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공사>
*터파기 흙의 부피 증가율
① 경암 70 ~ 90%
② 연암 30 ~ 60%
③ 점토 20 ~ 45%
④ 모래, 자갈 15%
⑤ 점토+모래+자갈 30%
*건축공사 중 토공사 종류
① 절토 (切土 Cutting) : 터깍기
② 성토 (盛土 Heaping) : 터돋우기
③ 정지 (整地 Grading) : 터고르기
④ 굴토 (掘土 Excavation) : 기초파기
⑤ 매토 (埋土 Back filling) : 되메우기
⑥ 달고 (撻高 Tamping) : 다짐
*흙막이 공법 (형식 4가지만)
① 버팀대식 흙막이 : 수평버팀대식
② 어미말뚝식 흙막이 : 어미말뚝과 나무나 철재널 이용
③ 강재널 말뚝공법 : 철재 sheet pile을 이용한 흙막이
④ 소일 시멘트 주열벽 : 오우거로 천공 후 소일시멘트와 H 형강 이용
⑤ 기성말뚝 주열벽 : 기성 콘크리트와 강관 pile을 이용
⑥ 지중연속벽 : 지중에 지하 연속벽체를 구축하는 공법
⑦ 어스앵커 흙막이 : 버팀대 대신 어스앵커를 사용 흙막이 판설치
*그자체가 지하구조물이면서 흙막이 버팀대 역할 공법
① 우물통 공법 ② 개방잠함 공법 ③ 용기잠함 공법
*지하연속벽공법 (연속콘크리트 흙막이)
① Slurry wall 공법 (격막벽 공법)
② 프리팩티트 콘크리트 말뚝 : CIP 말뚝, PIP 말뚝 MIP 말뚝
③ Soil 시멘트 Wall 공법
*연결재 당겨매기식 흙막이 순서
① 어미말뚝 시공
② 널말뚝 시공
③ 말뚝 상부 ㄱ 자 띠장 설치
④ 로프 당겨매기
⑤ 흙파기
*철재 널말뚝 종류
① 유니버셜 조인트 식 말뚝
② Simplex 식 말뚝
③ Larsen 식 말뚝
④ Ransom 식 말뚝
*널말뚝 시공시 고려사항
① 흙막이벽 좌측과 우측의 토압차이로 흙막이 뒷부분의 흙이 흙막이벽 아래로 미끄러져
굴착부 지면이 부풀어 오른 현상 (히이빙 파괴)
② 사질지반에서 기초파기시 흙막이벽 뒷면 수위가 높아 지하수가 흙막이벽 아래로 돌아서
지하수와 모래가 같이 솟아 오른 현상 (보일링 현상)
③ 흙막이벽의 부실시공으로 흙막이벽의 뚫린 구멍 또는 이음새로 통해 물이 공사장 내부 바닥으로
스며드는 현상 (파이핑 현상)
*보일링 파괴에 대한 대책
① 강성이 큰 흙막이 벽을 경질기반까지 깊숙이 박는다
② Well Point 배수공법을 사용하여 지하수위를 낮춘다
*지반관련 기초공사
① Earth Anchor 공법
② Rock Anchor 공법
③ 지하연속벽 공법 : ICOS, CIP, PIP, MIP, Slurry Wall, S.C.W
④ Top Down 공법
*역타설공법(Top-Down)
① 주변지반과 인접건물에 악영향이 없는 안정적 공법
② 전천후 작업이 가능
③ 상부 하부 동시작업으로 공기단축
④ 1층 바닥을 작업장으로 활용가능
*어스앵커 시공순서
① 어미말뚝 설치 (1.5m 간격)
② 흙파기
③ 토류판(흙막이판) 설치
④ 어스드릴로 구멍천공
⑤ PC 케이블 삽입 후 그라우팅
⑥ 띠장설치 (수직거리 3m 마다)
⑦ 앵커 긴장 및 정착
⑧ 인장시험
*ICOS Pile 공법 (주열식 지하연속벽)
① 말뚝구멍을 하나 걸러 굴착
② 공내에 콘크리트 타설
③ 말뚝과 마뚝 사이에 다음 말뚝구멍 굴착
④ 공내에 콘크리트 타설, 주열식으로 완성
*기성 콘크리트 말뚝의 무소음, 무진동 공법
① Pre-Boring 공법
② 중굴식 굴착공법
③ 압입 회전식 공법
④ 수사식 공법
*기성 콘크리트 말뚝 지정공사 시험말뚝박기
① 탁격회수 (5)회에 총관입량이 (6)mm 이하인 경우의 말뚝은 박히는데 거부현상을 일으킨 것으로 본다
② 기초면적이 (1,500)㎡ 까지는 2개의 단일 시험말뚝을 설치하고 (3,000)㎡ 까지는 3개의
단일 시험 말뚝을 설치한다.
*CIP 말뚝공법 (Cast in Place)시공순서
① 지반천공
② 철근조립 후 공내삽입
③ 모르타르 주입용 Pipe 설치
④ 자갈 다져넣기
⑤ Pipe를 인발하면서 모르타르 주입, 완성
*Slurry wall 공법 (격막벽 공법)
① Guide wall 설치 및 안정액 Plant 설치
② 굴착
③ 안정액 투입 (Bentonite slurry)
④ 인터로킹 파이프 설치
⑤ 철근망 삽입 설치
⑥ 트리미 파이프 설치
⑦ 시멘트 타설
⑧ 인터로킹 파이프 인발
⑨ 양생
*Top Down 공법 장점 (역구축 공법)
① 주변건물, 지반에 악영향이 없는 안정적 공법
② 지상, 지하 동시작업으로 공기단축
③ 1층 바닥을 작업장으로 활용가능
④ 천후와 무관하게 전천후 작업가능
*강말뚝(Steel Pile) 부식방지 대책
① 모르타르를 피복하는 방법
② 방청도료를 도포하는 방법
③ 전기 도급법
④ 판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
*인접건물의 주위지반이 침하하는 원인
① 히빙 파괴
② 보일링 파괴
③ 파이핑에 의한 참하
④ 널말뚝 이동에 의한 침하
⑤ 뒷채움 불량에 의한 침하
*지반개량 목적
① 지반의 지지력 증가
② 부동침하 방지
③ 지반굴착시 안정성 확보
*지반개량 공법
① 치환법 ② 다짐법 ③ 탈수법 ④ 약액주입법 ⑤ 재하공법
*지반개량 탈수공법
① 웰 포인트 공법 (사질토)
② 샌드 드레인 공법 (점성토)
③ 페이퍼 드레인 공법
④ 생석회 공법
*사질지반 개량공법
①말뚝다짐 ②진동다짐 ③폭파다짐 ④약액주입 ⑤전기충격
*점토지반 탈수공법
① Sand Drain : 지름 40~60Cm 철관을 이용 모래말뚝을 형성한 후 성토하여 압밀과 탈수 촉진
② Paper Drain : 모래대신 합성수지로 된 Card Board를 박아 압밀탈수
③ 생석회 공법 : 수분흡수시 체적 2배 팽창, 압밀탈수 효과
*토공사용 장비의 종류
① 기계보다 높은 지반 굴삭 (파워쇼벨)
② 기계보다 낮은 지반 굴삭 (드래그 셔블, 백호우)
③ 좁고 깊은 도랑을 연속적으로 굴삭 (트랜처)
④ 기계보다 낮은곳의 연질지반 굴삭 (드래그 라인)
⑤ 좁은곳의 수직굴착, 깊은 우물파기 (크램쉘)
⑥ 운반거리 50~60m 배토작업 (불도저)
⑦ 굴삭과 함께 작업거리 100~1,500m 운반 깔기작업 (Scraper)
⑧ 땅고르기, 정지작업 (Grader)
⑨ 굴착한 토사 상차작업 (Loader)
⑩ 창고하역, 벽돌, 목재 운반하는 지게차 (Forklift)
⑪ 운반용 : Elevator Tower, Conveyor (Belt, Screw), Truck, Tractor
⑫ 다짐용 : Roller, Vibro Compactor, Ra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