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밥 한 그릇의 시원(始原). 삶의 근간이 되는 '논'에 대한 이야기다. '논'은 우리의 주식인 쌀을 생산해내는 소중하고 중요한 공간이다. 제목의 뜻처럼 '논'은 식탁에 놓이는 밥 한 그릇의 출발점(始原)이다. 처음이 시작되는 곳의 의미를 담고 있는 '시원(始原)'이란 단어는 무심코 지나쳤던 '논'에 대한 감흥과 인식을 새롭게 불러일으킨다.
이 책은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로 유명한 평사리의 사계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두 번째 장에서는 논이 탄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논의 정감 가득한 이름과 특징을 소개한다. 세번째 장에서는 논농사의 처음과 시작을 자세하게 그리고 있다. 네 번째 장에서는 벼, 보리, 밀, 자운영 등 논에서 자라는 작물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논들이 농촌마을, 그리고 그곳의 농민들과 어떻게 맺어져 있는지 세 마을의 이야기를 통해 보여준다.
이 책의 저자는 점점 그 존재가 퇴색되어가는 '논'에 대한 안타까움을 정감어린 글과 아름다운 사진으로 되살려냈다. 농사짓는 소설가의 깊이있는 '논' 이야기와 사진기자가 틈틈히 찍은 '논' 사진이 어우려져, 서정적이면서 문화적인 관점에서 '논'을 다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
목차
책머리에 지상의 그 어떤 건축물보다 아름다운
무딤이들판 너머엔 산비탈 다랑논
한 배미 논의 기나긴 역사
'다루왕 6년에 논을 만들게 하였다' |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무거동 논 | 자연을 본뜬 인공 습지, 논 | 벼농사엔 연작 피해가 없는 이치 | 매일 밥은 먹어도 쌀 나오는 곳은 모른다 | 논이 떠맡고 있는 하고많은 일들 | 답과 수전 | 맡은 일이 막중하니 종류도 많다
논의 한살이
논두렁 태우기 - 불을 놓아 쥐를 잡다 | 가래질 - '농부의 힘드는 일 가래질 첫째로다' | 보리 밟기 - 꾹꾹 밟아줘야 잘 자라는 역설 | 보리 베기 - '보리 수확하기를 불 끄듯 하라' | 쟁기질 - '묵은 땅 갈아엎어 땅심을 살린다' | 소 길들이기 - '소 콧바람 소리에 봄날이 간다' | 신농씨가 가르친 쟁기 사용법 | 써레질 - '흙은 모름지기 부드러워야 한다' | 달빛 받은 무논의 호수 같은 아름다움 | 모내기 - 논농사의 꽃 | 논에 직접 볍씨를 뿌릴까, 모내기를 할까 | 논매기 - 호미로 두 번, 손으로 한 번 | 호미를 씻어두고 몸보신을 한다 | 가을걷이 - 들녘의 빛깔이 거둘 때를 알린다
논에서 자라는 작물들
벼 · 보릿고개를 없애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 통일벼 |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의 그 나락 | 늘 부족해서 애달팠던 주식, 쌀 | 남아돌던 것이 종내 모자라게 되는 세상 이치 | 보리 · 비둘기 편으로 보리 종자를 보내다 | 성질은 온화하고, 맛은 짜다 | 보리밥 먹고 방귀깨나 뀌는 집안 | 밀 · 보리와 함께 가장 먼저 재배된 작물 | 녹색혁명의 기원이 된 우리 토종 밀의 유전자 | '진가루'라 부르며 귀히 여겼던 밀가루 | 자운영 · 봄 들녘을 자줏빛으로 물들이는 거대한 꽃밭 | 미나리 · 얼음물을 견뎌야 제 향을 낸다 | 콩 · 논두렁 콩은 소작료가 없다
논과 마을 그리고 땅의 사람들
쟁기질하던 소가 바다로 떨어진다 남해 가천마을 | 가을 단풍보다 아름다운 황금빛 계단 구례 중대마을 | 섬의 자연이 탄생시킨 구들장논 완도 청산도
맺음말 논이 내게 말을 걸었다
상세이미지
출판사 서평
논은 밥 한 그릇이 비롯되는 곳이며, 밥 한 그릇은 우리의 일상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이 책은 우리의 삶이 비롯되는, 그러나 이미 우리 삶에서 실물감이 엷어진 논을 아름다운 사진과 정감 어린 글로 되살려낸 책이다. 또한 몇몇 어린이책을 제외하면 논을 서정적이며 문화적인 눈으로 풀어낸 첫 번째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수천 년 동안 논농사를 중심으로 엮인 농경문화 속에서 살아왔다. 그러나 논두렁을 태우고 쥐불을 놓고 망월을 돌리던 추억, 타작마당에 귀청 터지게 울리던 꽹과리 소리, 날라리 소리는 아주 먼 기억의 끄트머리에나 존재할 뿐이다. 수천 년을 내려오면서 우리의 유전자 속에 각인되었을 논의 문화가 이제 10~20년이면 노인들의 기억과 함께 스러져버릴 운명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 책은 그 마지막이 오기 전에 우리 삶의 시원인 논을 기록하고 증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사라져가는 것을 기록하고 아름다움을 재발견하기
이 책에는 푸르른 벼가 자라는 괴산 어느 산골의 삿갓배미가 매우 인상적인 모습으로 잡혀 있다. 한 배미씩 늘어나는 논이 기꺼워 논일을 마치고 돌아갈 때마다 논배미의 숫자를 세어보는 게 낙이었던 농부가 어느 날 한 배미가 모자라는 논을 세다 세다 지쳐 그만 돌아가려고 삿갓을 집어들었더니 간 곳 없던 한 배미가 들어 있었다던 그 삿갓배미.
돌밭 천지인 섬에서 방에 구들을 놓듯 바닥에 구들을 놓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만든 청산도의 구들장논. 그 논에서 '겁나게 농사를 많이 지어' 육지로 쌀을 실어 보냈던 섬사람들의 억척이 쓸쓸한 묵논으로 무화(無化)된 현장도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이대로 몇 년이 더 흘러가면 그곳이 논이었다는 사실도 까맣게 잊혀지고 말 현장.
남해안의 산비탈을 타고 내린 논이 바닷가에 이르면 논두렁에 앉아 낚시를 할 수 있다는 100층 계단논도 머지않아 책 속의 풍경으로나 남을 우리 논의 모습이다.
나아가, 봄 농사가 시작될 무렵 쟁기질로 뒤집혀진 흙덩이 위에 어여쁘게 피어난 자운영 꽃밭, 써레질로 노골노골하게 삶아진 무논이 달빛을 받아 호수처럼 빛나는 풍경, 자연과 인간의 형편이 허락하는 대로 이어붙인 다랑논의 행렬이 빚어내는 절묘한 균형미.... 논과 논농사에 대한 지은이의 깊숙한 애정은 단지 사라져가는 풍경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가 무심하게 지나쳤던 논의 아름다움에도 진득한 눈길을 주고 있다.
우리는 논에 대해 얼마나 아는가
논은 쌀을 얻기 위한 오랜 노력, 차라리 위대한 전쟁이라고 불러 마땅할 오랜 역사에서 얻은 소중한 전리품이다. 그 논이 밥 한 그릇의 시원(始原)임을 풀어서 보여주는 이 책은 먼저 무딤이 너른 들과 산비탈 다랑논이 공존하는 평사리의 사계에서 출발한다.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였다는 점에서 평사리는 논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맞춤한 장소일 터, 그러나 너른 무딤이들판은 제자리를 지켜도 만석꾼의 꿈을 꾸는 사람은 더 이상 없다는 조금 쓸쓸한 이야기를 통해 논이 처한 현실을 드러낸다(부의 척도가 땅이 되었을지언정 볏섬이 아닌 지는 이미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장에서는 자연을 본뜬 인공습지인 논이 어떻게 해서 생겨나게 되었는지 역사적 과정을 훑고 '맡은 일이 막중해서 종류도 많았던' 논의 정감 가득한 이름과 특징을 소개한다.
무논, 보리논, 구들장논.... 장구배미, 우묵배미, 외배미.... 그 논들에서는 무슨 일이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세 번째 장 '논의 한 살이'는 논두렁 태우기부터 가래질, 보리 밟기, 보리 베기, 쟁기질, 소 길들이기, 써레질, 모내기를 거쳐 가을걷이까지 논농사의 과정을 세심하게 그리고 있다. 농가에서 자라지 않은 사람들에게 특히 공부가 될 디테일이 가득하다.
그런데 논에서는 벼만 자랄까? 학창 시절 "남부 지방은 보리와 이모작을 하고 운운" 정도를 배운 게 전부인 대다수 사람들에게는 봄 들녘을 온통 붉게 물들이는 자운영 이야기도 새로울 것이다. 벼, 보리, 밀, 자운영, 미나리, 콩이 네 번째 장 '논에서 자라는 작물들'로 소개된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 논들이 농촌마을, 그리고 그곳에서 살고 있는 농민들과 어떻게 맺어져 있는지 세 마을의 이야기를 통해 보여준다. '논, 마을 그리고 땅의 사람들'은 쟁기질하던 소가 깜빡 졸면 바다로 떨어진다는 남해 가천마을, 가을단풍보다 아름다운 황금빛 계단을 가진 구례 중대마을, 구들장논으로 섬의 팍팍한 숙명을 헤쳐나간 완도군 청산도의 이야기다.
외로운 다랑논처럼 묵묵히 밀고 온 작업의 결과물
마치 그 자신이 말없고 외로운 다랑논인 양, 오랫동안 그 쓸쓸함을 사진과 글로 여투어낸 최수연은 농민신문사에서 내는 월간지 <전원생활>의 사진기자로 일하면서 틈틈이 논 사진을 찍고 자료를 모아왔다. 그런 지은이의 오랜 공력으로도 미처 못다 표현한 논 이야기는 농사짓는 소설가 최용탁이 머리글과 사진설명으로 풍성하게 풀어놓아 이 책에 깊이와 아름다움을 더했다.
논에 삶의 바탕을 두고 수천 년을 살아왔으면서도 일반 독자에게 논 이야기를 전달할 제대로 된 책 한 권 없는 현실에서 이 책이 그 문을 여는 구실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사람이 자연과 더불어 살면서 이루어낸 수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