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체명칭도] 이해하고 암기하기 (상)편
독학 가능한 < 애견미용 이론공부 >/이제는 해부학이다! 용어 "쉽게" 하기 2020. 1. 9. 13:03
- 견체 명칭& 뼈명칭 은 한문이 많아서 한문 뜻을 알고 있거나 몰라도 이해하면 좀 더 암기가 쉽습니다.
1번 두부
1번> 사진에서 보시면 딱히 어딘가 선으로 나타내지 않고 그냥 머리위 에 번호가 올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딱히 어느 부위를 딱 짚는게 아니고 '머리전체'를 나타내는용어가 무엇인지 묻는 것입니다.
'머리라는 부위를 뜻한다고' 하여 한자로.
頭 머리 두 部 구분 부 를 써 '두부' 라고 부릅니다.
2번 두개
2번은 잘보시면 개의 눈위의 머리에 선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 화날때 뚜껑열린다 하는 그부위입니다.
'머리 부위를 덮고 있는곳' 이라고 하여 한자로
頭 머리 두 蓋 덮을 개 를 써 '두개'라고 부릅니다.
3번 이
3번 번호는 개의 귀에 해당하는 곳에 있습니다.
귀는 한자로 耳 귀 이 를 씁니다. 흔히 귀가 아프면 '이'비인후과에 가는 데 그때 그 '이'입니다.
4번 안
4번 번호에서 선이 어디서 향하는 지 자.세.히 보십시오.
까딱잘못해서 5번과 잘못 해서 바꾸어 보면 틀립니다.
바로 강아지의 눈에서 나오고있습니다.
눈은 한자로 眼 눈 안 을 씁니다. 안경, 안과 할떄 그 '안'입니다.
5번 액단
5번 번호는 4번과 비교했을때 눈이 아닌 눈사이를 나타냅니다.
우리사람으로 치면 미간이라는 부위입니다.
이곳을 액단이라고 부르고 영어로는 stop(스톱) 이라고 부릅니다.
안타깝게 액단은 딱히 한자가 나오지 않는 용어네요. 하지만 실제 미용시 워낙 많이 쓰여서 암기될것입니다.
6번 측두
6번 선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눈옆의 공간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얼굴에서도 눈옆을 뭐라고 부르나요? 바로 관자놀이입니다.
이 관자놀이 부분은 '옆 머리' 라는 뜻으로 하여 한자로
側 옆 측 頭 머리 두 를 써 '측두'라고 부릅니다.
7번 비
7번은 까만 코를 나타내고 있네요.
코는 한자로 鼻 코 비 를 씁니다. 아까 말했던 이'비'인후과 할때 그 비입니다.
8번상악
8번부터 10번까지 다닥다닥 붙어있기때문에 허술하게 외우면 시험장에서 헷갈릴 수 있습니다.
확실히 번호에 해당하는 단어자체를 외우세요.
여기는 윗쪽에 있는 턱이라 하여 한자로
上 윗 상 顎 턱 악 을 써서 '상악'이라고 합니다. 악어할때 바로 그 악자를 씁니다.
9번 구진
9번은 8번보다 약간 아래이고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딱 피부쪽에서 선이 끝납니다.
그 말은 입쪽 피부이름 즉, 개의 입술의 이름을 물어보는 겁니다.
입쪽이라서 '口 입구' 자를 써서 '구진'이라고 합니다.
'구' 라고 들어갔으니 '입'근처부분이다 이렇게 이해하시고 찍으시면 됩니다.
10번 하악
10번은 아랫 턱 이라고 하여
下 아래 하 顎 턱 악 을 써서 '하악'이라고 합니다.
-개정전에는 입을 벌린 사진이라 사진상 구분이 쉬웠는데 지금은 입을 다물고 있어서 8~10번의 구분이 애매해졌습니다.
부디 숫자에다 단어를 제대로 매치시켜서 외우시길 바랍니다.
숫자가 커질수록 아래에 있는 부위의 이름이고 그래서 가장아래에 있는 하악이 10번입니다.
11번 협
11번 선이 어디를 향하나요? 입꼬리 옆부분입니다. 입옆 . 바로 뺨,볼의 명칭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우리 강아지의 귀여운 볼을 한자로는
䁯 볼 협 자를 써서 '협'이라고 읽습니다.
이한자는 일반적으로는 잘 안쓰이므로 외울때 '뺨'에 상처가 있는 '협'객을 연상하시면 쉽습니다.
12번 견
이 부분이 마치 팔이라고 느껴질수도 있습니다.
개는 쇄골이 없어서 사람처럼 어깨가 옆으로 퍼지지 않고 그대로 팔쪽으로 내려간 모습입니다.
그래서 이부위는 어깨 이고 한자로
肩 어깨 견 을 써서 '견'이라고 부릅니다.
군인과 경찰들의 제복에 어깨에 장식된 것을 '견'장이라고 부릅니다. 그때 어깨 견자를 씁니다.
군인 어깨에 장식된노란 부분이 견장입니다.
13번 견단
이곳은 어깨에서도 가장 끝머리 부분을 입니다.
肩 어깨 견 端 끝 단 을 쓰고 '견단'이라고 합니다.
뼈부분의 튀어나오는 끝부분에도 '단'을 붙입니다.
14번 상완
자 우리몸을 봅시다. 어깨밑에 무엇이 있나요? 윗팔뚝이 있습니다.
한자로 그대로 직역하여 上 윗 상 腕 팔뚝 완 을 써서 '상완'이라고 부릅니다.
15번 전완
15번은 자 윗팔뚝 의 아래부분의 이름을 묻고 있습니다. 아래팔뚝인데 아래라는 표현을 붙이지 않고 몸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팔뚝이라고 하여
前 앞 전 腕 팔뚝 완 을 써서 '전완'이라고 부릅니다.
상완관 전완모두 사람에게도 똑같이 쓰기 때문에 용어가 좀 익숙하지요?
16번 수근
팔뚝이 끝나는 곳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손목입니다. 손가락을 나무가지에 비유한다면 손목은 그 나무의 뿌리에 해당합니다. 뿌리는 그 나무의 근원이지요. 그래서 손목을 손의 뿌리,근원 이라는 의미에서
手 손 수 根 뿌리 근 을 써서 '수근'이라고 부릅니다.
손목은 수근!
17번 지
양쪽 발가락끝에서 선이 나오고 있네요. 발가락 부위 입니다. 한자로
指 손,발가락 지 를 씁니다.
지휘할때 이 '지'자를 쓰는데 손가락으로 이것저것을 지시하는 모습을 연상하시면 쉽습니다.
18번 중수
17번의 발가락, 16번의 수근(손목) 의 중간부위의 이름을 묻고 있네요.
우리 손을 펴서 보면 손가락과 손목사이에 무엇이 있나요? 네 바로 손바닥이 있죠 .
中 가운데 중 手 손 수 를 써서 '중수'라고 부릅니다.
손바닥은 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