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899.09.13 궁내부 내장원에 서북철도국 설치
- 1899.09.18 경인선(노량진 ~ 제물포) 33.2km 개통
- 1900.07.05 한강교량 준공
- 1905.01.01 경부선(서울 ~ 부산) 개통
- 1906.04.03 경의선(서울 ~ 신의주) 개통
- 1906.07.01 통감부 철도관리국 설치
- 1914.01.11 호남선(대전 ~ 목포) 개통
- 1914.08.16 경원선(용산 ~ 원산) 개통
- 1925.10.15 서울역사 준공
- 1929.12.25 충북선(조치원 ~ 충주) 개통
- 1931.08.01 장항선(천안 ~ 장항) 개통
- 1936.12.16 전라선(익산 ~ 여수) 개통
- 1939.07.25 경춘선(성동 ~ 춘천) 개통
- 1942.04.01 중앙선(청량리 ~ 경주) 개통
- 1943.02.01 철도국을 교통국으로 개편
- 1946.01.01 교통국을 미군정청 운수부로 개편
- 1946.05.20 경부간에 특급 해방자호 운행
- 1948.08.15 정부수립으로 운수부를 교통부로 개편
- 1955.12.31 영암선(영주~철암) 전통
- 1963.08.20 서울교외선(능곡 ~ 의정부) 개통
- 1963.09.01 교통부로부터 외청인 철도청으로 독립
- 1965.09.18 경인선(영등포 ~ 인천) 복선 개통
- 1966.01.19 고한선(예미 ~고한) 개통
- 1966.11.09 경북선(영주 ~ 예천) 개통
- 1967.08.31 증기기관차를 디젤기관차로 대체
- 1968.02.07 경전선(진주 ~ 광양) 개통
- 1969.02.10 경부선에 관광호 운행
- 1971.09.15 철도청 컴퓨터도입 가동
- 1972.03.17 전기기관차 도입
- 1973.06.20 중앙선(청량리 ~ 제천) 전철 개통
- 1973.10.16 고한선(고한 ~ 황지) 개통
- 1974.06.20 태백선 전철(제천 ~ 고한) 개통
- 1974.08.15 수도권(서울-인천/구로-수원)전철개통
- 1974.08.15 경부선 새마을호 운행
- 1975.12.05 영동선(철암 ~ 북평) 전철 개통
- 1977.01.27 수도권 CTC 완공
- 1978.03.30 호남선(대전 ~ 익산) 복선 개통
- 1978.12.09 경원선(용산 ~ 성북) 전동차운행 개시
- 1980.10.17 충북선(조치원 ~ 봉양) 복선 개통
- 1981.10.01 새마을호 승차권 전산 발매
- 1981.12.23 경부 복복선(영등포 ~ 수원) 전철 개통
- 1983.12.13 대전철도차량정비창 준공
- 1985.11.15 호남선(익산 ~ 정읍) 복선 개통
- 1986.07.12 최신 유선형 새마을호(서울 ~ 부산) 운행
- 1986.09.02 경원선(성북 ~ 의정부) 복선 전철 개통
- 1987.07.06 전후동력형 새마을호(서울-부산)운행
- 1987.09.22 광양제철선(광양-제철소) 개통
- 1988.01.26 철도박물관 개관
- 1988.07.12 한일 공동승차권 판매 협정 체결
- 1988.09.06 호남선(익산-송정리) 복선 개통
- 1988.09.12 서울역 민자역사 역무 개시
- 1988.10.25 안산선(금정-안산) 개통
- 1988.12.23 중앙선(제천-영주) CTC 전철 개통
- 1989.03.25 서울역 민자역사 개관
- 1989.09.18 회원카드제 새마을호 승차권 판매
- 1989.10.16 고속전철 국제 심포지움 개최
- 1989.11.28 익산-여수 199.3km 선로 개량공사기공식
- 1989.12.29 사당-금정 15.7km 과천선 기공식
- 1989.12.30 철도공사화 추진
- 1990.01.13 관광열차운행(서울-경주-백암온천) 개시
- 1990.01.22 영월시가지 철도이설 기공식
- 1990.02.26 분당선 32.2km 착공
- 1990.03.15 태백선 새마을호 운행
- 1990.07.18 영등포 민자역사 역무시설 일부 개관
- 1990.09.12 중부지역 집중호우, 영월강교 유실 등 피해
- 1991.03.15 지축-일산간 21.1km 일산선 복선전철 기공식
- 1991.05.04 영등포 민자역사 개관
- 1991.05.31 본청 ~ 지방청간 유선통신망(PCM 방송단국) 설치
- 1991.08.10 경부선 무궁화호 장대열차 운행개시(8량 -> 16량)
- 1991.11.23 경인복복선 기공식 및 영등포 구로간 3복선 개통식
(부평역)
- 1991.11.25 장항선 새마을호 열차운행
- 1991.11.29 경인선 소사역 및 부개역 기공식
- 1991.12.10 전라선 새마을호 열차 1왕복 증설운행
- 1992.03.02 안산선 고잔역 영업개시
- 1992.04.13 철도차량 256량 리스계약 체결
- 1992.06.21 서울교외선 레저열차 운행개시
- 1992.06.30 경부고속전철 기공
- 1992.07.10 경부선 전구간(서울 ~ 부산) CTC 개통
- 1992.08.28 신연무대역 준공
- 1992.09.01 경부선 태극실 전용열차 운행
- 1993.01.15 과천선(금정 ~ 인덕원) 부분 개통
- 1993.05.20 새마을호 열차 개표와 집표 생략
- 1993.06.05 대전 EXPO기념 승차권 발매
- 1993.07.01 의왕 컨테이너 내륙 통관기지 (ICD) 개장
- 1993.10.01 열차내 이동무선 공중전화 설치 운용
- 1993.12.10 무궁화호.통일호.비둘기호열차 전 정차역 집표생략
- 1993.12.17 서울역문화관 개관
- 1994.01.10 안산선공단역 영업개시
- 1994.02.08 철도물류협회 발족
- 1994.03.18 과천선 군포전철 변전소 준공
- 1994.04.27 경인선 신설역명제정(구일, 소사, 부개, 간석, 도원)
- 1994.05.09 철도공사 설립준비단 발족
- 1994.07.28 한국 철도산업기술 연구원 발족
- 1994.08.01 수인선 8개역 폐지
- 1994.08.01 P.C통신 이용 철도정보 안내개시
- 1994.08.16 장애인용 객차운행
- 1994.08.21 서울교외선에 주말 증기기관차 관광열차운행
- 1994.09.01 분당선(수서 ~ 오리)전철 18.5km 개통
- 1994.10.01 대구, 광주에 전기사무소 신설
- 1994.11.21 기적소리 봉사센터 및 국민제안창구 설치
- 1994.12.01 경부고속철도 운영준비단 설치
- 1995.02.16 경인선 구일역 준공, 영업개시
- 1995.03.28 성북역 남부역(선상역) 영업개시
- 1995.03.29 분당선 선릉 ~ 수서간 6.6km 착공
- 1995.05.04 안양역 민자역사 착공
- 1995.05.08 철도청 구내 자동착신전화(DID) 운용개시
- 1995.07.18 조흥은행에 철도승차권 자동발매기 운용개시
- 1995.10.01 충북선 청안천 붕괴, 열차탈선 전복사고
- 1995.11.20 철도청「토요일전일근무제」실시
- 1995.11.20 철도 및 지하철 운임 요금 조정(새마을5%,무궁화.
통일호.비둘기 16%, 전철 10.6%)
- 1995.12.06 국유철도의 운영에 관한 특례법 제정
- 1995.12.27 광주 도심철도개량사업 기공식
- 1995.12.31 수인선 협궤열차 고별 운행
- 1996.01.30 일산선(지축∼대화 19.2Km)개통
- 1996.02.01 철도 심볼마크 변경
- 1996.03.28 경인선 부개역(보통역)영업개시
- 1996.04.01 경의선 행신역(간이역)엽업개시
- 1996.04.20 부산 6부두 착발 직통 컨테이너열차 운행
- 1996.11.27 (주)파발마 설립
- 1996.12.02 경의선 42개 비둘기호열차 통일호 승격
- 1996.12.11 경원선 월계역 남부역사 영업개시
- 1996.12.12 경원선 도봉역 남부역사 영업개시
- 1997.02.20 영동선 전철 개통
- 1997.03.13 요일별 탄력운임제 실시
- 1997.04.01 철도박물관, 서울역관 개관
- 1997.04.30 소사, 신길역 영업개시
- 1997.05.26 한,중 공동승차권 발매협약 조인
- 1997.06.16 경원,교외선 통근형 통일호 열차 운행
- 1997.10.01 서울전자통신 사무소 개설
- 1997.10.10 경원선 복선전철 건설 기공식
- 1997.10.20 중앙선 복선 전철 기공식
- 1997.10.30 철도청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 1997.11.19 동대구-청천간 철도 이설공사 기공식
- 1997.11.26 세계 최초 냉동 냉장 컨테이너 열차운행
- 1998.01.07 독산역 영업개시
- 1998.03.01 직원의소리(VOE) 제도시행
- 1998.04.20 신형 장애인용 객차 운행
- 1998.04.27 고객중심 경영혁신 기획단 현판식
- 1998.05.01 열차 운전 실명제 시행
- 1998.05.25 철도혁신 1백대과자 선포식 및 실천다짐대회
- 1998.07.11 화차회송료 수수제도 폐지
- 1998.07.15 철도고객서비스헌장 선포식
- 1998.07.16 장애인 도우미제 운영
- 1998.07.31 철도청 정부대전청사 시대 개막
- 1998.09.25 새마을호열차 특실 '깨우미(Train Call) 서비스' 도입
- 1998.10.15 철도운임조정 및 서비스 개선
- 1998.10.29 접객직 제복 품평회
- 1998.12.13 환상선 눈꽃 순환열차 첫 운행
- 1998.12.15 새마을호 자유석 및 자유이용권 제도도입
- 1999.01.29 경인복복선전철 1단계 개통(구로-부평간,14.9km)
- 1999.03.04 철도고객봉사실 원스톱 민원체제 구축
고객중심경영혁신기획단의 고객의소리, 총무과
민원행정 영업국 PC통신 등의 3원화된 민원접수창구
를 일원화
- 1999.05.18 전라선 개량 1단계 개통
임실,금지-압록,구레구-동순천 간 64.3km
- 1999.06.01 열차운행 다이어 전면 조정
노후화된 통일호 무궁화호로 승격, 노선별 열차운행
시각 통일
- 1999.07.20 '복합수송열차(CarRail)' 성북-강릉간 첫 운행
- 1999.09.14 '사이버객차(CYBER TRAIN)'와 '바둑객차' 운행
- 1999.09.15 '99년 고객만족 경영대상'에서 철도청 전사부문
'대상' 수상(한국능률협회 주최)
- 1999.09.18 외국인전용패스(KORAIL PASS, KR)발매
- 1999.09.18 한국철도 100주년 '철도의 날' 기념식
김종필 국무총리외 각계인사 2천여명 참석
- 1999.11.12 5급승진심사 다면평가 첫 실시
- 1999.12.01 신용카드 기차표 예약 실시
- 1999.12.01 일본식 철도용어, 어려운 한자 등 쉬운 우리말로 개정
- 1999.12.22 제25회 전국품질경영대회에서 철도청 품질경영상
수상(한국표준협회 주최, 기획예산처와 산업자원부
후원)
- 1999.12.31 새천년 맞이 '해넘이 및 해맞이 열차' 성황 운행
- 2000.09.06 철도서비스아카데미 개관
- 2000.09.18 외국인전용패스(KR PASS) 일본 판매 개시
- 2000.10.10 인터넷홈페이지에서 각종 민원서류 발급
- 2000.11.07 제2회 5급승진 다면평가에서 첫 내부승진 여직원
나옴
- 2000.11.14 비둘기호 열차 마지막 운행(정선선 증선-구절리)
- 2000.12.01 경부·호남선 2개 노선 새마을호 열차에서 안동
간고등어 등 지역특산품판매(12.22일 전노선
새마을호 확대)
새마을·무궁화호 일부 객실 휴대폰 사용금지한
'조용한 객실' 지정
경춘선 열차운행 전면 개정(열차운행횟수 증설,
노후 통일호 열차→도시통근형 통일호 교체 등)
- 2000.12.21 철도사상 첫 특별승진 실시(4급 1명, 5급 5명의
승진예정자 선정)
- 2001.01.01 철도박물관 한국철도신문에 민간 위탁경영
- 2001.02.05 철도물류정보 웹사이트 개설
- 2001.02.28 철도청 '- 2000행정서비스헌정 평가'에서 대상 수상
- 2001.03.01 외국어(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안내방송
무궁화호 확대 실시
- 2001.03.23 철도회원 '승차권 대금 인터넷 결재' 및
'바로티켓팅' 서비스 실시
- 2001.03.27 인천공항철도(인천국제공항-서울역) 기공식
- 2001.04.03 제22대 손학래 철도청장 취임
- 2001.04.05 새마을호(5호차 1~30호석) 어린이 동반객차 운영
- 2001.05.01 지역특산품 판매 무궁화호 확대
- 2001.05.08 새마을호 '어린이도우미제' 실시
- 2001.05.14 제25대 박철규 차장 취임
- 2001.05.21 익산보선사무소 신설
- 2001.05.22 중앙선 양수-원주 복선전철 건설 착공
- 2001.06.04 철도사상 첫 여성역장(부천역) 탄생
- 2001.07.10 호남선 송정리-다시 신선설 운행
- 2001.07.26 철도 관련 법령 인터넷홈페이지에서 공개
- 2001.07.31 호남선 전철화 사업(대전-논산 신도안) 조기 착공
- 2001.08.03 철도습득물 주인 찾아주기 서비스 실시
- 2001.08.10 경인선 백운역사 영업개시
- 2001.08.28 광주도심철도(효천-서광주-송정리) 11km 이설 준공
- 2001.09.01 철도 기관명칭 새로 변경(보선사무소→시설관리
사무소 등)
- 2001.09.06 호남선 전철화사업 익산-광주 구간 착공
- 2001.09.30 경의선 최종착역 임진강역 신설열차 운행
- 2001.10.17 경인전철 동암역사 영업개시
- 2001.10.26 호남선전철화 광주-목포 구간 착공
- 2001.11.01 철도용어 및 현업직원 직명 개선
- 2001.11.30 경인선 도화역 영업 개시
- 2001.12.17 호남선 송정리-임성리간 복선철도 개통
- 2002.02.05 호남선 전철화 전담조직 '철도청 전철건설사업소' 개소
- 2002.02.20 부시 미대통령 경의선 남측 최북단역 도라산역 방문 침목에 서명
- 2002.03.15 경인선 부평-주안간 2복선 전철개통
- 2002.03.26 서울,대전,광주,부산,영주 등 5개역에서 월드컵 대비
'철도인 다짐한마당 개최'
- 2002.04.11 경의선 도라산역 개통과 함께 열차운행
- 2002.05.01 어린이 홈페이지 '키즈코레일(http://kids.korail.go.kr)' 오픈
- 2002.05.27 2002국제대회 개최기념 철도카드 출시(12월까지 한시판매)
- 2002.05.28 순천향대학교와 공동으로 강의실 객차 시범 운행
- 2002.06 철도 103년 첫 여성 여객전무 2명 탄생
- 2002.09.18 남북간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 2002.11.13 '2002 6시그마 경영품질대회' 공공서비스부문 경영대상 및 공공부분
최우수서비스상 수상
- 2002.12.24 '철도회관' 준공
- 2003.01.24 고속철도 개통 대비 새 심볼마크, 로고 등 발표
- 2003.04.03 철도청직장협의회 설립 총회
- 2003.04.30 경부선 수원-병점 간 2복선 전철개통
- 2003.08.11 동해남부선 부산-울산 간 복선 전철 기공식
- 2003.08.14 고속철도 서울-대전 구간 시운전
- 2003.08.14 철도 '안전운행다짐' 결의 대회
- 2003.09.03 분당선 선릉-수서 간 복선 전철 개통
- 05.02.01 한네트 무임 승차권 발매단말기 설치
- 05.02.18 침대칸 전라선만 운행(금토일)
- 05.04.01 부산진 여객취급 안함(폐쇄)
- 05.04.01 홈티켓 발권시작(KTX)-->05.05.01 일반열차로 확대
- 05.04.01 부전->안동 통근열차 무궁화로 변경(#1222->#1662)
- 05.04.15 열차횟수증편(KTX주말추가), KTX일부, 장항선 구간 운행시간 조정
- 05.04.15 광역전철 정기권 확대 시행
- 05.04.21 KTX삼성패밀리카드 4월21일이후 신청자 바로타에서 등록,결제
- 05.04.25 KTX열차운행 일부구간 할인조정
- 05.04.29 패밀리카드 수령 후 연회비/종신회비 선택여부 가능
- 05.04.30 패밀리카드 발급 상황 조회
- 05.05.01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변경
- 05.07.10 새마을 특실요금 일반좌석운임의 15%조정, 음료제공 중지
1950년대 기차 승차권
1950년대 추석 서울역앞
1957년 철도 안전캠페인 포스터
1956년 영암선 개통 당시모습(석탄을 태워 움직이는 증기기관차)
1957년 광복 12주년 경축 열차
1957년 한강 제 3철교 열차 개통당시 모습
1963년 AID차관 디젤열차 개통 당시모습
1966년 경전선 개통
1978년 호남선 복선열차 개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