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구제역 대처상황 * 최초(’14.12.3, 충북 진천) / ‘경계’ 발령(’14.12.18)
- 발생(누계) : 6개 시·도(27개 시·군), 119개 농장(돼지 115, 소 4) * 변동 없음
- 살처분(3.2/누계) : 3개 농장 1,329두/129개 농장 112,699두
- 주요 조치사항 : 이동통제초소(111개소), 거점소독시설(192개소) 운영
※ 소방력 지원(3.2/누계) : 95명 54대/6,044명 3,534대, 급수지원 233톤/14,724톤
▲ AI 대처상황 * 최초(’14.9.24, 전남 영암) / ‘경계’ 발령(’14.9.25)
- 발생(누계) : 9개 시·도(27개 시·군·구), 103개 농장(농가 90, 전통시장 13) * 1개 농장↑
- 3.2(월) 육용오리농장 1개소(전남 구례) 양성 판정
- 살처분(3.2/누계) : 4개 농장52천수 /132개 농장 3,385천수
- 주요 조치사항 : 이동통제초소(121개소), 거점소독시설(123개소) 운영
※ 소방력 지원(3.2/누계) : 15명 8대/1,626명 895대, 급수지원 21톤/ 5,085톤
▲ (포탄 안전조치) 인천시 영종대교 하단(4~5번 교각 사이 갯벌)
- 3.2. 11:15, 낚시객이 포탄 추정 물체(1발, 10cm×30cm) 발견 신고
- 19:45~20:00 간조시 해경·군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포탄 수거 완료
▲ (안전조치) 경기 성남시 분당구「신분당선 정자역」전동차 통제
- 3.2. 12:29, 타는 냄새와 연기로 양방향 통제(12:48), 점검 후 운행 재개(13:40)
※ 판교~광교구간 공사장에서 환기구 용접작업 중 화재발생, 전기배선 일부소실
■ 재난안전 예방 활동 및 훈련 등
▲ 국민안전처, ’1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추진계획 보고회(3.3)
- 중앙부처·지자체 담당자 200여명 참석, 중앙부처·시도별 훈련 기본계획(긴급구조 역량강화, 중수본·지대본 초기대응 역량 강화 등) 발표 및 토론
▲ 국민안전처, 지자체 상황 보고·전파 신속성 확보를 위한 회의 개최(3.3)
- 2.22일부터 실시한 불시 상황 보고·전파 훈련 결과, 지자체 지연보고 등 문제점 발생, 도출된 문제점 개선 및 지침 시달(17개 시·도 영상회의)
▲ 국민안전처, ’15년도 민방위 경보업무 담당자 연찬회 개최(3.3)
- 지자체 민방위경보 담당자 등 70여명 참석, 민방위 경보 주요 업무 설명 및 가청률 조사 실시 등 * 가청률 조사(3~6월) : 도상 및 실제측정 병행
▲ 국민안전처, 시·도 재난심리지원업무 담당과장 회의 개최(3.3)
- 시·도 재난심리지원업무 담당과장 등 20여명 참석, ’15년도 재난심리 개편방안·주요사업계획 논의 및 ’14년 주요심리지원 사례 공유 등
▲ 국회, 국민안전혁신특위 개최(3.3)
- 국회 특위위원 18명, 국민안전처 차관, 교육부·미래부장관 등 참석
- 학생(교육부)·사이버(미래부) 안전 및 소방분야(노후 소방장비 등) 업무보고
▲ 산림청, 정월대보름(3.5) 산불방지 특별대책 추진(3.4~6)
- 특별대책기간 비상근무체계 전환, 정월대보름 행사장(54개소) 및 무속행위 등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방적 대응 등
▲ 기상청, 기상해일 감시망 확대(3.2)
- 봄철 돌발적인 너울 발생 시 연안 피해를 유발하는 기상해일에 대한 감시망을 기존 3개소에서 89곳으로 확대, 피해예상 지역까지 예측 가능
▲ 국토교통부, 가뭄 대비 선제적 용수비축방안 시행(3월~)
- 가뭄 발생 시 임기응변식 비축으로 신속한 대응 곤란, 댐 관련 빅데이터를 IT기술로 분석, 용수공급조정기준 마련(2년간 시범운영)
▲ 보건복지부, 신학기 학교 내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3.2)
- 신학기에 많이 발생하는 감기․인플루엔자․수두․유행성이하선염 등에 대한 예방을 위해 철저한 손씻기와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 등 당부
■소방안전 활동 상황
◇소방활동 총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