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실비아의집 원문보기 글쓴이: 民草
조병옥박사 묘 |
|
☞ 앞서 소개한 손병희선생과 여운형선생의 묘는 우연히 가 보았었고, 북한산 자락에 현대 정치인들의 묘가 여러 곳 있다고 해서 처음으로 조선시대의 묘가 아닌 현대 유명 인사의 묘를 가 보았습니다. 제일 먼저 조병옥박사 묘를 찾았습니다. ☞ 수유역에서 2번 마을버스를 타고 종점에서 내려서 산자락으로 조금 올라가면 차가 다닐 수 있는 좁은 길 이 나옵니다. 이 길을 따라서 10 여분 오르면 북한산 매표소가 나옵니다. 매표인에게 조병옥박사 묘소에 참배하러 간다고 하면 아마도 그냥 들어가라고 할 겁니다. 요즘 국립공원 입장료가 만만치 않아서... |
|
||
▲ 길가에 서 있는 문인석 | ▲ 조병옥박사 묘소 입구 | ▲ 4.19 혁명 사적비 |
☞ 매표소를 지나서 올라가다 보면 길 옆 왼쪽에 문인석이 한 점 있으며, 계곡의 작은 다리를 지나서 조금 더 올라 가면 상당히 넓은 공간(위 중간 사진)이 나옵니다. 그 끝의 계단까지 가면 좌측에 4.19 혁명 사적 비가 있습니다. |
|
||
▲ 묘소 좌측 전경 | ▲ 조병옥 박사 묘소 전경 | ▲ 묘소 우측 전경 |
☞ 계단을 오르면 묘역이 보이고, 20여 미터 앞에 다시 계단이 있습니다. 계단 아래 좌우에 호석 두 마리가 지키고 서 있습니다. 그런데 호석의 조각된 얼굴은 영 맘에 안듭니다. 조각된 얼굴이 애완견 중에서 얼굴 이 쭈글쭈글하고 못생긴 놈하고 똑 같습니다. ☞ 계단에 다 올라서면 한 20여미터 정면에 조병옥 박사의 묘소가 있으며, 묘역은 넓은 편입니다. 좌측 잔디 에는 망주석과 장명등이 멀직이 떨어져 있으며, 우측에는 추모비와 묘비(維石先生漢陽趙公炳玉之墓)가 있습니다. |
|
||
▲ 못생긴 호석 | ▲ 유석 조병옥 박사 추모비 | ▲ 묘비 |
☞ 묘 앞에는 향로석과 상석이 있으며, 봉분은 사각으로 둘레석을 높게 둘렀습니다. 현대 묘지는 특별한 것 이 없어서... - 2004.09.05 - |
|
|
▲ 조병옥 박사 묘 | ▲ 조병옥 박사 묘 뒤편에서 바라 본 묘역 전경 |
본관 한양(漢陽). 호 유석(維石).충남 천안에서 출생하였다. 1914년 연희전문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컬럼비아대학교에 입학하여 경제학을 전공하는 한편, 한인회·흥사단(興士團) 등의 단체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하였으며, 1925년 같은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획득하였다. 귀국하여 연희전문 전임강사로 있으면서 YMCA 이사와 비밀독립단체 그리스도신우회 회원이 되고, 1927년 신간회 창립위원·재정총무를 역임하였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의 배후조종자로 검거되어 3년간 복역하였다. 1932년 조선일보사 전무 겸 영업국장에 취임하였으며, 1937년 수양동지회사건으로 2년간 투옥되었다. 1945년 8·15광복을 맞이하여 송진우·장덕수 등과 한국민주당을 창당하고, 미군정청의 경무부장에 취임, 치안유지와 공산당 색출에 진력하였다. 1948년 대통령특사·유엔 한국대표 등을 역임하고, 1950년 6·25전쟁 때 내무장관으로 대구 사수의 진두지휘를 담당하였다. 그 후 대통령 이승만과의 의견충돌로 사직하고, 반독재투쟁의 선봉에 나섰다. 1954년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되고, 이듬해 민주당(民主黨) 최고위원이 되었으며, 1956년 대표최고위원에 선출되어 야당을 지도하였다. 1958년 제4대 민의원에 당선되고, 1960년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대통령선거에 입후보하였으나 선거를 1개월 앞두고 미국의 월터리드육군의료센터에서 가료 중 병사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발췌 - |
조병옥박사 묘 위치도 |
|
빨간 압정이 있는 곳이 조병옥박사 묘입니다. 지하철 4호선 수유역 3번 출구 앞에서 2번 마을버스를 타고 종점에서 하차합니다. 이 곳에서 북한산 매표소를 지나서 10여분 올라가면 조병옥박사 묘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