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es, but listen,” said Myrtle Wilson, nodding her head up and down, “at least you didn’t marry him.”
nodding her head up and down : 머틀의 과장된 제스처를 보여준다. 자기 존재를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과장된 몸짓을 하고 있다.
“I know I didn’t.”
“Well, I married him,” said Myrtle, ambiguously.
ambiguously : 체스터와 유대인의 조합이 머틀과 윌슨의 조합으로 되어버렸다. 윌슨이 유대인이 아닌데 마치 유대인인 것처럼 취급되고 있다.
“And that’s the difference between your case and mine.”
“Why did you, Myrtle?” demanded Catherine.
“Nobody forced you to.”
Myrtle considered.
“I married him because I thought he was a gentleman,” she said finally. “I thought he knew something about breeding, but he wasn’t fit to lick my shoe.”
breeding : 교양, 훈련, 예절
lick my shoe : 굴욕, 비굴함, 혹은 극단적인 복종을 상징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
“You were crazy about him for a while,” said Catherine.
“Crazy about him!” cried Myrtle incredulously.
“Who said I was crazy about him? I never was any more crazy about him than I was about that man there.”
She pointed suddenly at me, and every one looked at me accusingly. I tried to show by my expression that I had played no part in her past.
- I had played no part in her past : 초판에는 I expected no affection(나는 어떤 애정도 기대하지 않았다)로 되어 있었는데 저자가 수정함. 초판대로 하자면 닉은 머틀의 농담을 농담으로 되받아 친 것이고, 수정한 대로 하자면 닉이 머틀의 농담을 받아들이지 않고 정색을 하고 말한 것이다.
“The only crazy I was was when I married him. I knew right away I made a mistake. He borrowed somebody’s best suit to get married in and never even told me about it, and the man came after it one day when he was out. She looked around to see who was listening: “ ‘Oh, is that your suit?’ I said. ‘This is the first I ever heard about it.’ But I gave it to him and then I lay down and cried to beat the band all afternoon.”
- The only crazy I was was when I married him : 계속해서 캐서린과 머틀의 대화에서 계속해서 crazy about이라고 말하다가 여기서 crazy라고 한다. crazy about은 ~에 빠져 있다는 뜻으로 머틀이 윌슨에게 빠져 있었고, 결혼한 것은 그에게 빠져서(crazy about) 결혼한 것이 아니라 미쳐서, 즉 제정신이 아니어서(crazy) 한 짓이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 She looked around to see who was listening : 초판 수정본에서 추가됨.
to beat the band : 힘차게, 왕성하게, 충분히 : "To beat the band"는 무언가가 아주 대단하거나 과장될 정도로 크고 강하게 진행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보통 "굉장히", "엄청나게", 또는 "아주 크게"라는 뜻으로 번역된다. 이 표현의 유래는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여기서 "band"는 '밴드' 즉, 큰 소리로 연주하는 음악 밴드를 의미한다. 당시에는 음악 밴드가 행진이나 공연을 통해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무언가가 "밴드를 이길 정도로" 크거나 시끄럽다면 그것이 아주 크고 화려하며 눈에 띄는 것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졌다. "to beat the band"는 원래 밴드의 소리를 압도할 정도로 큰 소리나 강력한 무언가를 묘사하기 위해 생긴 표현이다.
“She really ought to get away from him,” resumed Catherine to me. “They’ve been living over that garage for eleven years. And Tom’s the first sweetie she ever had.”
- sweetie : sweetie에서 "-ie"는 애칭이나 친근함을 강조하는 영어 접미사. 이 접미사는 특히 아이들, 애완동물, 연인 등 가까운 대상에게 쓰이는 이름이나 단어에 자주 붙는다(예: "dog" → "doggie", "John" → "Johnnie").
The bottle of whiskey–a second one–was now in constant demand by all present, excepting Catherine who “felt just as good on nothing at all.” Tom rang for the janitor and sent him for some celebrated sandwiches, which were a complete supper in themselves. I wanted to get out and walk eastward toward the park through the soft twilight but each time I tried to go I became entangled in some wild strident argument which pulled me back, as if with ropes, into my chair. Yet high over the city our line of yellow windows must have contributed their share of human secrecy to the casual watcher in the darkening streets, and I was him too, looking up and wondering. I was within and without, simultaneously enchanted and repelled by the inexhaustible variety of life.
- felt just as good on nothing at all : 여기서 on은 ‘~을 먹는[마시는/복용하는]’의 뜻을 가진다. 아무것도 마시지 않고도 아주 똑같이 느낀다는 뜻.
- casual watcher in the darkening streets : 재의 골짜기에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관찰자(eyes of Doctor Eckleburg)가 있고 어두운 거리에는 아래에서 이 아파트의 위쪽을 바라보는 관찰자(watcher)가 있다. 재의 골짜기의 관찰자는 모든 이들과 그들의 행위를 보고 있어서 비밀이 있을 수 없다. 이 도시의 관찰자는 위를 올려다보는 사람에게만 비밀을 알려줄 수도 있지만 분명하게 알려주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행해지는 일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관찰자는 없고 비밀은 지켜진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I was him too : 초판에는 I saw him too로 인쇄되어 출판되었고 저자가 saw를 was로 고침. ‘나도 역시 그였다’는 뜻으로 닉도 역시 거리의 관찰자 가운데 하나였다는 뜻.
- I was within and without : 인간의 양면성, 즉 어떤 경험이나 상황 속에서 동시에 관찰자이자 참여자로 존재하는 복합적인 상태를 묘사한다. ‘I knew a man in Christ above fourteen years ago, (whether in the body, I cannot tell; or whether out of the body, I cannot tell: God knoweth;) such an one caught up to the third heaven.’ (고린도후서 12:2)
Myrtle pulled her chair close to mine, and suddenly her warm breath poured over me the story of her first meeting with Tom.
“It was on the two little seats facing each other that are always the last ones left on the train. I was going up to New York to see my sister and spend the night. He had on a dress suit and patent leather shoes and I couldn’t keep my eyes off him but every time he looked at me I had to pretend to be looking at the advertisement over his head. When we came into the station he was next to me and his white shirt-front pressed against my arm–and so I told him I’d have to call a policeman, but he knew I lied. I was so excited that when I got into a taxi with him I didn’t hardly know I wasn’t getting into a subway train. All I kept thinking about, over and over, was ‘You can’t live forever, you can’t live forever.’”
- patent leather shoes : 에나멜 가죽으로 만든 정장용 구두. *patent leather는 1800년대에 개발하여 특허를 받은 에나멜 가죽으로 소가죽이나 산양 가죽에 크롬 무두질을 하고 그 겉면에 검은 에나멜을 칠한 것이다.
- Shirt-front : 셔츠 앞부분. *특히 흰색 와이셔츠의 빳빳한 부분을 가리킨다.
1920년대 남성 패션 :
--> https://vintagedancer.com/1920s/what-did-men-wear-in-the-1920s/
She turned to Mrs. McKee and the room rang full of her artificial laughter.
예술가(artist)의 아내 앞에서 artificial한 웃음을 웃는다.
“My dear,” she cried, “I’m going to give you this dress as soon as I’m through with it. I’ve got to get another one tomorrow. I’m going to make a list of all the things I’ve got to get. A massage and a wave and a collar for the dog and one of those cute little ash-trays where you touch a spring, and a wreath with a black silk bow for mother’s grave that’ll last all summer. I got to write down a list so I won’t forget all the things I got to do.”
get이라는 동사가 6회 사용되어 머틀의 어휘가 빈곤함을 느끼게 한다. 앞에서는 말을 고상하게 꾸며서 이야기했지만 이제는 술이 취하기도 해서 머틀의 본 모습이 나오고 있는 것을 알게 해준다.
I’ve got : 머틀은 내일 살 것을 이미 산 것으로 말한다. 내일 살 것이라는 사실에 추호의 의심이 없는 태도를 보여준다.
a list of all the things Ive got to get : '사야 할 물건들 전체 목록'이라는 의미이지만 바로 뒤에 나오는 all the things I got to do(해야 할 모든 일들)의 의미로도 쓰였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마사지 받고, 파마하고, 개 목걸이, 재떨이, 화환 들을 사고'와 같 이 물건과 행동이 혼합되어 나열되어 있다. (신현욱, p.99)
cute little ash-trays: 재떨이 중앙에 있는 버튼이나 레버를 누르면 스프링 작동으로 뚜껑이 열리거나 재를 자동으로 내부로 밀어 넣는 방식이었고 재를 덮어두어 냄새를 차단하거나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 유용했다. 1920년대는 금주법(1920~1933)의 영향으로 술을 대신한 담배의 인기가 높아졌던 시기이다. 흡연 문화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흡연 도구와 액세서리가 등장했다. 스프링이 달린 재떨이는 이러한 트렌드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당시 미국의 공업화와 디자인 혁신의 상징적인 물건 중 하나로 여겨질 수 있다.
a wreath with a black silk bow for mother’s grave that’ll last all summer : 머틀의 어머니 사진이 마치 유령처럼 묘사되었는데(the dim enlargement of Mrs. Wilson’s mother which hovered like an ectoplasm on the wall) 여기에서는 이미 죽은 것으로 나온다.
It was nine o’clock–almost immediately afterward I looked at my watch and found it was ten. Mr. McKee was asleep on a chair with his fists clenched in his lap, like a photograph of a man of action. Taking out my handkerchief I wiped from his cheek the remains of the spot of dried lather that had worried me all the afternoon.
The little dog was sitting on the table looking with blind eyes through the smoke and from time to time groaning faintly. People disappeared, reappeared, made plans to go somewhere, and then lost each other, searched for each other, found each other a few feet away. Some time toward midnight Tom Buchanan and Mrs. Wilson stood face to face discussing in impassioned voices whether Mrs. Wilson had any right to mention Daisy’s name.
“Daisy! Daisy! Daisy!” shouted Mrs. Wilson. “I’ll say it whenever I want to! Daisy! Dai—-”
톰은 자기 아내의 이름을 다른 칭호 없이 부르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그렇게 이름을 부르는 것은 어떤 정해진 한계를 넘는 것으로 보고 있다.
Making a short deft movement Tom Buchanan broke her nose with his open hand.
Then there were bloody towels upon the bathroom floor, and women’s voices scolding, and high over the confusion a long broken wail of pain. Mr. McKee awoke from his doze and started in a daze toward the door. When he had gone half way he turned around and stared at the scene–his wife and Catherine scolding and consoling as they stumbled here and there among the crowded furniture with articles of aid, and the despairing figure on the couch bleeding fluently and trying to spread a copy of “Town Tattle” over the tapestry scenes of Versailles. Then Mr. McKee turned and continued on out the door. Taking my hat from the chandelier I followed.
- Taking my hat from the chandelier : 술이 취해서 정신없이 노느라고 모자가 샹들리에에 걸려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Come to lunch some day,” he suggested, as we groaned down in the elevator.
- groaned down in the elevator : 엘리베이터 내려가는 소리가 삐걱거리는 것.
“Where?”
“Anywhere.”
“Keep your hands off the lever,” snapped the elevator boy.
lever : Most elevators from the early 1930's were still operated by an Elevator operator (your actor?), and used an 'up/down' lever instead of numbered buttons.
“I beg your pardon,” said Mr. McKee with dignity, “I didn’t know I was touching it.”
snap – with dignity : 엘리베이터 보이는 갑자기 고함을 지르면서 날카롭게 말하는(snap) 반면에 맥키는 위엄 있게(with dignity) 말한다. 톰 앞에서 후원을 요청하던 때의 약간 비굴한 태도와는 다른 모습이다. 머틀은 엘리베이터 보이를 무시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맥키는 나름대로 예술가의 품위를 유지하려고 한다. 하지만 돈 앞에서는 바로 비굴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맥키가 무의식중에 엘리베이터 레버에 손을 올려놓고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내려가지 못하고 있다. 맥키가 제일 꼭대기 층으로 상징되는 제일 상위 계층에서 내려가고 싶어하지 않는 무의식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All right,” I agreed, “I’ll be glad to.”
...I was standing beside his bed and he was sitting up between the sheets, clad in his underwear, with a great portfolio in his hands.
between the sheets : 맥키는 침대에 시트를 덮고 있는 상태이고 닉은 그 옆에 서 있다. 맥키는 속옷을 입고 있다. between the sheets는 문자적으로는 이불을 덮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지만 은유적으로는 성적인 관계를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닉이 맥키의 잠자는 모습에서 행동가(a man of action)의 모습을 본 것, 맥키의 뺨에 있던 비누거품 자국을 닦아 준 것, 맥키를 따라 나선 것 등, 일련의 진행을 보면 닉은 맥키에게 호감을 가지고 서로 통하는 면이 있음을 발견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Between the Sheets는 미국 금주법 시행 시기에 유럽에서 개발된 칵테일의 이름이기도 하다.
“Beauty and the Beast...Loneliness...Old Grocery Horse...Brook’n Bridge...”
닉이나 매키 둘 다 술에 취한 상태이므로 꽤 어수선한 이 대목과 바로 다음 대목의 정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한 가지 해석은, 이 대목을 닉이 난리법석 아파트를 떠날 핑계를 잡던 와중에 매키 씨가 떠나자 같이 따라나서서 술 취한 매키 씨를 그의 아파트로 데려다주고 잠자리에 들도록 도와주는 장면으로 보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사진작가'인 매키 씨가 자신의 사진 포트폴리오를 보여주며 '미녀와 야수, '외로움', 식료품 가게의 늙은 말, 브루클린 브리지' 등으로 사진의 제목들을 읊조리는 장면을 상상해 볼 수 있다. 혹은 그 사진들에 닉 자신이 이름을 붙여 보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 사진 제목들은 이 작품의 맥락에서도 의미심장한 암시들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미녀와 야수'는 톰과 데이지의 관계를, '외로움'은 닉과 개츠비를 포함한 작중 인물들의, 길을 못 찾고 헤매는 상황을, '식료품 가게의 늙은 말'은 재의 계곡의 황폐한 이미지이자 머틀의 남편인 윌슨의 신세를, '브루클린 브리지'는 지리적 배경이기도 하면서 '브로큰 브리지'(broken bridge)로 읽으면 머틀의 부러진 코를 의미할 수 있다.
**Beauty and the Beast 미녀와 야수**의 원작은 18세기 프랑스에서 탄생한 동화로, 현대에 널리 알려진 디즈니 버전과는 다소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가장 초기의 알려진 이야기는 두 가지 주요 버전에 나뉩니다.
### 1. **가브리엘-수잔 드 빌레뇌브 (Gabrielle-Suzanne de Villeneuve)** (1740년)
- **원제:** *La Belle et la Bête* (미녀와 야수)
- 빌레뇌브는 이 이야기를 처음으로 소설 형태로 발표했습니다.
- 이야기는 매우 길고 복잡하며, 성인 독자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 야수의 과거와 저주에 얽힌 자세한 배경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미녀 역시 귀족 혈통의 비밀스러운 과거를 가진 인물로 묘사됩니다.
- 초창기 버전은 로맨스보다는 모험과 판타지 요소에 더 많은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2. **잔 마리 르프랭스 드 보몽 (Jeanne-Marie Leprince de Beaumont)** (1756년)
- **원제:** *Magasin des enfants* (아이들을 위한 도서)
- 보몽은 빌레뇌브의 이야기를 간략화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짧은 동화로 재구성했습니다.
-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이야기의 기본 틀이 이 버전에서 나왔습니다.
- 미녀는 상냥하고 희생적인 주인공으로 묘사되며, 그녀의 가족은 상류층에서 몰락한 상인의 가족으로 설정됩니다.
- 야수는 자신이 받은 저주를 풀기 위해 진정한 사랑과 용서를 찾는 인물로 그려집니다.
- 주제는 외모보다 내면의 아름다움, 사랑과 희생의 중요성에 집중됩니다.
Then I was lying half asleep in the cold lower level of the Pennsylvania Station, staring at the morning Tribune and waiting for the four o’clock train.
New York Tribune 1922년 6월 30일자
--> https://www.loc.gov/resource/sn83030214/1922-06-30/ed-1/?sp=1&st=im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