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주청의사랑방이야기 26 흉년이 들어도 지독한 가뭄에도
어느날 동학란 중 도망쳤다가 바짝바짝 마르지만 천석꾼 부자 황 첨지는 빙긋이 웃는다. 지난해는 지독한 가뭄으로 보리는 싹도 나지 않았고 콩은 겨우 난 싹이 메말라 고개를 꺾었다.
모가 하얗게 쪼그라들었다. 황 첨지네 논밭이라고 비가 뿌렸을 턱이 없지만 그는 희희낙락했다. 그 전해에 추수해놓은 보리섬, 콩섬, 나락가마가 곳간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것이다. 그러나 황 첨지는 곡식을 내다 팔지 않는다.
줄줄이 엮여 들어온다. 보릿고개까지 갈 것도 없이 동짓달에 벌써 양식이 떨어진 집이 속출하면 황 첨지는 비싼 장리쌀을 놓는다. 집집이 우선 굶어 죽지 않으려고 천수답이며 밭뙈기를 담보로 황 첨지 한테서 곡식을 빌려다 먹으면 십중 팔구 그 논밭은 황 첨지에게 넘어간다. 황 첨지는 장사에도 밝아 새우젓 배를 통째로 샀다가 새우젓이 달릴 때 야금야금 내놓아 폭리를 취하기도 한다. 뒷짐을 지고 저잣거리를 휘젓고 다니며 손윗 사람 에게도 하대를 하고 여염집 부녀자도 하녀 취급한다. 손아래 반미치광이 백가다. 백가는 허구한 날 술에 취해 부녀자들 이목도 두려워 않고 노상방뇨를 하고 주막에서 외상술 안 준다고 독을 깨고 평상을 엎는다. 아이들도 돌팔매를 던지는 개차반 백가를 황 첨지는 백 대사 님이라 부르며 깍듯이 모신다. 백가는 생김새도 볼품없다. 안대를 차고 박박 얽은 곰보에 염소수염을 달고 쭈그렁 갓에 두루마기에는 땟국물이 흐른다. 단 하나 성한 곳은 남은 눈이다. 쏘아보는 눈빛엔 광채가 빛난다. 그에게 남다른 예지력이 있다는 걸 눈치챈 사람이 황 첨지다. 어느 날 황 첨지네 드넓은 마당에서 타작이 한창인데 백가가 나타나 막걸리 한잔을 얻어 마시더니 타작을 멈추고 설거지를 하라고 고래고래 고함쳤다. 곧 폭우가 쏟아진다는 것이다. 가을날에 폭우라니, 백가 네놈이 미쳐도 단단히 미쳤구나. 한잔 얻어 마셨으면 빨리 꺼져라.” 황 첨지가 백가를 쫓아내고 나자 산 너머서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폭우가 쏟아져 동네 개울이 나락으로 꽉 찼다. 모두가 떠내려가는 나락을 막느라 야단인데 멍하니 서 있던 황 첨지는 대문 밖으로 달려 나가 아랫 동네 길가 집 처마 밑에서 비를 피하고 있는 백가에게 쏟아지는 비를 맞으며 큰절을 올렸다. “대사님, 소인의 무례함을 용서해주십시오.” 백가는 재밌다는 듯이 낄낄 웃었다. 큰 이문을 남긴 것도 백가의 귀띔이고, 지난가을에 소금을 천가마나 사놓았 다가 봄에 곱절에 판 것도 백가 덕이고, 안동포를 싹쓸 이했다가 떼돈을 번것도 백가의 앞날을 보는 눈 덕택 이다. 어느 날 백가를 사랑방에 모셔놓고 황 첨지가 넌지시 말을 건넸다. “대사님, 장삿거리가 없습니까?” “만냥만 내놔” 한다. 황 첨지가 눈을 크게 뜨고 “만냥이나…?” 했지만 여태 백가 덕에 번 돈이 그뿐이랴. 만냥을 받아든 백가는 바람처럼 사라졌다. 얼마 후 동학란이 벌판의 불길처럼 번지더니 이곳에도 들이닥쳤다. 나오고 뒷산으로 도망쳤던 악덕지주 황 첨지도 동학군에 붙잡혀 광장에 꿇어앉았다. “안 됩니다. 이러시면 안 되오. 황 첨지 어른은 우리에게 은덕을 베풀었소.” 돌에 맞아 죽을 줄 알았던 황 첨지는 무슨 영문인지 모른 채 풀려났다. 원한을 품은 집을 찾아 다니며 황 첨지 이름으로 전대를 하나씩 안겨줬던 것이다. 가야산국립공원ㅡ cafeapp
우정ㅡ cafeapp 사랑의대화ㅡ cafeapp 가을아침 - 양희은 노래ㅡ (통기타 라이브)
=PLpQI9c6V1rflve8vaWDVi2RugykkgcIXl 즐감하세요 DOC와춤을ㅡ =cafeapp 거짓말 ㅡ =cafeapp 나무와새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