된 세월에 한적한 생활을 즐기는 여유있는 모습),
★김종서 : 삭풍은 나모 긋티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듸....
: 장백산에 기를 곳고 두만강에 말을 싯겨...., 출전:청구영언
★이색 : 가마귀 검다 가고 백로 ㅣ야 웃지 마라..., 출전:청구영언
★박팽년 : 가마귀 눈비 마자 희난 듯 검노 매라....
: 금생여수 ㅣ라 한들 물마다 금이 남녀.... 출전:해동가요
★성삼문 :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 하노라....
: 이몸이 주거 가셔 무어시 될꼬 하니....., 출전:청구영언
★유응부 : 간밤의 부던 바람에 눈 서리 치단 말가...., 출전:청구영언
★이개 : 방안에 혓는 촛불 눌과 이별 하엿관듸...., 출전:청구영언
★원호 : 간밤의 우던 여흘 슬피 우러 지내여다...., 출전:청구영언
★월산대군 :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출전:청구영언
★성종 : 이시렴 브디 갈 까 아니 못할쏜냐....., 출전:해동가요
③ 조선중기 시조는 국가적으로는 안정됨과 동시에 당쟁이 치열했던 시대였기 때문에 이러한 양상들을 반영한 노래들이 나타난다. 館閣文學(관각문학)과 處士文學(처사문학) 또는 詞章派(사장파)와 士林派(사림파)가 대립되는 양상을 보이는 시기이다. 특히 이현보로 시작하는 영남가단(주세붕. 이황. 이숙량. 강익. 권호문)은 강호를 바탕으로 시세계를 펼쳤고, 송순으로 시작하는 호남가단(김인후. 유희춘. 김성원. 기대승. 고경명. 정철. 임제)은 자연과 벗하는 풍류정신을 유감없이 표현하였다.
* 영남가단 시조의 기풍 : 도학의 사상적인 것을 중시하여 세상에서 벗어나 강호에 노닐면서도 玩世不恭(완세불공)에 빠지지 않고 溫柔敦厚(온휴돈후)한 경지를 살려야 한다는 생각을 주된 내용
* 호남가단 시조의 기풍: 사상적인 면은 영남에 미약하나 규범화된 것을 배격하고 인간이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경지를 노래
★이현보 : 농암애 올아 보니 노안이 유명이로다....., 농암집
★서경덕 : 마음아 너는 어이 매양에 져멋난다.....,
: 마음이 어린 휘니 하난 일이 다 어리다...., 청구영언
★김구 : 여긔를 뎌긔 삼고 뎌긔를 예 삼고져....
: 올해 더은 다리 학긔 다리 되도록애......, 자암집
★송순 : 풍상이 섯거 친 날에 갓 픗온 황국화를...., 해동가요
★주세붕 : 지아비 받 갈나 간 대 밥고리 이고 가....., 무릉속집
★조식 : 삼동에 뵈옷 닙고 암혈에 눈비 마자...,
★이황 : 도산십이곡 : 전 6곡(언지), 후 6곡(언학)등 12수로 된 연시조
언지 : 이런들 엇더하며 뎌런들 엇더하료....,
연하로 지블삼고 풍월로 버들 사마...,
순풍이 죽다 하니 진실로 거즈마리....,
양란이 재곡하니 자연이 듣디 됴해.....,
산전에 유대하고 대하애 유수로다...,
춘풍에 화만산하고 추야애 월만대로다.....,
언학 : 천운대 도라드러 완악재 염려한 대....,
뇌정이 파산하야도 농자는 몬 듣나니.....,
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몬 뵈.....
상시예 녀든 길흘 몃 해를 바려 두고.....,
청산은 엇뎨하야 만고애 프르르며....,
우부도 알며 하거니 긔 아니 쉬운가......, 도산십이곡
★강익 : 시비에 개 즛난다 이 산촌에 그 뉘 오리...., 개암집
★권호문 : 말리 말리 하대 이 일 말기 어렵다....., 송암집
★성휘 : 말 업슨 청산이오 태 업슨 유수ㅣ로다...., 화원악보
★조헌 : 지당에 비 뿌리고 양류에 내 끼인 제......, 청구영언
★이이 :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수양산에 들어가 그 풍광을 노래한 10수로 된 연시조
서곡1수 : 고산구곡담을 살람이 몰으든이.....
1곡(관암) : 일곡은 어드매고 관암이 해 빗쵠다.....
2곡(화암) : 이곡은 어드매고 화암에 춘만커다.....
3곡(취병) : 삼곡은 어드매고 취병에 닙 퍼졌다.....
4곡(송애) : 사곡은 어드매고 송애에 해 넘거다.....
5곡(은병) : 오곡은 어드매고 은병이 보기 죠희.....
6곡(조형) : 육곡은 어드매고 조형에 물이 넙다.....
7곡(풍암) : 칠곡은 어드매고 풍암에 추색이 죵타.....
8곡(금탄) : 팔곡은 어드매고 금탄에 달이 밝다.....
9곡(문산) : 구곡은 어드매고 문산에 세막커다.....을 각각 노래함., 출전:해동가요
★정철 : 훈민가(訓民歌) : 삼강오륜을 바탕으로 民을 교육.계몽키 위해 지은 16수로 된 연시조
④ 조선중기에는 기녀들의 시조도 등장한다. 기녀시조는 양반사대부의 작품만 보아서는 인간의 진솔한 애정을 담을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던 시조에 소재의 확장을 통한 새로운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기녀시조가 가지는 시조문학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황진이 : 청산리 벽계수야..., 동지가달 기나긴 밤을...
: 네 언제 무신하여 ...., 어져 내일이야...., 출전 : 청구영언, : 청산은 내 뜻이오....., 출전 : 대동풍아
★소춘풍 : 당우를 어제본 듯..., 전언은 희지이라..., 제도 대국이오....., 해동가요
★계량 : 이화우 흣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청구영언
★한우 : 어이 얼어 잘이 므스 일 얼어 잘이....., 해동가요
⇒ 임제의 (북창이 맑다커늘 우장업씨 길을 난이...)에 대한 화답시조
★홍랑 : 묏버들 갈해 것거 보내노라 님이 손대....(최경창과 관련)
★명목 : 꿈에 뵈난 님이 신의 업다 하것마난....., 청구영언
★천금 : 산촌에 밤이 드니 먼댓 개 즈져 온다....., 화원악보
★궁녀 : 압 못세 든 고기들아 뉘라셔 너를 모라다가 넉커늘 든다... ., 화원악보
★실명씨 : 설월이 만창한듸 바람아 부지 마라....., 청구영언
⑤조선후기 시조는 작자층이 넓어지면서 사설시조라는 새로운 형태의 작품군이 등장
★신흠 : 노래 삼긴 사람 시름도 하도 할샤..., 곳지고 속닙 나니 시절도 변하거다...,
: 산촌에 눈이오니 돌길이 무쳐셰라......, 청구영언
★이순신 : 천년 가온 칼이..., 한산셤 달 발근 밤의 ....., 청구영언
★박인로 : 무정히 서난 바희..., 심산의 밤이드니...
★윤선도 : 구즌비 개단 말가...., 내 일 망녕된 줄 .....
: 어부사시조(漁父四時調) : 각계절에 따라 10수씩 40수로된 연시조
: 춘사 (春詞) : 압개예 안개 것고 뒬뫼회 해 비췬다 / 배떠라 배떠라.....
★이덕일 : 싸움에 시비만 하고 공도시비 아니는다....
★붕림대군 : 청석영 지나거냐 초하미 어듸매오.....
★김상헌 :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보쟈 한강수야.....
★홍서봉: 이별하던 날에 피눈물이 난지 만지.....
★이정환: 구중 달 발근 밤의..., 풍셜 석거친 날에....
⑥ 사설시조의 특징
ⅰ) 평시조의 3행시 형태를 살리면서도 초장과 종장에는 큰변화를 주지 않고 중장을 길게하여 작가의표현을 비교적 자유롭게 나타내고자 하였다.
ⅱ) 작품의 소재가 다양화 하면서 평시조가 가졌던 한정된 주제에서 벗어났다.
ⅲ) 작자층이 엄청나게 확대 되었다.(중심층은 서민층)
⑦ 17세기 중엽부터 출현한 전문가객의 활동
ⅰ) 시조 창법의 개발을 통한 시조음악 발달에 공헌
ⅱ) 전문가단을 만들어 후진양성에 힘을 기울임.
ⅲ) 가집의 편찬을 통한 시조의 보존
★허정 : 니영이 다 거두치니....
★김성기 : 홍진을 다 떨치고...
★김천택 : 전원에 나믄 흥가르 ..., 풍진네 얽?이여...,서검을 못 일우고....
★송계연월옹 : 거문고 타쟈 ?니....
★김수장 : 내사리 담박 힌중에 ...., 갓나희들이 여러층이 오레......
★박문욱 : 내게는 원수ㅣ가 ....., 듕과 승과..., 갈제난 옴아타니....
⑧ 그리고 조황과 이세보의 시조는 사대부 시조의 마지막 모습을 보여준다.
★박효관 : 님글인 상사몽이..., 서리타고 별 성기제....
★안민영 : 놉 푸락 나즈락하여..., 블근니마 아니런들...
: 비 바람 눈 셜이와 산 짐승 바다 물결....
★이세보 : 백셩을 알냐하면 아젼이 야속이요....
: 우후의 바라보니 샨마다 폭포로다....
: 칠월졀리 다다르니 소지 백활 가겨알왼다....
: 우리 생에 드러보소 샨의 올나 샨젼 파고...
제 8 장. 가사(歌辭)
1. 가사의 명칭과 개념
① 문헌상에 나타난 가사의 명칭을 보면 장가, 歌辭, 歌訶등을 들 수 있고 한글로는 가 가, 가 가, 가사 등으로 표기된다.
② 가사의 개념은 장르적 성격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견이 분분하지만 보통 3.4나 4.4의 음수를 이룬 구절이 한 행을 형성하여 100행 내외가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것이 가사라는 것이다.
③ 가사는 시조와 함께 조선조 시가문학의 주류를 형성했던 장르이다.
2. 가사의 기원과 발생시기
① 景幾體歌起源設(경기체가기원설) : 고려말에 유행하던 長型歌(장형가)들이 조선 초에 들어와서 갑자기 쇠퇴하면서 分章體(분장체)가 사라지면서 가사가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가사발생설로, 즉 고려의 경기체가 형태인 분장이 파괴되고 그것이 연속체로 되면서 가사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② 樂章體起源設(악장체기원설) : 월인천강지곡, 용비어천가 같은 악장의 분장형태가 파괴되면서 가사가 성립
③ 漢詩懸吐體起源設(한시현토체기원설) : 장시 한시를 현토하여 읽는 과정에서 가사가 발생했다는 것
④ 時調起源設(한시기원설) : 시조의 초.중.장을 연속하면 가사가 만들어 진다는 주장
⑤ 敎述民謠起源設(교술민요기원설) : 여음이 없이 불려지는 긴 노래 형식의 교술 민요에서 발생했을 것이다.
⑥ 신라말엽 발생설: 『산화가』이후 서왕가, 승원가, 낙도가등으로 발전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⑦ 고려말엽 발생설: 고려말 나옹화상의 『서왕가』를 가사의 효시 작품으로 인정한다는 주장
⑧ 조선초엽 발생설: 정극인의 『상춘곡』을 가사의 효시작품이라는 주장을 근거로 제시
⑨ 조선중엽 발생설: 가사가 온전한 모습으로 확립한 시기는 16세기 전반으로 잡아야 함.
3. 가사의 장르적 성격
① 시가 문학으로 규정하여 서정장르로 보는 견해
② 산문장르의 하나인 수필로 보는 견해
③ 제 4의 장르라 하는 교술 장르
④ 복합장르 및 독립장르
4. 가사의 변모양상
① 조선 전기의 가사
ⅰ)작가 : 전.현직 양반관료층(정극인, 이인형, 조위, 백광홍, 허강, 조식, 이황, 이이, 이서, 정철, 이현, 차천노 등)
: 호남지역에 몰려있어 서로 영향을 받았다.(정극인『상춘곡』은 송순의『면앙정가』에, 『면앙정가』는 송강의『성산별곡』에, 백광홍의『관서별곡』은 송강의『관동별곡』에 각각 영향을 주었다.
: 조선 전기의 유일한 여성작가: 허난설헌(규원가, 봉선화가)
ⅱ) 형식과 율격 : 음수율에서는 3.4조, 4.4.조가 많이 쓰이는데, 앞이 가볍고 뒤가 무거운 변화의 리듬이라고 할 수 있는 3.4조가
: 음보는 1행 4음보를 원칙으로 한다.
: 가사길이는 100행 내외로 후기때보다 짧다.
: 마지막행을 시조의 종장과 같이 끝맺는 결사의 형태가 보인다.
ⅲ) 주제 : 산수자연에서 노닐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자신을 수양하는 강호한정이 주제의 중심을 이루며, 유배, 은일, 충신연군, 교훈 등도 조선 전기 가사의 주제를 이룬다.
② 조선후기의 가사
ⅰ) 작가 : 작가층의 엄청난 확대 (사대부, 서민층, 무명씨, 승려와 귀화인, 여성작가)
: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여성작가 대거 출현(내방가사)
ⅱ) 형식과 율격 : 4.4조가 중심(장-장의 수평리듬)
: 서두에 산문적인 사설을 넣는다.
: 수백행, 수천행의 가사가 등장(한양가,일동장유가), 짧아지는 현상도 나타난 다.
ⅲ) 주제와 소재 : 전쟁가사(태평사, 용사령, 봉산곡), 타락한 정치와 사회비판, 실사구시의 학문인 실학을 강조, 애정가사, 종교가사(종교적인 이념을 포교할 목적) 등
5. 주요 작품내용
① 江湖歌辭(강호가사) : 양반 사대부들에 의해 지어진 것으로 시골에서 자연을 벗하여 한가롭게 삶을 살아가는 모습과 정서를 노래한 작품들로 주제별로 볼 때, 전원에서 한가로운 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정서를 노래한 것과 곤궁하게 살면서도 천도를 지키겠다는 안빈낙도의 정신을 노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ⅰ) 정극인: 상춘곡: 홍진에 뭇친분네 이내생애 엇더?고....
ⅱ) 차천노: 강촌별곡: 평생아재 쓸데업셔 세상공명 하직?고 ....
ⅲ) 박인노: 누항사: 누항 깁푼곳의 초막을 지어두고....
ⅳ) 조우인: 매호별곡: ?食 수음도 이우나 못이우나...
환산별곡, 강호별곡, 성산별곡, 강호정가, 강촌만조가, 사제곡, 락민가, 창랑가, 봉선곡, 일민가, 낙은별곡, 연정사, 하명동가, 녕삼별곡, 초당가, 은사가, 백구사, 처사가, 노계가, 낙빈가, 목동가, 목동문답가, 악지가, 안빈낙도가
② 戀君歌辭(연군가사) : 정철:사미인곡,
:속미인곡:님다히 쇼식을 아므려나 아쟈흐니...
조위:만분가,자도사,북관곡,북천가,죽창곡, 청년회심곡,사군은가,홍나가
③ 紀行歌辭(기행가사) : 백광홍: 관서별곡: 관서 명승지예 왕명으로 보?실?....
:송강: 관동별곡:개심대 고텨올나중향성 ?라보며....
:김인겸: 일동장유가: ?신? 올흔편의 수십예 안자시?...
:홍순학: 연행가: 장춘사가 어디메냐 그리로 향하여가자...
금강별곡, 출한곡, 행산록, 금당별곡, 기산별곡, 서정별곡, 북정가, 팔 역가, 부여노정기, 북행가
④ 敎訓歌辭(교훈가사) : 이황: 근의지로사: 인의로 길을 삼고 오륜으로 집을 삼아.....
: 작자미상: 도덕가: 주공의 도덕 됴흔터올 가리혀나의...
금보가, 상저가, 자경별곡, 삼강오륜자경곡, 길몽가, 격몽가, 격세설, 랑유사, 심진곡, 낭호신사, 안택가, 천군복위가, 오륜가, 경세가,우부가, 효자가, 사친가, 사제가, 사향곡, 유실경계사,계녀가, 계아가, 규중행실가, 용부가, 훈계가, 귀녀가, 홍규근장가, 단장인단표회곡
⑤ 風俗歌辭(풍속가사) : 정학규의 作: 사월이라맹하되니 입하소만 절기로다....
: 작자미상: 농부가: 사해창생 농부들아 일생신고 한치마라....
: 이이: 전원사시가 : 웃논에 조도갈고 아랫논에 만도부쳐...
농가월령가, 초부가, 귀농가
⑥ 愛情歌辭(애정가사) : 민우룡: 금루사: 깁흔사랑 고은 태도 비?? 전혀업다.....
: 사랑가: 요소한 고운양자 눈앞에 삼삼하고....
: 허초희: 규원가: 삼삼오오 치여원의 새사람이 나닷말가...
농서별곡, 사미인곡, 단장사, 규수상사곡, 상사진정몽가, 상사회답가, 고상사별곡, 양진회답가, 사모곡, 감모곡, 12월가, 추풍감별곡, 상사별곡, 권등가, 춘민곡, 황계사, 석춘사, 과부가. 한별곡
⑦宗敎歌辭(종교가사) : 나옹화상: 서왕가: 선지석을 친견하야 이 마음을 발키리라....
: 휴정: 회심곡:선심하마 발원하고 진세간에 나가더니...
불교가사: 서왕가, 심우가, 낙도가, 승원가, 귀산곡, 청학동가, 태평곡, 회심곡, 승가사, 우답 가,승녀답가
천도교가사: 교훈가, 안심가,최재우(용담사), 몽중노소문답가, 도수사, 근학가, 도덕가, 흥북가, 몽중간답가, 무하사
천주교가사: 십계명가, 천주공경가, 사향가, 삼세대의, 션죵자, 성당가, 벽악수선가, 자신책가, 충효가
⑧ 敍景歌辭(서경가사) : 조성신: 개암가: 원근 산천을 일안에 구버보니....
: 사시풍경가: 동군이 유정하여 춘풍이 和暢하니...
천풍가, 월선헌16경가, 백상누별곡, 희설가, 완산가, 향산별곡, 향산가, 합강정선여가, 선루별곡, 울도선경가, 악양루가, 소상8경가, 자운가
제 9 장. 잡가(雜歌)
1. 국악계 쪽에서 사용하는 잡가 개념
① 12잡가를 가리킨다. ② 지역적 특성을 가진 노래다.
③ 사설시조를 말한다. ④ 평시조도 잡가다.
2. 문학 쪽에서 논의된 잡가개념
① 가사의 하위장르이다. ② 광대나 서민들에 의해서 조선후기에 새로 만든 시가다.
③ 현재의 유행가와 같다.(19세기 놀이 공간에서 불려진 여러 형태의 노래) ④ 문학적 유형에 대한 명칭이 될 수 없다.
3. 잡가의 전반적 성격
① 구비문학이다. ② 서정장르에 속한다.
③ 남녀사랑. 인생무상에 대한 것이 중심내용(현세적이고 유락적이다.)
④ 수용층은 주로 서민층이하 천민층이었고 양반도 참여하였다.
4. 잡가의 분류
① 敍述體雜歌(서술체잡가) : 비교적 일관된 내용아래 노래되는 것으로 가사의 서정적인 부분을 수용. : 만고강산, 죽장망혜, 태평성대, 영산가, 초한가, 화류사, 자진중처리
② 分節體雜歌(분절체잡가) : 여러 개의 분절로 이루어진 것으로 민요를 수용하여 이루어진 것 : 몽금포타령, 선유가, 수심가, 긴난봉가, 아리랑타령, 성주풀이, 길군악, 매화가
③ 描寫體雜歌(묘사체잡가) : 어떤 사물. 현상들을 계속해서 열거하는 방식으로 타령이란 명칭이 붙는다. : 곰보타령, 맹꽁이타령, 바위타령, 만학천봉
④ 對話體雜歌(대화체잡가) : 주로 판소리의 일부를 수용해서 부른 잡가 : 사랑가, 소춘향가, 십장가, 적벽가, 평장가, 제비가, 토끼화상, 공명가
5. 잡가의 전개과정과 주요 작품
① 조선 후기에 진행된 잡가의 문학사적 기능은 상층의 시가양식과 하층의 시가양식이 서로 만나는 자리를 마련하였으며, 전통적 시가양식을 근대지향적인 시가양식으로 바꾸는데 일정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
제 10 장. 민요(民謠)
1. 민요의 발생과 개념
① 祭儀起源設(제의기원설) : 인간의 祭儀(제의)가 아주 오래된 옛날부터 있어 왔으며, 제사를 지내는 과정에서 노래를 부르게 되는데, 이것이 민요의 시발점이라는 설이다.
② 遊戱起源設(유희기원설) : 인간이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흥을 돋우기 위하여 노래를 불렀울 것이며, 이때 불려진 노래가 민요의 시작이라는 설.
③ 勞動起源設(노동기원설) : 인간에게 있어서 무엇이 가장 먼저였으며, 무엇이 가장 중요한 것이었을 것인가를 판단의 기준으로 볼 때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보이는 민요 발생설이다.
2.. 민요의 성격
① 민요는 민중의 노래다.
② 민요는 공동체의 구성원이기만 하면 누구나 부를 수 있는 비전문적인 노래다.(전문성을 요하는 무가와는 구별된다.)
③ 민요는 입에서 입으로 구비 전승된다.(기록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④ 민중의 삶을 사실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노동의 즐거움, 삶의 즐거움, 남녀의 사랑이 중심 내용이고 여성인 경우 시집살이 어려움도 나타난다.
3. 민요의 분류
① 일상의 민요- 노동요- 가사노동요- 단장체민요:시집살이노래,바느질,물레,베틀노래
연장체민요:방아,맷돌,풀무,애기보는노래
사회노동요- 단장체민요:등짐,새쫓기,밭가
연장체민요:모심기,보리타작,논매기,목도노래
여가요- 개인여가요- 단장체민요:숫장타령,꼬리따기.강실도령노래
연장체민요:달걸이노래,둥당애.어랑타령
집단여가요- 단장체민요:놋다리,집짓기. 어깨동무,군사노래
② 비일상민요- 의식요- 신앙의식요- 단장체민요:회심고,성주풀이,고사노래
연장체민요:염불,지신밟기,액맥이노래
통과의식요- 단장체민요:회갑연,혼인노래
연장체민요:상여노래,희닫이노래
정치요- 예언정치요: 보현찰,아야,우대후,완산노래
비판정치요: 묵책요,호목,도근천노래
4. 민요의 기능
①행동 통일기능(노동요와 의식요) ②정화기능 ③진행기능(노동요와 의식요) ④예언기능(정치요) ⑤비판기능(정치요) ⑥주술기능(노동요와 신앙의식요)
출처:연신스타디 ▶작성자: 하늘바다(강석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