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바위산-895m
◈날짜 : 2017년 2월26일 ◈날씨 : 맑음
◈들머리 : 경북 포항시 북구 죽장면 봉계리마을회관
◈산행소요시간 : 4시간20분(10:38-14:58)
◈찾아간 길 : 창원-칠원요금소(07:36)-칠서휴게소:조식(07:45-08:13)-영천휴게소(09:23-38)-서포항요금소(09:50)-31번-죽장면소-면봉산길-베틀봉쉼터주차장(11:00)
◈산행구간 : 봉계리마을회관→임도→당골→782봉→보현지맥갈림길→폐헬기장→함안조씨묘→863봉→베틀봉→전망대바위→구멍바위→보현지맥갈림길→샘터→망덕(베틀)고개→곰바위산→전망대(870봉)→무학대→무학사
◈산행메모 : 2012년 2월28일 봉계리마을회관에서 곰바위산-베틀봉을 거쳐 돌아오는 원점회귀산행(4시간)이후 다시 만난 봉계리마을회관이다.

마을회관 오른쪽으로 산행출발.

오른쪽으로 늙은 사과밭을 만나고 이어서 두릅나무.

임도를 따라가면서 왼쪽으로 산길입구 리본이 곧 나타나길 바라면서 걷다보니 임도가 끝나는 계곡상류까지 왔다. 작업 중인 포크레인도 만난다.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가니 오른쪽으로 치우친다.

결국 왼쪽으로 길을 만들며 올라간다.

묘지에 올라 숨을 고른다.

봉에 올라서니 오른쪽 꼭두방재에서 오는 길을 만나 왼쪽으로 진행한다.

정상적인 등로가 왼쪽 건너에 드러났다. 그 위로 곰바위산(좌)과 베틀봉(우)이다.

나무 뒤로 봉이 막아선다.

올라가니 나무에 걸린 표지. 산행지도에선 782봉이다.

왼쪽으로 내려간다. 왼쪽 아래로 지나온 당골이 드러난다.

정상적인 등로로 올라온 일행들을 여기서 만난다. 산행지도에선 갈림길봉이다.

함안조씨 묘를 앞두고 나무 뒤에서 다가선 863봉.

863봉에 올라선다.

다가선 베틀바위.

베틀바위에 올라선다.

오른쪽으로 면봉산, 그 왼쪽에 보현산이다.

다가선 베틀봉.

베틀봉에 올라선다. 오늘산행에서 가장 높은 봉이다. 지나온 베틀바위엔 일행들이다. 그 오른쪽 위 능선에 봉분처럼 보이는 봉우리가 지나온 782봉이다.

정상석은 예전 그 모습이다.

곰바위산으로 향하면서 만난 소나무.

낙엽사이 돌에 앉아 점심(12:33-50). 나무 뒤로 보이는 곰바위산은 정면인데 길은 오른쪽으로 이어진다. 능선삼거리에서 왼쪽으로 내려선다. 돌아본 삼거리.

쓰러져서 고사된 낙엽송.

고인 물도 보이는 습지를 지나

첫 이정표를 만나는 안부사거리 망덕고개다. 오른쪽은 두들마을, 왼쪽은 봉계리로 이어진다.

오른쪽에 망덕할매바위.

올라가니 나무 뒤에서 다가서는 곰바위산.

작은 S자를 그리며 치솟는다.

정상을 앞두고 만난 전망바위에서 베틀봉(우)에 눈을 맞추며 숨을 고른다. 그 왼쪽으로 지나온 능선이 한눈에 드러난다.

곰바위산에 올라선다.

2013년 8월4일<무학대-곰바위산-베틀봉-면봉산-두들마을>산행이후 다시 만난 정상인데 정상표지목은 예전 그 모습이다.

무학대 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정면으로 보이는 수석봉. 오른쪽은 대태고개와 대태마을.

소나무 숲도 지난다.

바위사이를 지나 돌아본 그림.

능선을 따라 내려가던 길은 오른쪽으로 꺾어 산허리로 진행한다.

무학대에 내려선다.

돌아본 그림.

돌계단 따라 올라가다가 굽어본 무학대.

중앙선 없는 찻길에 올라서니 화장실도 있다. 오른쪽은 두마리로 이어진다.

등산안내판도 있다.

도로 따라 왼쪽으로 내려가다가 돌아본 곰바위산. 오른쪽은 고로쇠농가 진입로.

구불구불 내려가서 모롱이를 돌아가니 왼쪽에 모습을 드러낸 무학사. 소나무사이로 대웅전도 보인다.

돌계단으로 대웅전을 향하니 꽹과리소리가 가까워진다. 대웅전 앞마당에서 꿩 방생행사를 마치고 찻길로 내려간다. 꽹과리를 잡은 사람이 선두에서 행진을 이끄는 모습이다.

대웅전.

주차장으로 내려가니 방생행사 참여회원을 싣고 온 관광버스다. 맨 끝에 산악회버스도 보인다. 오늘산행은 여기까지.

후미가 하산하기를 기다리는데 무학대에 도착했다는 연락이 온다. 시간절약을 위해 버스가 무학대 앞까지 올라가서 맞이한다. 내려오는 길에 무학사를 또 들른다.

무학사 건너에 자리한 약사보전, 용왕각.

용왕각 앞에서 바라본 무학사. 대웅전은 소나무에 가린 모습이다.

포항시북구 보건소 앞에 자리한 일심정으로 이동하여 석식. 서포항요금소를 통과하여 경부고속도로까지 이어지는 20번고속도로는 많은 차량으로 가다 서다를 반복한다.
#승차이동-31번도로(16:33)-일심정:석식(17:08-52)-서포항요금소(17:56)-현풍휴게소(19:20-32)-칠원요금소(20:05)-창원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