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문경훈(緇門警訓) / 雜錄(잡록)
당수아법사청송법화경가(唐修雅法師聽誦法華經歌)
뫼봉색조 침침한데 소나무에 엉긴안개,
빈숲아래 여기저기 평탄찮은 바위덩이.
반석위로 가부좌승 석장하나 비껴놓고,
백련경을 송하는데 새벽부터 해저물녘.
오른쪽엔 범발자국 왼쪽으론 이리자취,
열조각에 다섯조각 기화묘초 흩날리네.
우연히도 서로보니 아직깊이 알지못해,
알진대!
예전사람 이란말가 지금사람 이란말가,
담언이란 말이던가 담익이란 말이던가.
내이경전 말듣건대 깊은참뜻 있다하니,
깨달음의 황제께서 오묘하다 칭하셨다.
눈을닫고 마음앉혀 자세히들 들어보라,
참된선정 우락덩이 방울져서 스며든다.
이것이곧 부처님뜻 이것이곧 조사골수,
나의참된 마음이요 경전속의 참된의미.
손퉁기면 알것이고 손을들면 알것인데,
그대앞의 지금바로 이것임도 못깨닫네.
참크기도 하여지다 참기특도 하여지다,
공왕께서 무리중생 얻어지게 하는구나.
일만팔천 모든국토 밝디밝게 비춰주니,
비추는곳 국토마다 황금빛을 짓는도다.
사생육도 달리없고 한빛줄기 가운덴걸,
미친이는 돌아서며 미륵에게 되묻는다.
나도역시 당년에는 텅빈진리 배워서는,
단박무심 얻고나서 곧장쉬려 하였더니,
이경전의 외는소리 오늘직접 들어보니,
당나귀가 끄는수레 바른과녁 아닌것을.
나도역시 당년에는 산문밖을 나서잖고,
한걸음도 세상티끌 안젖고자 하였는데,
이경전의 외는소리 오늘직접 들어보니,
걸음걸음 딛는곳이 보물창고 였던것을.
나도역시 당년에는 읊조리기 좋아함에,
가만가만 더듬는것 선정방해 한댔더니,
이경전의 외는소리 오늘직접 들어보니,
붓과벼루 어이하여 참된성품 방해되리.
나도역시 당년에는 아이들과 놀이하며,
그렇게들 지낸시간 허비했다 하였더니,
이경전의 외는소리 오늘직접 들어보니,
모래톱을 쌓던것도 작은일이 아니로세.
지난날에 내가일찍 산과물로 노닐적에,
다른곳의 산과들은 타향이라 여겼더니,
이경전의 외는소리 오늘직접 들어보니,
산과하천 둘러봄에 한치땅도 없던것을.
예전에는 내마음이 허둥대던 잔나비라,
쇠사슬로 얽어매어 구속하려 들었더니,
이경전의 외는소리 오늘직접 들어보니,
시방세계 어느하나 끄달릴것 없던것을.
이경전의 한구절을 선사께서 욀때마다,
구절구절 우락덩이 농익어서 씹혀오니,
그우락의 맛이란게 진기하고 감미로와,
입술에도 있지않고 치아에도 있지않고,
수고로운 중생들의 마음에만 젖어드네.
이경전의 한구절을 선사께서 욀때마다,
구절구절 허연소가 걸음걸음 움직이니,
그흰소의 걸음걸이 빠르기가 바람같아,
서쪽에도 있지않고 동쪽에도 있지않고,
덧없는삶 중생들의 날마다에 있더구나.
매일쓰되 모르나니 그얼마나 괴로운가,
술로가득 오장이요 밥이그득 육부로다.
장자소리 다급해도 돌아볼리 만무려니,
그가바로 귀머거리 그가바로 눈뜬소경.
세속인중 어느누가 귀가밝지 않으리오,
귀는밝되 경전앞만 다가서면 귀머거리.
세속인중 어느누가 눈이밝지 않으리오,
눈은밝되 경전앞만 다가서면 당달봉사.
귀밝을곳 귀먹은채 눈밝을곳 눈감은채,
도르랜가 물결인가 태어나고 죽어가고.
세속인중 혹시라도 선사음성 들을지나,
누가있어 혹시라도 선사마음 알겠는가.
세속인중 혹시라도 선사모습 볼지라도,
누가있어 혹시라도 선사이름 알겠는가.
선사이름 의사대왕 부처님령 시행하니,
다가와서 중생들의 마음의병 치료하네.
미혹된자 깨워주고 미친자는 안정시켜,
때낀자는 깨끗하게 삿된자는 올바르게,
평범한이 이끌어서 성스럽게 올려주네.
이같기에 사람에다 하늘마저 공경하며,
또한용이 찬탄하고 귀신마저 찬탄하며,
더군다나 부처님도 찬탄하여 읊조리니,
깨달음에 등진이들 온갓티끌 야합한이,
어찌아니 조아리고 어찌아니 귀의하리.
- 치문경훈(緇門警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