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2편 원시인의 초기 혈통
2. 시조 포유류 (The Dawn Mammals)
62:2.1 일백만 년보다 조금 더 이전에, 메소포타미아 시조 포유류들인, 태반을 가진 북아메리카 여우원숭이 종류의 직계 후손이 갑자기 나타났다. 그들은 활동적이고 90cm 정도로 키가 작았다; 뒷다리를 사용하여 습관적으로 걷지는 않았지만, 쉽게 똑바로 설 수 있었다. 그들은 털이 많고, 재빠르고, 원숭이가 하는 것처럼 재잘거렸지만, 원숭이 족들과 달리 고기를 먹었다. 상당히 쓸모 있는 움켜쥐는 엄지발가락뿐 아니라, 마주 볼 수 있는 원시의 엄지손가락을 가졌다. 이 시점 이후로, 인간 이전의 종들은 마주 볼 수 있는 엄지손가락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고, 한편 엄지발가락의 움켜쥐는 힘을 차츰 잃어버렸다. 후일의 원숭이 족들은 움켜쥐는 엄지발가락을 간직했지만, 결코 인간 종류의 엄지손가락을 개발하지 못했다.
62:2.1 A little more than one million years ago the Mesopotamian dawn mammals, the direct descendants of the North American lemur type of placental mammal, suddenly appeared. They were active little creatures, almost three feet tall; and while they did not habitually walk on their hind legs, they could easily stand erect. They were hairy and agile and chattered in monkeylike fashion, but unlike the simian tribes, they were flesh eaters. They had a primitive opposable thumb as well as a highly useful grasping big toe. From this point onward the prehuman species successively developed the opposable thumb while they progressively lost the grasping power of the great toe. The later ape tribes retained the grasping big toe but never developed the human type of thumb.
62:2.2 이 시조 포유류는 3~4살이 되었을 때 완전히 자랐고, 잠재 수명이 평균 약 20년이었다. 보통 자손은 하나를 낳았지만, 간혹 쌍둥이가 있었다.
62:2.2 These dawn mammals attained full growth when three or four years of age, having a potential life span, on the average, of about twenty years. As a rule offspring were born singly, although twins were occasional.
62:2.3 이 새로운 종의 구성원들은 지구상에 존재했던 동물들 중에서 가장 큰 뇌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후에 원시인을 특징짓는 많은 감정을 체험했고, 수많은 본능을 공유했으며, 매우 호기심이 많았고 어떤 일을 성공하면 상당한 기쁨을 드러냈다. 배고픔과 성욕이 잘 발달 되었고, 서투른 형태로 구애하고 짝을 선택하는 일에, 분명히 성(性) 상대를 선택함을 드러냈다. 자기들의 친족을 방어하느라고 사납게 싸우곤 했고, 가족 관계가 아주 부드러웠으며, 자기를 낮추는 감각을 소유했는데, 이것은 부끄러움과 뉘우침에 가까웠다. 그들은 대단히 사랑이 깊었고, 짝에게 충성하는 것은 감동적이었지만, 환경이 그들을 떼어놓았을 때, 새 짝을 고르곤 했다.
62:2.3 The members of this new species had the largest brains for their size of any animal that had theretofore existed on earth. They experienced many of the emotions and shared numerous instincts which later characterized primitive man, being highly curious and exhibiting considerable elation when successful at any undertaking. Food hunger and sex craving were well developed, and a definite sex selection was manifested in a crude form of courtship and choice of mates. They would fight fiercely in defense of their kindred and were quite tender in family associations, possessing a sense of self-abasement bordering on shame and remorse. They were very affectionate and touchingly loyal to their mates, but if circumstances separated them, they would choose new partners.
62:2.4 키가 작았고, 그들의 숲속 거주지에 위험이 닥쳐오는 것을 알아챌 수 있는 예리한 감각을 가졌기 때문에, 두려움이 비상하게 개발되었고, 지혜로운 예방대책을 갖게 되어, 그들의 생존에 아주 엄청난 기여를 하였으며, 그 한 예로, 그들은 높은 나무 꼭대기에 어설프나마 은신처를 지어, 땅 위에 있는 생명이 당하는 많은 위험을 제거할 수 있었다. 인류의 공포심을 갖는 성향은 엄밀한 의미에서 볼 때 이 시절로부터 시작되었다.
62:2.4 Being small of stature and having keen minds to realize the dangers of their forest habitat, they developed an extraordinary fear which led to those wise precautionary measures that so enormously contributed to survival, such as their construction of crude shelters in the high treetops which eliminated many of the perils of ground life. The beginning of the fear tendencies of mankind more specifically dates from these days.
62:2.5 이 시조 포유류는 이전에 나타났던 어떤 것들 보다, 부족 정신이 더 발달 되었다. 정말로 상당히 사교적이었지만, 그런데도 일상생활의 일반적인 추구에서 어떤 방법으로든 방해를 받았을 때 대단히 싸우기 좋아했고, 분노를 충분히 건드렸을 때 불같은 성미를 나타냈다. 그러나 호전적 성품은 좋은 목적에 쓰였다. 우수한 집단은 열등한 이웃과 서슴지 않고 전쟁하였고, 이처럼 선택적 생존으로 말미암아 그 종은 점진적으로 개량되었다. 그들은 곧 이 지역의 작은 생물의 생활을 지배했고, 더 오래된 육식하지 않는 원숭이 같은 부족들은 극소수가 살아남았다.
62:2.5 These dawn mammals developed more of a tribal spirit than had ever been previously exhibited. They were, indeed, highly gregarious but nevertheless exceedingly pugnacious when in any way disturbed in the ordinary pursuit of their routine life, and they displayed fiery tempers when their anger was fully aroused. Their bellicose natures, however, served a good purpose; superior groups did not hesitate to make war on their inferior neighbors, and thus, by selective survival, the species was progressively improved. They very soon dominated the life of the smaller creatures of this region, and very few of the older noncarnivorous monkeylike tribes survived.
62:2.6 적극적인 이 작은 동물은 메소포타미아 반도에서 일천 년이 넘도록 번식하고 널리 퍼졌으며, 신체적 유형과 일반적인 지능 면에서 지속적으로 개량되었다. 이 새로운 부족이 가장 높은 유형의 여우원숭이 조상으로부터 기원을 가진 뒤, 꼭 70번째 세대가 되었을 때, 그다음의 획기적 발전이 일어났다―유란시아에서 인간의 진화에서 다음으로 극히 중요한 단계가 되는 조상이 갑자기 분화되어 생긴 것이다.
62:2.6 These aggressive little animals multiplied and spread over the Mesopotamian peninsula for more than one thousand years, constantly improving in physical type and general intelligence. And it was just seventy generations after this new tribe had taken origin from the highest type of lemur ancestor that the next epoch―making development occurred―the sudden differentiation of the ancestors of the next vital step in the evolution of human beings on Urantia.
3. 중간 포유류 (The Mid-Mammals)
62:3.1 시조 포유류의 생애 초기에, 나무꼭대기 거처에서 살던 이 날렵한 생물들 중 우수한 한 쌍, 쌍둥이가 태어났는데, 수컷 하나와 암컷 하나였다. 그들의 조상과 비교해서, 그들은 정말로 잘생긴 작은 피조물이었다. 그들은 몸에 털이 거의 없었지만, 따뜻하고 온화한 기후에서 살았기 때문에 이것은 장애가 아니었다.
62:3.1 Early in the career of the dawn mammals, in the treetop abode of a superior pair of these agile creatures, twins were born, one male and one female. Compared with their ancestors, they were really handsome little creatures. They had little hair on their bodies, but this was no disability as they lived in a warm and equable climate.
62:3.2 이 아이들은 키가 120cm 조금 넘게 자랐다. 모든 면에서 부모보다 덩치가 컸고, 다리가 더 길고 팔이 더 짧았다. 거의 완전히 마주 볼 수 있는 엄지손가락을 가졌고, 이것은 거의 오늘날 인간의 엄지손가락처럼, 다양한 작업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거의 완벽한 엄지손가락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똑바로 서서 걸었고, 나중에 거의 인류만큼, 걷는 데 적합한 발을 가졌다.
62:3.2 These children grew to be a little over four feet in height. They were in every way larger than their parents, having longer legs and shorter arms. They had almost perfectly opposable thumbs, just about as well adapted for diversified work as the present human thumb. They walked upright, having feet almost as well suited for walking as those of the later human races.
62:3.3 그들의 두뇌는 인간보다 열등하고 작았지만, 그들의 조상보다 대단히 우수하고, 조상과 비교해서 훨씬 컸다. 그 쌍둥이는 일찍부터 우수한 지능을 나타냈으며, 시조 포유류의 종족 전체에서 곧 우두머리로서 인정받았고, 원시 형태의 사회 조직과 서툴게나마 노동의 경제적 분업을 정말로 시작했다. 이 오누이는 짝을 지었고, 곧 자신과 상당히 비슷한 아이들 21명으로 이루어진 사회를 가졌다. 이들 모두의 키는 120cm가 조금 넘고, 모든 면에서 조상의 종보다 뛰어났다. 이 새로운 집단은 중간 포유류의 핵심을 이루었다.
62:3.3 Their brains were inferior to, and smaller than, those of human beings but very superior to, and comparatively much larger than, those of their ancestors. The twins early displayed superior intelligence and were soon recognized as the heads of the whole tribe of dawn mammals, really instituting a primitive form of social organization and a crude economic division of labor. This brother and sister mated and soon enjoyed the society of twenty-one children much like themselves, all more than four feet tall and in every way superior to the ancestral species. This new group formed the nucleus of the mid-mammals.
62:3.4 새롭고 우수한 이 집단의 수가 커졌을 때, 전쟁, 무자비한 전쟁이 터졌다. 끔찍한 그 싸움이 끝났을 때, 시조 포유류 가운데 전에 있었던 조상 종은 하나도 살아남지 않았다. 그 종에서 수가 적지만 더 강력하고 머리 좋은 부류가 조상을 희생시키고 살아남았다.
62:3.4 When the numbers of this new and superior group grew great, war, relentless war, broke out; and when the terrible struggle was over, not a single individual of the pre-existent and ancestral race of dawn mammals remained alive. The less numerous but more powerful and intelligent offshoot of the species had survived at the expense of their ancestors.
62:3.5 이제 거의 1만 5천 년 (6백 세대) 동안, 이 피조물들은 이 지역에서 세상의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지난 시대의 크고 사나운 동물들이 모두 멸망했다. 이 지역의 몸집이 큰 토착 짐승들은 육식을 하지 않았고, 고양이 과의 큰 종자인 사자와 호랑이는, 지구의 표면에서 특별히 보호된 이 구역을 아직 침범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중간 포유류들은 용감해졌고, 그들이 있던 구역을 모두 정복했다.
62:3.5 And now, for almost fifteen thousand years (six hundred generations), this creature became the terror of this part of the world. All of the great and vicious animals of former times had perished. The large beasts native to these regions were not carnivorous, and the larger species of the cat family, lions and tigers, had not yet invaded this peculiarly sheltered nook of the earth's surface. Therefore did these mid-mammals wax valiant and subdue the whole of their corner of creation.
62:3.6 조상의 종자와 비교해 볼 때, 중간 포유류는 모든 면에서 진보되어 있었고, 잠재 수명도 약 25년이나 더 길었다. 기초적 인간 특성 가운데 많은 것이 이 새로운 종 안에서 나타났다. 조상이 보여주었던 타고난 성향 외에도, 이 중간 포유류는 어떤 혐오스런 상황에서 혐오감을 보일 수 있었다. 더 나아가서 분명한 저축 본능을 소유했다; 나중에 쓰려고 먹이를 감추곤 했고, 방어하고 공격하는 무기로서 적당한, 매끄러운 동그란 자갈들과 특정한 종류의 둥근 돌을 모으는 데 마음이 크게 움직였다.
62:3.6 Compared with the ancestral species, the mid-mammals were an improvement in every way. Even their potential life span was longer, being about twenty-five years. A number of rudimentary human traits appeared in this new species. In addition to the innate propensities exhibited by their ancestors, these mid-mammals were capable of showing disgust in certain repulsive situations. They further possessed a well-defined hoarding instinct; they would hide food for subsequent use and were greatly given to the collection of smooth round pebbles and certain types of round stones suitable for defensive and offensive ammunition.
62:3.7 이 중간 포유동물은, 나무 꼭대기 집과 터널이 여러 개 있는 지하 피난처를 지으면서 벌인 경쟁 관계에서 보여 지듯이, 분명한 집 짓는 성향을 보인 최초의 포유류 종이었다; 그들은 나무로 된 피난처와 지하 피난처에서 안전을 마련한 첫 포유류 종이었다. 거주하는 장소로서 나무를 대체로 포기했고, 낮에는 땅에서 살고 밤에는 나무 꼭대기에서 잤다.
62:3.7 These mid-mammals were the first to exhibit a definite construction propensity, as shown in their rivalry in the building of both treetop homes and their many-tunneled subterranean retreats; they were the first species of mammals ever to provide for safety in both arboreal and underground shelters. They largely forsook the trees as places of abode, living on the ground during the day and sleeping in the treetops at night.
62:3.8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수의 증가는 결국 심각한 먹이 경쟁과 성(性)의 경쟁을 낳았고, 이 모든 것이 서로 죽이는 일련의 전쟁을 일으켰으며, 이것은 그 종 전체를 거의 파괴하였다. 이 싸움은 100명도 채 안 되는 집단이 살아남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평화가 다시 찾아왔고, 혼자 살아남은 이 부족은 나무 꼭대기에 새로운 잠자리를 짓고, 다소 평화스러운 정상적인 생활을 시작하였다.
62:3.8 As time passed, the natural increase in numbers eventually resulted in serious food competition and sex rivalry, all of which culminated in a series of internecine battles that nearly destroyed the entire species. These struggles continued until only one group of less than one hundred individuals was left alive. But peace once more prevailed, and this lone surviving tribe built anew its treetop bedrooms and once again resumed a normal and semipeaceful existence.
62:3.9 얼마나 아슬아슬한 차이로 인간 이전의 조상이 때때로 멸종할 뻔했는지 여러분은 도저히 짐작할 수 없다. 어떤 기회에, 모든 인류의 조상 개구리가 5cm만 적게 팔짝 뛰었더라면, 진화 과정 전부가 뚜렷하게 바뀌었을 것이다. 시조 포유류 종의 직계에 여우원숭이 같은 어머니는 새로운 발전된 포유동물 목(目)의 아버지를 낳기 전에, 겨우 간발의 차이로 적어도 다섯 번이나 죽음을 모면했다. 그러나 모든 것 가운데서 가장 아슬아슬했던 탈출은, 벼락이 영장류 쌍둥이를 밴 어머니가 잠자고 있던 나무를 때린 때였다. 중간 포유류인 이 부모는 심하게 충격을 받고 크게 그슬렸다. 일곱 아이 가운데 셋은 하늘에서 떨어진 이 번개에 맞아 죽었다. 진화하는 이 동물은 거의 미신을 믿었다. 나무꼭대기 집을 벼락 맞은 이 쌍은 정말로 중간 포유류 종에서 진취적인 무리의 지도자였는데, 그들의 예를 따라서, 머리가 더 깨인 편인 가족들을 포함하여, 그 부족에서 반이 넘는 자들이 이 장소로부터 약 3.2km 옮겨 가서, 나무꼭대기에 새 거처와 새로운 지상 피난처―갑작스런 위험이 있을 때를 위한 임시 은둔처―를 짓기 시작했다.
62:3.9 You can hardly realize by what narrow margins your prehuman ancestors missed extinction from time to time. Had the ancestral frog of all humanity jumped two inches less on a certain occasion, the whole course of evolution would have been markedly changed. The immediate lemurlike mother of the dawn-mammal species escaped death no less than five times by mere hairbreadth margins before she gave birth to the father of the new and higher mammalian order. But the closest call of all was when lightning struck the tree in which the prospective mother of the Primates twins was sleeping. Both of these mid-mammal parents were severely shocked and badly burned; three of their seven children were killed by this bolt from the skies. These evolving animals were almost superstitious. This couple whose treetop home had been struck were really the leaders of the more progressive group of the mid-mammal species; and following their example, more than half the tribe, embracing the more intelligent families, moved about two miles away from this locality and began the construction of new treetop abodes and new ground shelters-their transient retreats in time of sudden danger.
62:3.10 집이 완성된 뒤에 얼마 안 있어, 수많은 투쟁을 겪은 노련한 이들 쌍은 자랑스러운 쌍둥이의 부모가 되었다. 이 쌍둥이는 그때까지 세상에 태어난, 가장 흥미 있고 중요한 동물이었으니, 인간 이전의 진화에서 다음으로 결정적인 걸음을 내딛는, 새로운 영장류 종의 시작이었기 때문이다.
62:3.10 So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ir home, this couple, veterans of so many struggles, found themselves the proud parents of twins, the most interesting and important animals ever to have been born into the world up to that time, for they were the first of the new species of Primates constituting the next vital step in prehuman evolution.
62:3.11 이 영장류 쌍둥이가 태어난 것과 같은 때에, 또 한 쌍이―중간 포유류 부족 가운데서 특히 우둔한 수컷과 암컷, 정신과 육체 면에서 열등한 쌍이―또한 쌍둥이를 낳았다. 이 쌍둥이는 수컷 하나와 암컷 하나였는데, 무엇을 정복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먹이를 얻는 데 관심이 있었고, 고기를 먹으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짐승을 잡는 데 흥미를 모두 잃었다. 우둔한 이 쌍둥이는 오늘날 원숭이 족의 시조가 되었다. 그들의 후손은 기후가 온화하고 열대 과일이 풍부한, 좀 더 따듯한 남쪽 지역을 찾았고, 긴팔원숭이와 원숭이의 시초 종류와 교배한 결과로 크게 열등하게 된 부류들을 제쳐 놓고, 거기서 그 시절과 상당히 비슷하게 살았다.
62:3.11 Contemporaneously with the birth of these Primates twins, another couple―a peculiarly retarded male and female of the mid-mammal tribe, a couple that were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inferior―also gave birth to twins. These twins, one male and one female, were indifferent to conquest; they were concerned only with obtaining food and, since they would not eat flesh, soon lost all interest in seeking prey. These retarded twins became the founders of the modern simian tribes. Their descendants sought the warmer southern regions with their mild climates and an abundance of tropical fruits, where they have continued much as of that day except for those branches which mated with the earlier types of gibbons and apes and have greatly deteriorated in consequence.
62:3.12 그래서 사람과 원숭이는 중간 포유류로부터 솟아났다는 점에서 관련이 있음을 쉽사리 이해할 수 있다. 그 부족에서 두 쌍의 쌍둥이가 같은 시대에 출생하고 나중에는 분리되었다. 열등한 쌍은 현대 종류의 원숭이·비비·침팬지·고릴라를 낳도록 정해졌고, 우수한 쌍은 사람 자신으로 진화한 우수한 혈통을 계속하도록 운명이 정해졌다.
62:3.12 And so it may be readily seen that man and the ape are related only in that they sprang from the mid-mammals, a tribe in which there occurred the contemporaneous birth and subsequent segregation of two pairs of twins: the inferior pair destined to produce the modern types of monkey, baboon, chimpanzee, and gorilla; the superior pair destined to continue the line of ascent which evolved into man himself.
62:3.13 현대 인간과 원숭이는 같은 부족과 종으로부터 솟아나기는 했어도, 같은 부모로부터 나지는 않았다. 사람의 조상은 이 중간 포유류 부족에서 선택된 잔재의 우수한 핏줄로부터 내려왔고, 한편 현대의 원숭이는 (어떤 선재 하던 종류의 여우원숭이, 긴팔원숭이, 원숭이, 그리고 기타 원숭이 같은 동물을 빼고) 이 중간 포유류 집단에서 가장 열등한 쌍의 후손이다. 이 쌍은 그들 족속의 맹렬한 마지막 전투 중에, 먹이를 저장하는 지하 피난처에서 2주가 넘도록 숨었다가, 교전이 완전히 끝난 뒤에 나타나서, 겨우 살아남았다.
62:3.13 Modern man and the simians did spring from the same tribe and species but not from the same parents. Man's ancestors are descended from the superior strains of the selected remnant of this mid-mammal tribe, whereas the modern simians (excepting certain pre-existent types of lemurs, gibbons, apes, and other monkeylike creatures) are the descendants of the most inferior couple of this mid-mammal group, a couple who only survived by hiding themselves in a subterranean food-storage retreat for more than two weeks during the last fierce battle of their tribe, emerging only after the hostilities were well over.
4. 영장류 (The Primates)
62:4.1 수컷 하나와 암컷 하나의 우수한 쌍둥이의 탄생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이들은 중간 포유류 부족의 두 선두 구성원이 된다; 이 동물 새끼들은 특이한 순서였다; 부모보다도 몸에 털이 더욱 적었고, 아주 어릴 때 몸을 곧게 세우고 걷기를 고집했다. 그들의 조상은 언제나 뒷다리로 걷기를 배웠지만, 이 영장류 쌍둥이들은 처음부터 똑바로 섰다. 그들은 키가 150cm 넘게 자랐고, 머리는 그 부족의 동료들에 비해 더 커졌다. 몸짓과 소리를 통해 일찍부터 소통하기를 배웠지만, 이 새로운 표현들을 그 종족에게 결코 이해시킬 수 없었다.
62:4.1 Going back to the birth of the superior twins, one male and one female, to the two leading members of the mid-mammal tribe: These animal babies were of an unusual order; they had still less hair on their bodies than their parents and, when very young, insisted on walking upright. Their ancestors had always learned to walk on their hind legs, but these Primates twins stood erect from the beginning. They attained a height of over five feet, and their heads grew larger in comparison with others among the tribe. While early learning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means of signs and sounds, they were never able to make their people understand these new symbols.
62:4.2 약 14살이 되었을 때, 그들은 가족을 일으키고 영장류의 새로운 종을 세우기 위해서 그 부족으로부터 도망쳐서 서쪽으로 갔다. 이 새로운 생물을 영장류라 표시하는 것이 매우 적절한데, 그들이 바로 인간 가족 자체의 직계이자 직접적인 동물 조상이기 때문이다.
62:4.2 When about fourteen years of age, they fled from the tribe, going west to raise their family and establish the new species of Primates. And these new creatures are very properly denominated Primates since they were the direct and immediate animal ancestors of the human family itself.
62:4.3 이처럼 영장류는 메소포타미아 반도의 서해안에서 한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고, 그 반도는 그때 남쪽 바다에서 쑥 튀어나왔다. 한편 지능이 덜하고 가까이 관련된 부족들은 동쪽 해안선을 따라 반도 끝 주변에서 살았다.
62:4.3 Thus it was that the Primates came to occupy a region on the west coast of the Mesopotamian peninsula as it then projected into the southern sea, while the less intelligent and closely related tribes lived around the peninsula point and up the eastern shore line.
62:4.4 영장류는 중간 포유류인 전임자보다, 사람에 더 가깝고 동물과 거리가 더 멀었다. 이 새로운 종의 골격 비율은 원시 인류의 것과 매우 유사했다. 인간의 손과 발이 완전히 발달했고, 이 생물은 걷거나 달릴 수 있었고, 심지어 후일에 그들의 어느 인간 후손만큼이나 잘 뛸 수 있었다. 그들은 주로 나무 생활을 버렸지만, 그들의 초기 조상들처럼, 겁이 많았기 때문에 밤에 안전 조치로서 계속해서 나무꼭대기에 의존했다. 손을 더욱 사용한 것은 타고난 두뇌력을 개발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지만, 그들은 정말로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는 머리를 아직 소유하지 않았다.
62:4.4 The Primates were more human and less animal than their mid-mammal predecessors. The skeletal proportions of this new specie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primitive human races. The human type of hand and foot had fully developed, and these creatures could walk and even run as well as any of their later-day human descendants. They largely abandoned tree life, though continuing to resort to the treetops as a safety measure at night, for like their earlier ancestors, they were greatly subject to fear. The increased use of their hands did much to develop inherent brain power, but they did not yet possess minds that could really be called human.
62:4.5 감정적인 자연 본성에 있어서 영장류는 비록 그 선조와 거의 다를 바가 없었지만, 모든 성향은 인간적인 경향을 더 나타냈다. 정말로 그들은 빛나는 우수한 동물이었고, 약 10살에 성숙기에 이르고 약 40년의 자연 수명을 가졌다. 다시 말해서, 자연사했다면 그만큼 오래 살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옛 시절에는 자연사한 동물이 거의 없었는데, 생존 투쟁이 아주 너무 심했기 때문이다.
62:4.5 Although in emotional nature the Primates differed little from their forebears, they exhibited more of a human trend in all of their propensities. They were, indeed, splendid and superior animals, reaching maturity at about ten years of age and having a natural life span of about forty years. That is, they might have lived that long had they died natural deaths, but in those early days very few animals ever died a natural death; the struggle for existence was altogether too intense.
62:4.6 이제, 시조 포유류의 기원으로부터 약 2만1천 년에 걸쳐, 거의 9백 세대의 발전 후에, 영장류는 갑자기 놀라운 두 피조물, 처음으로 참 인간들을 출산했다.
62:4.6 And now, after almost nine hundred generations of development, covering about twenty-one thousand years from the origin of the dawn mammals, the Primates suddenly gave birth to two remarkable creatures, the first true human beings.
62:4.7 이처럼 북아메리카 여우원숭이 종류로부터 솟아 나온 시조 포유동물이 중간 포유류를 낳았고, 이 중간 포유류는 다음에 우수한 영장류를 낳았으며, 이들은 원시 인류의 직계 선조가 되었다. 영장류 부족들은 인간의 진화에서 마지막으로 결정적인 고리였으나, 5천 년이 지나기 전에 이 특별한 부족들 가운데 한 마리도 살아남지 않았다.
62:4.7 Thus it was that the dawn mammals, springing from the North American lemur type, gave origin to the mid-mammals, and these mid-mammals in turn produced the superior Primates, who became the immediate ancestors of the primitive human race. The Primates tribes were the last vital link in the evolution of man, but in less than five thousand years not a single individual of these extraordinary tribes was left.
|
첫댓글 2. 시조 포유류
1) 메소포타미아 시조 포유류에서 태반을 가진 북아메리카 여우원숭이 직계 후손이 나타났는데, 이 시조 포유류의 키는 어느정도 였나? (62:2.1)
90cm, 기어다녔지만, 똑바로 설 수 있었다.
2) 이들의 성장속도, 평균 잠재 수명, 출산 개체 수는 어떻게 되나? (62:2.2)
3~4살에 완전이 성장, 평균 수명은 20년, 보통 하나의 새끼를 출산, 간혹 쌍둥이가 있었음.
3) 유란시아의 인간 진화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가 되는 조상이 분화되는데, 이 시조 포유류의 몇 번째 세대에서 분화되었나?
70번째
3. 중간 포유류
1) 시조 포유류 70번째 세대에서 잘생기고 우수한 쌍둥이 한쌍이 태어났는데, 암컷과 수컷 하나였다. 이들의 몸에는 털이 없었다. 그 키는 얼마큼 자랐나?
120cm, 직립보행을 하였다.
2) 중간 포유류의 평균 잠재 수명은? (62:3.6)
25년
3) 중간 포유류에서 인간과 비슷한 유형은 무엇인가?
- 먹이에 대한 저축 본능을 소유
- 자기보호 방어를 위한 공격하는 무기를 모았다.
- 집 짓는 성향을 보인 최초의 포유류
4) 인간 이전의 진화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위치는?
원숭이 종과 인간의 공동 부모로서 우수한 쌍은 인간 조상으로, 열등한 쌍은 원숭이 조상으로 분리되었다.
4. 영장류
1) 중간 포유류의 우수한 쌍둥이의 특징은 무엇인가? (62:4.1)
- 어릴때부터 직립보행을 고집했다.
- 키는 150cm 넘게 자랐고, 머리도 다른 동료에 비해 커졌다.
- 몸짓과 소리를 통해 소통했다.
2) 이 쌍둥이가 영장류로 분류되는 시점은 언제인가?
14살 때, 중간 포유류들로부터 새로운 종을 세우기 위해 도망쳤다.
(더 우수한 자신들의 종족을 보존하기 위해)
3) 최초 영장류들이 살았던 지역은? (62:4.3)
메소포타미아 반도 서해
4) 영장류의 성숙 기간과 수명은? (62:4.5)
약 10살에 성숙기에 이르고 잠재 수명은 40년, 그러나 생존투쟁으로 자연사한 동물은 거의 없었다.
4) 최초의 참 인간들이 나온 시기는 시조 포유류에서 몇세대가 지나서인가 (62:4.6)
9백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