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년(1028)에 창건하였으며, 그 뒤 폐허화된 것을 태조 4년(1395년) 담화가 태조의 명으로
중수하였다.
현종 15년(1674년)에는 현종의 공주 명혜와 명선의 명복을 빌기 위해 공주의 능 근처에 있
는 절을 중창하게 하였다. 당시의 역사를 맡은 승려는 금강산 일축존자였으며, 중창 뒤에
는 봉국사라 하였다.
봉국사의 창건에 대한 기록은 조선후기 문장에 뛰어났던 승려 백곡대사 처능(1617-1680)의
<백곡대각등계록>에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이절은 1674(현종15)년 요절한 현종의 두딸 명선, 명혜 공주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비의 주선으로 금강산의 승려 축존에게 명하여 공주의 무덤이 있는 바깥동리인 이 곳 성부산 아래에 절을 짓게 하여 봉국사라 하였다고 한다.
이 봉국사 대광명전은 그 후 6·25동란으로 퇴락하여, 1958년 비구니 법운이 중수하였고
1974년 현재의 모습으로 해채 복원하였다.
이 전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을 지닌 주심포 양식의 아담한 건물이다. 전각내
부의 불단위에는 화려한 닷집을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불단에 안치된 불상은 대광명전의 주존이어야 할 비로자나불이 아니고, 아미타불인데 이 불상은 창건시인 조선후기의 불상양식을 보이고 있다. 또한 망자의 명복을 빌기위해 건립된 이 전각은 본래의 명칭의 아미타불을 봉안한 극락보전이 아니였을까 생각된다.
봉국사 일주문
봉국사 천왕문과 범종루
봉국사 사천왕상
봉국사 전경
봉국사 심검당
봉국사 포대화상
봉국사 요사채
봉국사 삼성각
봉국사 요사채
봉국사 요사채
봉국사 삼층석탑
봉국사 대광명전
유형문화재 제101호로 지정되었다.
대광명전의 봉국사의 중심 법당이다. 대광명전은 원래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전각의 명칭이다. 그러나 봉국사의 대광명전에는 아미타불이 봉안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한국전쟁으로 사찰이 폐사 직전까지 몰리게 된 상황에서 비구니 법운이 1958년에 이 대광명전을 중수했다. 이후 1974년에 해체 복원을 한 바 있다. 대광명전 내부에는 1924년 조성된 신중탱이 하나 걸려있다. 한국전쟁이전의 봉국사에 관한 역사가 전혀 전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통해 그 이전에도 사찰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봉국사 미소석
봉국사 석사자상
봉국사 대적광전내 신중탱화
봉국사 대적광전 아미타불과 좌로는 지장보살, 우로는 관세음보살상
봉국사 대적광전 심우도 벽화
봉국사 부도전
봉국사 찾아가는 길
봉국사가 위치한 곳은 행정구역상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2동 216-2번지에 해당한다. 분당선 경원대역, 태평역에서 그 다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여 그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