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표면의 색이 어두울수록 빛 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하며, 흡수되는 빛은 ⓐ열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흔히 태양의 복사열을 흡수하지 않기 위해서는 흰색 옷을 입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사막의 유목민인 베두인 족은 검은색 옷도 입는다. 어두운색의 옷도 밝은색의 옷만큼 햇빛 아래에서 쾌적할까?
베두인 족이 사용하는 검은색 직물과 흰색 직물을 비교해 보자. 검은색 옷을 입은 사람이 사막의 태양을 마주하고 있을 때, 옷이 흡수하는 에너지는 1m2 840W인 반면, 적외선 복사에 의한 에너지 방출은 540W이다. 흰옷이 흡수하는 에너지는 1m2 650W인 반면에 530W를 방출한다. 즉 흰색 천은 검은색 천보다 2.5배 정도 적게 에너지를 흡수하는 셈이다. 옷이 에너지를 많이 흡수하면 체온이 올라갈 수 있으므로 검은색 옷은 자칫 위험해 보인다. 그런데도 베두인 족은 검은색 옷을 입는다.
이유를 알기 위해 그들의 천막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천막 역시 검은색이지만 쾌적하다. 천막이 쾌적한 것은 천막으로 만들어지는 그늘과 천막의 통풍 시스템이라는 두 가지 물리 작용 때문이다. ㉠검은색의 천막은 동일한 두께의 흰색 천막보다 훨씬 더 짙은 그늘을 만들어 낸다. 하지만 태양 때문에 온도가 많이 올라간 자체 열을 천막 내부의 공기에 전달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천막을 활짝 열어 둔다. 그러면 검은색 천과 접촉한 공기는 온도가 상승하고 팽창하며, 주변 공기보다 밀도가 작아져 위로 올라간 다음 천막을 빠져나간다. 그 공기가 천막에서 전달된 열을 실어 가면서 덜 더운 외부 공기를 천막 안으로 끌어들인다. 이렇듯 바람이 불지 않아도 천막의 공기가 일정하게 교체되는 이유는 대류 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천막 때문에 베두인 족은 검은색 옷에 열이 축적되어도 덜 괴로운 걸까?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햇빛 아래에서 어떤 옷이 쾌적한지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늘 주변과 같은 온도를 유지하는 천막과 마찬가지로, 검은색 옷도 외부 온도가 어떻든 간에 체온을 한결같이 37℃로 유지시켜 주는데, 그것은 검은색 옷이 외부 열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신진대사로 생성된 열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발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땀은 피부에서 열을 흡수해 증발된다. 체온이 상승할 때는 어떻게든 땀을 많이 내서 올라간 체온을 상쇄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땀을 더 쉽게 증발시켜 시원한 느낌을 주는 옷이 쾌적한 옷인 것이다.
베두인 족은 태양, 바람, 모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서 발끝까지 감싸는 큼지막하고 헐렁한 옷을 입는다. 반면에 셔츠와 바지처럼 피부에 직접 닿는 속에 입는 옷은 밝은색 옷을 입는다. 그러면 바깥에 걸치는 옷은 피부에 직접 닿지 않게 된다. 이렇게 겹쳐 입으면 옷 사이에서 공기가 쉽게 순환하게 된다. 겉옷 때문에 덥혀진 공기는 두 겹의 옷 사이에서 위로 올라가고, 덜 더운 주변 공기가 옷 아래로 들어오게 된다. 대류 운동으로 두 겹의 옷이 송풍기처럼 기능하면서 뜨거운 공기를 천 사이나 목둘레 등으로 몰아내는 것이다. 실제로 피부 온도는 물론 옷 밑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도 겉옷의 색상에 좌우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검은색 옷은 밝은색 옷보다 더 많은 열에너지를 흡수하지만, 대류 현상이라는 유익한 효과를 발휘해 여분의 에너지를 상쇄함으로써 이를 보상한다.
2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상반된 관점을 과학적 입장에서 절충하여 종합하고 있다.
② 가설을 제시한 다음 병렬식으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③ 실험 결과로부터 대상에 들어 있는 과학적 이론을 이끌어 내고 있다.
④ 통념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해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다.
⑤ 현상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과학적 시각에서 모색하고 있다.
22. ㉠의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검은색이 흰색보다 열을 잘 차단하기 때문이다.
② 검은색이 더 많은 빛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③ 흰색이 검은색보다 더 많은 열을 축적하기 때문이다.
④ 표면의 색이 어두울수록 빛 에너지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이다.
⑤ 표면적이 작을수록 흡수하는 빛 에너지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
2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3점)
(보기)

① ⓐ는 ⓑ에 비해 온도가 더 높다.
② ⓑ는 ⓐ에 비해 밀도가 더 크다.
③ (가)의 색이 어두울수록 ⓐ와 ⓑ의 순환이 더 원활하다.
④ (가)는 그늘을 만들고 내부의 공기를 일시적으로 덥히는 역할을 한다.
⑤ (나)의 색이 어두울수록 즉각적으로 체온이 내려가게 된다.
24. ⓐ의 ‘로’와 그 쓰임이 가장 유사한 것은?
① 얼음이 물로 되었다.
② 이 집은 나무로 지었다.
③ 범인이 뒷길로 빠져나갔다.
④ 우리는 그를 대표로 뽑았다.
⑤ 이번 겨울에는 감기로 고생했다.
2014년 EBS수능완성국어영역 국어 A형
[수능완성 국어영역 국어 A형 실전편]
실전 모의고사 1회
과학 (21~24)
‘사막의 복장’
지문 이해하기
(해제) 이 글은 일반적인 상식과는 달리 사막의 베두인 족이 검은색 옷을 입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검은색이 흰색보다 태양의 빛 에너지를 많이 흡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막의 베두인 족이 검은색의 옷을 입는 이유는 대류 현상으로 인해 쾌적하기 때문이다. 베두인 족의 검은색 천막은 더워진 공기를 위로 올려 보내고 덜 더운 외부 공기를 천막 안으로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공기를 교체하기 때문에 천막 안을 쾌적하게 만든다. 마찬가지로 검은색 옷도 안에 입는 옷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들기 때문에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베두인 족이 검은색 옷을 입는 것이다.
(주제) 사막의 베두인 족이 검은색 옷을 입는 이유
흐름 파악하기
* 1문단: 베두인 족이 검은색 옷을 입는 것에 대한 의문 제기
* 2문단: 검은색 옷을 입었을 때의 위험성
* 3문단: 검은색 천막이 쾌적한 이유
* 4문단: 쾌적함을 주기 위한 옷의 조건
* 5문단: 베두인 족의 검은색 옷이 쾌적한 이유
21. 내용 전개 방식 파악(답) ④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④ 확인 1: 통념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
1문단에서 ‘우리는 흔히 태양의 복사열을 흡수하지 않기 위해서는 흰색 옷을 입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사막의 유목민인 베두인 족은 검은색 옷도 입는다.’라고 하여 통념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확인 2: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설명
이런 통념에 대해 3문단에서 검은색 천막으로 만들어지는 그늘과 천막의 통풍 시스템이라는 두 가지 물리 작용을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4문단에서는 검은색 옷을 입었을 때의 발한 과정을 통해 쾌적함을 얻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과학적 입장에서 절충하여 종합
어떤 현상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 이를 과학적 입장에서 절충하거나 종합한 부분을 찾을 수 없다.
② 확인: 가설을 제시
특별히 어떤 가설을 내세운 부분을 찾을 수 없다.
③ 확인: 실험 결과로부터
현상에 담겨 있는 과학적 원리를 설명하고 있을 뿐, 어떤 실험 결과를 제시한 것은 아니다.
⑤ 확인: 이에 대한 해결책을 과학적 시각에서 모색
어떤 현상을 과학적 시각으로 해명한 것은 맞지만,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과학적 시각에서 모색한 것은 아니다.
22. 생략된 정보 추론(답) ④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④ 확인: 색이 어두울수록 빛 에너지를 많이 흡수
표면의 색이 어두울수록 빛 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한다. 그러면 빛이 적게 통과하여 그늘이 더 짙어지게 되는 것이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검은색이 흰색보다 열을 잘 차단
검은색은 흰색보다 열을 더 흡수한다.
② 확인: 검은색이 더 많은 빛 에너지를 방출
검은색은 흰색보다 더 많은 빛 에너지를 흡수한다.
③ 확인: 흰색이 검은색보다 더 많은 열을 축적
흰색은 검은색보다 빛 에너지를 더 잘 반사시키기 때문에, 열을 덜 축적하게 된다.
⑤ 확인: 표면적이 작을수록
천의 색과 표면적은 별반 관련이 없다.
23. 구체적 상황에 적용하기(답) ⑤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⑤ 확인: 색이 어두울수록 즉각적으로 체온이 내려가게 된다.
옷의 색이 어두울수록 더 많은 열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그래서 일시적으로 체온이 올라간다. 하지만 땀을 많이 흘리면 땀이 체온의 열을 흡수해서 증발하기 때문에 결국 더 쾌적한 느낌을 주게 된다. 따라서 옷의 색이 어두울수록 즉각적으로 체온이 내려가게 된다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온도가 더 높다.
3문단의 ‘그 공기가 천막에서 전달된 열을 실어 가면서 덜 더운 외부 공기를 천막 안으로 끌어들인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② 확인: 밀도가 더 크다.
공기의 온도가 낮을수록 밀도는 커진다.
③ 확인: 색이 어두울수록
천막의 색이 어두울수록 태양의 열을 더 많이 흡수하게 된다. 그러면 공기가 더 빨리 뜨거워지면서 천막의 위 공기와 아래 공기의 순환이 더 원활해진다.
④ 확인: 공기를 일시적으로 덥히는 역할
천막은 그늘도 만들지만 천막 안의 공기를 덥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24. 어휘의 문맥적 의미 파악(답) ①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① 확인: 물로 되었다.
ⓐ의 ‘로’는 빛이 열로 바뀌었다는 의미로,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①도 얼음이 변해서 물이라는 결과가 되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② 확인: 나무로 지었다.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고 있다.
③ 확인: 뒷길로 빠져나갔다.
‘움직임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④ 확인: 대표로 뽑았다.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고 있다.
⑤ 확인: 감기로 고생했다.
‘어떤 일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