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부종목 |
변경 전 |
변경 후 |
10m 공기소총(남) |
1시간45분(105분) |
1시간 15분(75분) |
10m 공기소총(여) |
1시간15분(75분) |
50분 |
50m 소총3자세(남) |
3시간 15분 |
2시간 45분 |
50m 소총3자세(여) |
2시간15분(135분) |
1시간 45분(105분) |
50m 소총 복사 |
1시간15분(75분) |
50분 |
* 전자표적 및 종이표적 경기시간 동일 적용
■ 권총 기술규칙
o 25m 부표적(Backing target) 및 통제지(Control sheet) 교환 : 시사 및 경기 15발 종료 후 (종전 5발 후) 부표적 및 통제지 교환해야 함.
o 진동(반동) 감소 시스템 : 권총의 내부 또는 표면에 격발전, 반동을 감소하는 시스템 설치 금지
o 방아쇠 압력 측정 : 측정추의 끝은 뾰족한 금속 또는 고무 재질만 사용이 가능함.
끝이 원형인 측정추의 사용은 금지함.
o 속사권총 탄속 검사 : 실탄의 중량은 2.53g 이상, 총구 기준 탄의 평균속도는 250.0m/sec 이상이 되야 한다. 최초 3발의 평균 측정값 250.0m/sec 이상이 되야 하며, 불합격시 다시 3발 측정하여 총 6발 평균값이 250.0m/sec 이상이 되어야한다.
o 정상적인 걷기 검사 : 신발창이 유연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선수들은 경기일의 모든 시간에 정상적으로 걸을 수 있어야 함.
규정 반복 위반시 2점 감점, 심지어 실격 처리될 수 있음.
o 본선 경기시간 조정 : 본선경기시간이 아래와 같이 조정됨. 시사는 별도의 준비 시간이 주어짐.
종 목 |
변경 전 |
변경 후 |
10m 공기권총(남) |
1시간 45분(105분) |
1시간 15분 (75분) |
10m 공기권총(여) |
1시간15분 (75분) |
50분 |
50m 권총(남) |
2시간 (120분) |
1시간 30분 (90분) |
* 전자표적 및 종이표적 경기시간 동일 적용
■ 클레이 기술규칙
o 스키트 표적 방출거리 : 스키트 표적 방출거리가 2.00m 늘어남.
종전 66.00m(+/1.00m)에서 68.00mm(+1.00m)로 변경
o 눈 보호개 : 경기장에서 스키트 종목 선수 및 임원은 눈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함.
o 지도(코우칭) : 클레이 종목 경기 중에서 말을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지도(코우칭)행위 허용
o 도금 실탄 : 환경문제로 인해 도금된 실탄은 2014년 1월부로 금지됨.
o 측면 눈가리개 : 안전문제를 위하여, 클레이 종목에서 최대 60mm 면적의 측면 눈가리개의 사용이 가능함.
■ 신 결선 규칙 (New Finals Rule]
o 사격 결선방식 변경 배경
-현재 모든 올림픽 종목들이 좀 더 다이나믹하고 팬들의 흥미를 유발하 며 관중, 텔레 비전 및 미디어에 부합토록 변화하고 있는 추세임.
-현재의 사격 결선은 1986년에 도입된 방식으로 26년간의 경험을 통하여 더 큰 발전 가능성을 보였음.
-지난 3년동안 새로운 결선규정에 대한 많은 의견들이 제안되었으며, 또 ISSF 각 분과 위원회, 기술위원회, 선수위원회 및 코치위원회의 심의 및 의견수렴을 통하여 수차례 테스트를 거침. 그 중 최선의 방안이 현재의 신 결선규칙으로 채택됨.
-ISSF의 테스트를 비롯 텔레비전 및 미디어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한 결과, 가장 최 선의 방식은 결선에 진출한 모든 선수들이 제로(0)에서 시작(본선 점수 미반영), 메달을 2인 경쟁방식으로 진행해 관중들의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
-2011년 속사권총 결선방식을 결선진출자들이 제로(0)에서 시작, 명중-실중(hit-miss) 제도로 변경해 보다 흥미를 이끌며 성공적으로 정착되었음. 이러한 속사권총 결선 방식 도입의 성공이 2013 결선 변경의 롤모델로 작용함.
■ 신 결선 주요원칙 [Principles of the new Finals]
o 본선 : 본선의 격발 과정 및 규칙은 종전과 동일함.
본선 실시의 목적은 8명(25m 속사권총 및 클레이는 6명 존속)의 결선 진출자를 결정하는데 있음.
o 제로(Zero)에서 시작 : 본선 점수는 더 이상 결선에 반영되지 않으며 모든 선수가 제로(0) 상태로 동일하게 결선을 시작함. 대부분의 스포츠 종목이 결선은 처음부터 새로 실시하는 경기로 진행됨. 사격 종목은 왜 본선 점수의 이점을 결선에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에 대해 설명을 하는데 오랜 애로사항이 있어 왔음.
o 결선 격발수 추가 : 새로운 결선 규정은 제로(Zero)포인트에서 시작하는 관계로 보다 진정한 실력 검증 및 반영을 위해 결선 실시 발수를 늘리기로 결정함.
o 최저등위자 탈락 : 첫 시리즈 종료후, 최저등위자는 최종 2명이 남아 금메달 결정을 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탈락하는 방식으로 진행
o 종목별 진행방식 다양화 : 모든 사격종목이 동일한 결선 포맷을 사용하지는 않음.
25m권총 종목은 명중-실중(hit-miss) 방식을, 10m/50m 소총 및 권총 종목은 10점원 (10.9만점) 점수제를 사용함. 클레이와 25m 여자 권총 결선은 8강과 4강 제도를 활용, 동메달 결정전과 금메달 결정전을 시행하고, 다른 종목은 시리즈별 탈락을 통해 금메달을 최종 확정함. 25m 권총 여자 경기는 점수제(포인트 시스템)을 도입, 우승자를 가림.
■ 신 결선 진행방식 [Competition Formats for the New Finals]
o 결선은 새로운 Bib 넘버(백넘버) 부착
o 지도(코우칭) 금지
o 10m 공기권총 및 소총(남/여), 50m 소총복사(남), 50m 권총(남)
-8명이 결선에 진출하며 동시에 사격을 시작
-결선 시, 금메달 확정시까지 총20발(2시리즈*3발 + 14발) 사격
-2시리즈 각3발(시리즈당 제한시간 150초, 단 50m 소총복사는 100초) 총6발을 사격후, 이후로 총14발을 단발(발당 50초, 50m 소총복사는 30초)로 사격하여 각 2발당(8발/10발 /12발/14발/16발/18발 종료 후) 결과(첫발부터 합산기록)에 따라 1명씩 최하등위자 탈락. 18발 격발 후, 최종적으로 남은 2명이 2발을 더 격발 후 금․은메달 결정
※ 최저등위 선수는 권총 및 소총에 약실을 개방하여 벤치에 올려놓은 후 본인의 사대에서 물러나야 하며, 이때 사선통제관은 격발장치가 개방되어 있고 안전기가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함.
o 50m 소총3자세(남/여)
-슬사-복사-입사 순으로 진행
-8명이 결선에 진출, 동시에 시작
-결선 시, 금메달 확정시까지 총45발 사격
(슬사 및 복사 각3시리즈*5발) + (입사 2시리즈*5발) + (단발 5발)
-슬사 3시리즈 각5발(시리즈당 제한시간 200초) 사격 후 자세전환 준비 및 시사(7분)
복사 3시리즈 각5발(시리즈당 제한시간 150초) 사격 후 자세전환 준비 및 시사(9분)
입사 2시리즈 각5발(시리즈당 제한시간 250초) 사격
(총40발 사격후 40발 합산점수가 최저인 2명이 7, 8위로 확정)
입사 단발 5발 (1발마다 합산점수 최하등위로 처리)
(41발후 6위, 42발후 5위, 43발후 4위, 44발후 3위-동메달, 45발후 금,은메달 확정)
※ 최저등위 선수는 권총 및 소총에 약실을 개방하여 벤치에 올려놓은 후 본인의 사대에서 물러나야 하며, 이때 사선통제관은 격발장치가 개방되어 있고 안전기가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함.
o 25m 속사권총(남) : 2011-2012 규칙과 운영과 동일
-거총 동작 위반시
*총을 일찍 올리거나 늦게 내리면 2점 감점(녹색카드) ※결선에서는 경고없음.
*2차 위반시 실격(적색 카드) ※2명의 쥬리가 적색기를 보임
o 25m 권총(여)
-본선 종료후 결선 진출대상자(8명)중 동점자가 있을 경우 경사(슛오프)로 동점 분류
-25m 결선에서는 점수에 대한 항의를 할 수 없음.
-결선은 두개의 스테이지, 예선 및 대결 스테이지로 구성됨.
-모든 기록은 명중-실중(hit-miss)으로 처리함. 10.3점 이상일 경우 명중(hit) 처리함.
-결선 진출자 8명이 동시에 준결승(Semi-final) 경기(5발 속사 시리즈)를 시리즈별로
사격하며 기록을 누계 처리함.
-메달 메치에서 3,4위가 동메달 결정전을, 1,2위가 금메달 결정전을 펼치게 됨.
-동메달 결정전 후에 금메달 결정전을 시행함. 진행방식은 포인트 시스템으로 각5발로 구성된 각시리즈에서 명중(히트)가 가장 많은 선수가 2점을 얻고, 동점일 경우는 1점을 각각 획득함. 7점을 먼저 획득해야 결정전의 승자가 될 수 있음. 같은 시리즈에서 두선수가 7점을 얻은 경우 동점분류될 때까지 추가 시리즈 사격
-2조(조별 5개 전자표적)로 운영해야 함
-준결승: 각조에 선수 4명을 1-2-4-5 및 6-7-9-10 순서로 사대 할당.
-준결승 및 결승(메달 메치)에서 본선점수 순으로 왼쪽부터 사대 배정.
o 트랩 및 더블트랩 : 6명이 결선에 진출하며, 각 3명씩 2개조로 나누어 진행.
각 경기시리즈(8강, 4강, 메달결정전)는 15 싱글표적(더블트랩은 15 더블 표적)으로 2,3,4사대에 균등한 표적 방출 루트(우측2, 중앙1, 좌측2)를 통하여 진행.
조별 1,2위가 4강(준결승)에 진출함. 준결승 후 3,4위는 동메달결정전으로, 1,2위는 금, 은메달 결정전으로 진출, 경기를 실시함.
o 스키트 : 6명이 결선에 진출하며, 각 3명씩 2개조로 나누어 진행.
각 경기 시리즈(8강,4강, 메달 결정전)는 1개의 정상더블과 1개의 역 더블로 구성되며 3,4,5번 사대 및 4번사대(사대별 4표적)에서 사격, 총16표적이 방출됨. 조별 1,2위가 4강(준결승)에 진출함. 준결승 후 3,4위는 동메달결정전으로 1,2위는 금,은메달 결정전으로 진출, 경기를 실시함.
o 트랩 및 더블트랩 결선 진행 절차
본선 상위 6명이 결선에 진출하며 결선은 준결승 1경기와(Semifinal) 및 메달매치(Medal Match) 2경기로 구성됨.
모든 스테이지는 본선 점수 또는 전단계의 점수를 반영하지 않고 제로 베이스(0점)로 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준결승 전 6명의 결선 진출 선수들에게 본선 순위 순서대로 신규 BIB 번호를 부여하며, (1등-6번, 2등-5번..순)
낮은 숫자의 BIB의 선수가 항상 먼저 사격을 실시하게 됨.
준결승 조는 선수 6명, 쥬리1명, 레프리 1명으로 구성됨.
준결승에서 5-6등이 탈락하게되고 3-4등은 동메달결정전으로 1-2등 금메달결정전으로 진출하여 경기를 실시함.
o 준결승 및 메달 매치 적용 테이블 표
종 목 |
사 대 |
총 표적 수 |
방 출 |
트 랩 |
2,3,4 |
15/ 랜덤방출 |
2x우측 2x좌측 1x중앙 |
더블트랩 |
2.3.4 |
30 (15 더블) /랜덤 방출 |
2xA세팅 2xB세팅 1xC세팅 |
스키트 |
3,4,5,4 |
16 (8 더블) |
각사대별 1x 정상,1x 역더블로 구성 |
예상소요시간 : 준결승은 15-20분, 메달매치는 10-12분으로 총 결선을 실시하는데 45-54분 소요 예상
o 클레이 기술규칙 주요 변경사항
9.2.7 모든 선수 및 레프리, 임원은 비산방지의 사격 안경 또는 유사한 눈 보호장비 착용이 요구됨.
9.4.1 장비검사 : 지정된 장비검사 시간에 장비검사를 완료해야하며 시간을 어길시, 1점의 페널티가 적용됨.
9.4.2.1 총기의 유형 : 반자동을 포함, 12게이지 구경을 초과하지 않는 모든 유형의 산탄총(단, 펌프연사식은 제외)을 사용할 수 있음. 12게이지보다 작은 구경의 산탄총은 사용가능함.
9.6.1 클레이 종목
종 목 |
표적 수 | |
남자부 |
여자부 | |
트랩(라운드별 25발) |
125+결선 |
75+결선 |
더블트랩(라운드별 30발) |
150+결선 |
120 |
스키트 |
125+결선 |
75+결선 |
9.12.1 선수 복장
발끝이 터있거나 뒤꿈치가 터있는 신발, 샌달 및 기타 유사한 신발류의 착용은 불허함.
9.12.4 측면가리개
모자, 사격안경 또는 머리띠 등에 부착하는 측면가리개는 폭이 60mm 이내면 허용된다. 가리개가 이마 중심선 앞으로 나가면 안됨.
9.15.4.3 결선에서의 경사
결선에서의 경사는 결선 동점분류 규칙 9.17.2.7에 의거하여 진행됨.
9.15.4.4 경사에서의 선수 준비 시간
레프리가 "START" 구령을 한후, 또는 전선수가 정상 표적을 격발한 후에 15초 안에 선수는 자세를 취하고 총을 장전한 후 표적 방출을 요청하는 행위를 마쳐야 한다. 규칙 위반시에는 페널티가 적용됨.
9.15.5.3 불참 선수를 위한 추가 라운드
선수는 수석레프리가 정한 시간과 사선에서 추가 라운드를 사격할 수 있으며 추가 라운드의 첫 세 개의 표적 명중에 대해 3점의 감점이 부여됨.
9.16.9.2 항의 시간
서면항의는 문제시 된 사안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20분 이내에 제출되어야 하며 항의 비용을 지불해야 함.
9.16.10.2 소청시간 제한
쥬리의 결정이 발표 된 후 20분 이내에게 소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소청 비용을 지불해야 함.
6.12.5.2 클레이 종목에서 말(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도(코칭) 행위가 허용 됨.
트랩 경기규칙 주요 변경사항
9.7.2 선수는 사대 이동시 모든 총기를 개방된 장전되지 않은 상태로 두고 이동해야 함. 장전된 총기로 사대간 이동 첫 적발시, 경고(옐로카드)를 주고, 동일한 라운드에서 재위반시에는 실격 처리됨.
9.7.3 준비시간 제한
레프리가 사격개시 "start"를 구령한 후, 또는 전번선수가 정상 표적을 사격 그 결과가 등록된 후에 해당 선수는 자세를 취하고, 총기를 장전, 방출을 요청하는 행위를 12초 안에 마쳐야함. 조가 선수 5명 또는 그 이하로 구성된 경우, 선수가 5번사대를 떠난 후 1번사대에 도착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확보를 위해 준비시간을 연장함.
9.7.5.3 표적 제한 : 10m 지점의 고도 : 1.5m ~ 3.0m 범위 및 오차± 0.15m
더블트랩 경기 규칙 주요 변경 사항
9.8.2 방법
첫 선수가 사격 준비자세일 경우 어깨에 총을 올리고 "PULL", "LOS", "GO" 구령을 명확히 외치거나, 다른 신호를 보내면 그 후 즉시 더블 표적을 방출하여야 함.
9.8.3 준비시간 제한
레프리가 사격개시"start"를 구령한 후, 또는 전번선수가 정상 표적을 사격, 결과가 등록된 후 해당 선수는 자세를 취하고, 총기를 장전, 방출을 요청하는 행위를 12초 안에 마쳐야 함. 조가 선수 5명 또는 그 이하로 구성된 경우, 선수가 5번 사대를 떠난 1번사대로 도착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확보를 위해 준비시간을 연장함.
9.8.5 표적거리, 각도 및 고도
더블트랩 세팅표
트랩 기계 7,8 및 8,9사이의 각은 5℃를 초과할 수 없으며, 트랩 기계 7과 9번간에는 10℃를 초과할 수 없다. 이 각도들은 초과하면 안됨.
표적방출은 랜덤으로 이루어지되, 각 선수에게 각 사대에서 한개의 세팅 “A" , 한개의 세팅 "B", 한개의 세팅 ”C"를 각라운드 별로 방출되어야 함.
9.8.6.1 시험 표적
각 경기일에 트랩이 조정되고 쥬리의 확인이 끝난 후, 각 라운드 시작 전 한개의 시험 정상 더블 표적을 세팅 “A", 세팅"B", 세팅”C"로 각 한발씩 방출함.
9.8.8.5 그라운드로 사격한 행위
그라운드(땅)으로 사격을 한 경우, 첫 번째는 경고(옐로카드)를 받고, 동일한 라운드에서 반복시, 두 표적은 모두 명중여부에 관계 없이 실중(LOST) 처리함.
스키트 경기규칙 변경사항
사 대 |
표 적 |
순 서 |
1 |
싱글 |
고 |
더블 |
고-저 | |
2 |
싱글 |
고 |
더블 |
고-저 | |
3 |
싱글 |
고 |
더블 |
고-저 | |
4 |
싱글 |
고 |
싱글 |
저 | |
5 |
싱글 |
저 |
더블 |
저-고 | |
6 |
싱글 |
저 |
더블 |
저-고 | |
7 |
더블 |
저-고 |
4 |
더블 |
고-저 |
더블 |
저-고 | |
8 |
싱글 |
고 |
싱글 |
저 |
9.9.3 시간 제한
9.9.3.2 추가적인 싱글 및 더블 표적을 같은 사대에서 사격해야 할 경우 최대한 빠른 진행이 요구되며, 첫 번째 발과 다음 표적의 방출 구령사이의 시간이 12초를 초과해서는 안됨.
9.9.3.8 사선에서의 시사
닫았으나 실탄을 장전하지 않은 총기로 조준 연습을 하는 행위는 레프리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 한하여 1번사대에서만 허용됨.
선수가 라운드 시작 전에 어떠한 사대로도 넘어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
레프리의 사격개시 지시 후, 표적 방출 요청 이전에 1번 사대에 한해 선수는 어깨에 총을 올리고 몇초간 싱글 및 더블표적 모두 시사를 할 수 있음.
9.9.3.1.2.1 ISSF 공식 마커 테이프는 :
길이 250mm, 폭 30mm 규격의 노란색 바탕에 검정 테두리가 있으며 ISSF 로고가 새겨져 있어야 함.
9.9.3.12.2 마커테이프 검사
경기전 훈련(PET)에 쥬리는 모든 선수의 공식 마커테이프의 위치 확인 검사를 실시함.
이것은 일회성의 검사로 마커테이프 검사 통과시 ISSF 씰(seal)을 조끼에 영구적으로
부착하게 됨. 쥬리들은 지속적으로 조끼의 씰을 관찰하게 되고, 조끼 또는 마커테이프 위치에 변경 사항이 적발시, 3점 감점함.
6.4.21.2 스키트 표적 거리 및 고도
바람 없는 날에 1번 및 7번 사대 뒤 하우스 전면에서 측정하였을 때 표적은 최소 68.00m ± 1.00m를 비행해야 함.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쥬리가 표적궤도를 결정함.
9.9.3.14.4 격발 순서 위반
선수의 부주의로 격발순서를 어긴 경우, 격발 결과는 기록되며 선수는 공식 경고(옐로카드)를 받게 됨.
동일한 라운드에서 재위반시 해당발은 실중 처리되며 쥬리의 의견에 따름. 선수는 실격 처리될 수 있음.(적색카드)
■ 국내 미적용 규정
▣ 기술규칙(공통사항)
o 안전기(旗)(Safety flag): 모든 총기(소총, 권총 및 반자동 엽총)은 안전상의 사유로, 경기 중 실탄사격(시사 포함)할 경우는 제외하고, 실탄 장전없이 격발장치가 개방되어 있음을 확인토록 안전기의 사용(총열에 삽입)을 의무화함. ISSF 주관대회에 사용될 안전기의 필요조건은 추후 공지 예정.
[1년 유보]
o 항의 비용은 50유로이고 소청 비용은 100유로임.
[현행항의 및 소총비용 유지 / (항의 3만원, 소청 5만원) 2005년 기술규칙 유지]
o 10m, 25m, 50m 및 300m 종목 최하등위의 동점분류 : 소총 및 권총경기에서 결선참가 최하등위의 동점분류는 내10점수, 시리즈별 역산, 점수별(발) 역산 순으로 고려.
본선 경기후 결선참가자를 정하기 위한 경사(Shoot-off)는 더 이상 실시하지 않음
[현행 동점분류 유지 / 2005년 기술규칙 유지]
▣ 소총 기술규칙
o 신발창(신창) 유연성 검사 : 신발창 유연성 검사 요건은 관련 규칙에 따라 적용. 기술 위원회에서 검사기를 승인해야 함.
[1년 유보]
o 장비검사카드 교환 : 많은 카드 교환요청에 따른 장비검사의 지연을 줄이기 위한 방안 으로 장비검사카드 교환시, 건당 10유로 납부 의무화
[현행유지 / 교환시 납부금 없음]
o 사격복 재검사 : 1차 장비복장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사격복을 재검할 경우 20유로 납부 의무화 [현행유지 / 재검시 납부금 없음]
o 사격화창 유연성 : 별도의 사격화를 착용한 경우, 부츠나 신발을 측정기에 조인 상태에서 15 뉴튼 미터로 힐(뒤꿈치) 부위에 작용했을 때 사격화 밑창이 최소 22.5도는 구부러져야 함.
[1년 유보]
o 신발창 등고선(외곽선) : 신발창은 그 신발의 외형적 만곡을 따라야 하고 어느 부위이든 신발의 외형적 수치보다 5mm를 초과하면 안됨. 발가락 연장물 또는 힐(뒤꿈치)을 원형 이나 편평하게 잘라내는 것을 금함.
[1년 유보]
▣ 권총 기술규칙
o 사격화창 유연성 : 별도의 사격화를 착용한 경우, 부츠나 신발을 측정기에 조인 상태에서 15 뉴튼 미터로 힐(뒤꿈치) 부위에 작용했을 때 사격화 밑창이 최소 22.5도는 구부러져야 함.
[1년 유보]
▣ 러닝타겟 기술규칙
o 메달 매치 점수제 : 6점 또는 2점 이상의 점수차를 기록해야 승리
[기존 매달매치 잠정규정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