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는 인종과 지역에 관계가 있을까?
의료나 방역 전문가는 아니지만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상황을 외형적으로 보면 인종과 지역에 따라 감염도가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동아시아 국가와 미국 유럽을 비교해 보면 흥미로운 점이 많다.
대만 홍콩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코로나19 상황은 상대적으로 아주 좋다. 특히 대만은 인구가 2360만명인데, 4월17일 기준 코로나19의 확진자는 395명, 사망자는 6명에 불과하다. 대만은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강력한 봉쇄와 통제를 통해 확산을 막았다고는 하지만, 코로나19 발생국인 중국과의 밀접한 관계 등을 생각할 때 확진자와 사망자가 무시할 정도로 적다.
한국은 신천지교회라는 돌발변수가 있었음에도 4월 17일까지 확진자 10.635명, 사망자 230명이다. 한국도 인구가 5200만명이고, 강한 봉쇄정책을 시행하지 않은 점과 중국과의 교류 등을 생각할 때 성공적으로 수습되고 있는 모습이다. 중국은 통계의 신뢰성이 떨어지지만 확진자 82,695명 사망자4,632명으로 14억명이라는 인구를 고려할 때 잘 관리된 편이다. 일본은 동아시아 국가 중 가장 어설픈 정책을 시행했음에도 확진자 9849명 사망자 207명으로 나왔다. 인구 1억3천만명 대비 많은 숫자는 아니다. 물론 적은 검사로 인해 숨어 있는 환자가 많아 앞으로 신규 확진자나 사망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지만, 미국이나 유럽만큼 심할 것 같지는 않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발생지일 가능성이 큰 동아시아 지역에 비해, 미국과 유럽은 코로나19 감염 상황이 더 심각하다. 미국은 확진자가 70만명에 이르고 사망자가 3만7천명을 넘었다. 절대 수는 세계 최고이고, 3.3억 인구대비로도 세계 상위권이다. 유럽은 나라에 따라 상황이 다르지만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주요국은 외출금지 상점폐쇄 국경봉쇄 등의 강력한 통제에도 불구하고 발병률 치명률 등이 아주 높다. 특히 국민소득 세계 최상위 국가인 스위스 룩셈부르그의 발병률이 세계 최상위 수준이다. 이들 국가가 소국이기 때문에 검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일 수 있지만, 그래도 코로나19 환자가 너무 많다.
생활수준이나 의료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미국과 유럽에 코로나 19나 환자가 많은 이유가 무엇일까? 유럽이나 미국 사람이 인종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취약한 것일까? 이것은 아닐 가능성이 크다. 미국에서 흑인들의 확진자와 사망자 비율이 높고, 아랍 국가인 이란에서도 확진자와 사망자 많기 때문이다. 인종보다는 음식과 인사문화, 개인위생 등 생활습관의 차이가 코로나19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 같다.
먼저 음식과 관련해서는 야채를 적게 먹고, 햄 소세지 등 가공식품과 육류 등 포화지방이 많은 식품을 많이 먹는 식습관이 미국과 유렵사람들을 바이러스의 공격에 취약하게 만들었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가공식품과 포화지방이 많은 음식은 인체의 면역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인사문화는 미국 유럽 아랍의 경우 어느 정도 친한 사람들을 만나면 포옹과 얼굴 비비는 것이 일상이다. 이런 인사 방법은 코로나19 전파에 치명적이다. 그리고 독일 벨기에 프랑스 등 유럽 거주경험에 비추어 볼 때 유럽 사람들의 몸씻기 등 개인위생 수준이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에 비해 높지 않다. 여기에다 코로나19의 유행 초기 미국과 유럽 정부의 미온적 대응, 국민들의 개인주의적 행동이 결합되어 이들 국가의 상황을 더 악화시킨 것 같다.
이곳 도고에서의 농촌생활은 신선한 야채와 과일 중심의 식단과 야외에서 하는 적당한 노동뿐 아니라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어 있어 코로나19 예방에는 유리해 보인다. 한국은 조만간 정상 경제활동으로 복귀할 것이다. 개인위생과 사회적 거리두기 이외에 육류 소비를 줄이고,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는다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이 될 듯하다. 특히 야채소비 확대는 개인건강 뿐 아니라 농촌경제와 국민경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가계의 생활비도 줄일 수 있다.
“이 글은 의료 비전문가가 경험과 상식에 근거해 쓴 개인적 의견이니 편하게 보아 주시기 바랍니다.”
첫댓글 드뎌 오늘은 확진자수가 한자리.. 8명입니다.. 그렇치만 사회적 거리두기
아직은 계속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