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점은 중심사 집단시설지구와 원효사 집단시설지구로 다양한 코스를 잡을 수 있다.
안양산에서 백마능선을 거쳐 무등산으로 오르는 코스는 교통이 불편하지만 단체산행의 경우 가을 억새산행과 봄의 안양산 철쭉산행으로 좋다.
증심사 코스
증심사 집단시설지구(제1수원지 앞) 출발지점은 광주시 운림동에 위치한다.
이곳 등산코스들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자기 능력에 맞는 코스를 택하여 산행할 수 있다.
이 출발지점은 광주도심에서 불과 4km이내의 거리로 가장 접근이 용이한 곳이기에 마치 무등산의 관문처럼 인식되어 있다.
등산객이 쉽게 즐겨찾는 이곳은 교통이 편리하고, 가까우면서 다양한 코스가 있어 남녀 노소 뿐만 아니라 가족단위 등산도 많다.
특히 요즈음에는 외지 등산객이 차츰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향락철에는 무등산 등산 인구의 3분의 2이상이 이곳으로 몰려들어 주말이나 휴일에는 이 코스 진입에 어려움이 있다.
더구나 진입로에 예식장등이 있어 교통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외지서 오는 단체 등산객들은 무등산공원관리사무소와 사전에 연락한 다음, 정보를 얻으면 산행하는데 도움이 된다.
산행가이드 : 산행기점이자, 종점인 증심사 집단시설지구(제1수원지앞)까지 시내버스편은 511번, 172번, 137번, 311번, 631번, 771번, 185번이 도청앞에서 3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10분정도(택시이용시 약 2천 5백원 정도)
1코스
증심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제1수원지, 관리소)(0.7㎞)→증심교 삼거리(0.5㎞)→삼애산 장삼거리 좌측행(춘설원)(0.1㎞)→증심사(0.5㎞)→당산나무(송풍정)(1.1㎞)→대피소(추모비)(0.5㎞)→중머리재(0.8㎞)→용추 삼거리(0.7㎞)→장불재(KBS,한국통신중계소)(0.4㎞)→입석대(0.5㎞)→서석대(0.5㎞)→입석대(0.4㎞)→장불재(1.7㎞)→규봉암(광석대,석불암)(2.1㎞)→신선대 삼거리(1.0㎞)→꼬막재(1.0㎞)→오성원(3.3㎞)→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 (총길이 약15.8㎞, 소요시간 5시간 30분정도, 무등산 종주 순환일주코스, 상급자 적합)
무등산 종주 순환일주코스는 일반적으로 전문산악인들이 선호하는 편이다.
그러나 이 코스는 중간에 코스가 다양하기 때문에 자기 산행능력이나 취향에 맞는 코스를 택해서 산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코스(2시간 30분)
증심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0.7㎞)→증심교삼거리(0.5㎞)→삼애산장 삼거리(춘설원)(0.5㎞)→약사사(0.3㎞)→새인봉 삼거리 좌측행(1.0㎞)→608고지(0.3㎞)→중머리재(0.4㎞)→백운암터(0.8㎞)→봉황대(0.6㎞)→토끼등(덕산너덜겅샘터)(1.8㎞)→증심교 삼거리 우측행(0.7㎞)→증심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 (총길이 약7.8㎞, 소요시간 2시간 30분정도, 중급자에게 적합한 코스)
이 코스는 무등산 산행을 자주하는 등산객들이 주로 택하는 코스이다.
산행중 잠깐 약사사에 들러 목을 추기고 시작하면 608고지까지의 조금 힘든 산행을 보다 쉽게 오를 수 있다.
원효사 코스
원효사 집단시설지구(무등산장) 출발점은 광주시 금곡동에 위치한다.
해발 500m에서 등산을 시작할수 있는 이곳은 경관이 아름답고 수려하여 등산뿐만 아니라 관광객들도 많이 찾는 곳이다.
교통편도 좋아 증심사쪽 코스 다음으로 많은 등산객이 찾고 있다.
특히 원효계곡을 끼고 그 주변에 16C 조선조 정자문화 유적이 산재되어 있어, 관광객이 많이 들르는 코스이며 등산하는 사람들에게는 무등산에서 가장 좋은 산행의 맛을 만끽할 수 있는 코스이기도 하다.
산행가이드 : 산행기점이자, 종점인 원효사집단시설지구까지 시내버스편은 435번, 467번이며 산수동 5거리에서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20분 정도.
1코스(5시간 30분)
원효사 집단시설지구(무등산장) 주차장(3.3㎞)→오성원(1.0㎞)→꼬막재(1.0㎞)→신선대삼거리(2.1㎞)→규봉암(광석대.석불암)(1.7㎞)→장불재(0.4㎞)→입석대(0.5㎞)→서석대(0.5㎞)→입석대(0.5㎞)→장불재(0.5㎞)→군통제소(3.8㎞)→늦재(군사도로)(1.2㎞)→원효사집단시설지구 주차장 (총길이 약16.5㎞, 소요시간 5시간 30분정도, 무등산 일주순환코스, 상급자 적합)
제1코스는 무등산 일주순환등산코스로 환상적이다.
특히 봄 가을 철쭉과 억새, 그리고 겨울설화는 환상적이다.
그리고 빼어난 규봉의 광석대를 비롯한 입석대, 서석대는 무등 아니고는 볼수 없는 암석미를 보여준다.
2코스(3시간 20분)
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1.2㎞)→늦재(1.6㎞)→동화사터(1.4㎞)→중봉(MBC,KBC송신소)(0.5㎞)→용추삼거리(0.8㎞)→중머리재(0.4㎞)→백운암터(0.8㎞)→봉황대(무명의혼비)(0.6㎞)→토끼등(0.8㎞)→바람재(0.9㎞)→늦재(1.2㎞)→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 (총길이 약10.2㎞, 소요시간 3시간 20분정도, 중급자에 적합)
제2코스는 광주시가지를 바라보면서 산행하는 코스로 각 코스를 응용하여 다양하게 산행할 수 있다.
중봉쪽에서는 패러글라이딩과 행글라이더를 배우고 즐기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3코스 (5시간)
안양산 자연휴양림-안양산-백마능선-장불재- 중머리재 - 증심사시설지구(5시간)
이 코스는 안양산, 백마능선, 장불재, 중봉의 억새를 즐길 수 있는 억새산행 코스이다.
봄에는 안양산의 철쭉도 볼 만하다. 등산로의 시야가 탁트여 무등산 전체의 조망이 시야에 들어온다.
* 출처:한국의 산하 (상기 산에 대한 설명은 한국의 산하에서 발췌한 내용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