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賢의 格言】
眞人(:손사막)의 [養生銘]에 이르기를:
人이 形을 勞하게 하려 하면 百病이 成할 수 없고 酒를 飮하여도 大醉하지 않으면 諸疾이 저절로 生하지 않느니라. 食을 하고는 100步를 行하고 자주 手로 肚를 摩하여야 하느니라. 寅丑日에는 甲(:손발톱)을 剪하고 頭髮을 100번 정도 梳(:빗다)하느니라. 飽하면 서서 小便을 보고 飢하면 앉아서 漩尿하여야 하느니라. 行하는 處에는 風을 맞지 않게 하고 居하여 止할 때는 小한 隙조차 없게 하여야 하느니라. 항상 夜에는 足을 濯하여 臥하여야 하느니라. 飽食하면 결국 無益하느니라. 思慮는 가장 神을 잘 傷하고 喜怒는 가장 氣를 잘 傷하느니라. 매 鼻中의 毛를 去하고 항상 地에 唾하지 않도록 습관을 들여야 하느니라. 平明(:새벽)에 起하려 할 時에 床에서 먼저 左脚으로 下하면 一日에 災殃이 없게 되고 去邪하고 兼하여 辟惡하느니라. 만약 七星步를 할 수 있으면 人으로 하여금 長壽하게 하느니라. 酸味를 樂하면 筋을 傷하고 苦味는 骨을 傷하느니라. 甘은 肉을 益하지 못하고 辛이 多하면 正氣를 敗하게 하느니라. 鹹이 多하면 人의 壽를 促하니, 모두 偏으로 耽嗜하면 안 되느니라. 春夏에는(사정의) 施泄를 少하게 하고 秋冬에는 陽事를 固하게 하여야 하느니라. 獨臥하면 이는 眞을 守하니, 삼가고 靜한 것이 가장 貴하느니라. 錢財의 生에는 分이 있으니, 足을 알면 利할 것이고, 强으로 얻으려(:知) 하면 大患이니라. 少慾하면 終으로 累가 없고 神이 靜하면 저절로 항상 安하느니라. 修道는 마땅히 終始가 되어야 한다. 이를 書하여 屋壁 중에 두고 君子들에게 傳하느니라.
孫眞人이 [枕上記]에서 이르기를:
侵晨(:새벽)에는 1사발의 粥을 먹고 晩飯은 足하게 먹지 말라.
景陽鍾(:새벽종)을 칠 때쯤 叩齒하기를 36번 한다네.
大寒이나 大熱에는 色慾을 貪하지 말아야 하고
醉飽하고는 行房하지 말지니 五藏이 모두 翻覆(:뒤집어지다)한다네.
火艾로 身을 燒하는 것이 어찌 홀로 宿하는 것과 같겠는가?
坐臥에 風을 맞지 말고 자주 煖한 處에서 浴하여야 한다네.
食으로 飽하면 100步를 걷고 항상 手로 腹을 摩하여야 한다네.
鱗이 없는 魚나 여러 가지 禽獸의 肉을 먹지 말게나.
저절로 죽은 禽와 獸을 食하면 대부분 命을 재촉한다네.
土나 木의 形像에다 구하여도 恩福이 있는데
父의 精과 母의 肉을 어찌 南北으로 나누겠는가?
惜命 惜身하면 人의 六白(:양기)이 玉과 같이 빛난다네.
孫眞人의 養生銘에서 이르기를:
怒가 甚하면 치우쳐 氣를 傷하고 思가 多하면 크게 神을 損하니,
神이 疲하면 心이 쉽게 役하여지니 氣가 弱하여 病이 相因한다네.
悲나 歡을 極하게 하지 않고 항상 飮食을 勻하게 하여야 하며
夜에 醉하는 것을 2번 3번 防하여야 하고, 第一의 戒는 晨의 嗔이라네.
亥에는 寢하되 天鼓를 鳴하고 寅에는 興하되 玉津으로 漱하니
妖邪가 犯하기 어렵고 精氣가 저절로 身을 全하게 한다네.
만약 諸病이 없기를 要한다면 항상 五辛(:마늘 파 생강 겨자 부추)을 節하여야 하고
安神하여 마땅히 悅樂하며 惜氣하여 和純을 保하여야 한다네.
壽夭의 命에 대해 論하지 말지니 修行의 本은 人에게 있나니
이러한 理를 遵할 수 있다면 平地에서도 그 眞을 만날 수 있다네.
常眞子(:이지상)의 養生文에 이르기를:
酒가 多하면 血氣가 모두 亂하며 味가 薄하면 神魂이 저절로 安하니
夜의 漱는 朝의 漱보다 勝하고 暮의 食은 晨의 食보다 못하다네.
耳鳴에는 直으로 補腎하여야 하고 目暗에는 반드시 治肝하여야 하며
節飮하면 自然으로 脾가 健하게 되고 少思하면 반드시 神이 安하게 된다네.
汗이 出하면 風을 맞으며 서지 말고 腹이 空하면 茶의 穿을 放하지 말라.
東垣(:이고)가 [省言箴]에 이르기를:
氣는 神의 祖이고, 精은 氣의 子이니라. 氣는 精神의 根蔕이니, 大하도다! 積氣하여 精을 이루고 積精하여 神을 全하니, 반드시 淸하고 반드시 靜하여지느니라. 道로 이를 御한다면 天人이 될 수 있으니, 道가 있으면 할 수 있느니라. 내가 어떤 사람인가? 마땅히 말을 省하여야 할 뿐이니라.
丹溪가 [飮食箴]에 이르기를:
人身이 貴한 것은 父母가 遺한 體이니, 口로 身을 傷하는데, 滔滔함이 모두 그것이라네.
人에게 이 身이 있어서 飢 渴에 이르면 飮食을 作하여 그 生을 遂한다네.
이것을 睠하는데 昧한 자는 口味에 縱하므로 인하여 五味가 過하여 疾病이 蜂起한다네.
病의 生은 그 機가 甚히 微하니 饞하는 涎이 牽하는 바를 따라 忽하게 思하지 않아
病이 成하고, 飮食을 모두 廢하게 되며 憂가 父母에게 미치고 醫하고 百計를 禱한다네.
山野의 貧賤한 자들은 淡薄하여야 함을 알고 있으니, 動作이 襄하지 않고 그 身도 安하다네.
均氣의 同體인데도 나만 홀로 病이 많은가 하고 悔悟가 한 번이라도 萌하면 塵이 開하고 鏡이 淨한다네.
飮食을 節하라고 주역의 象辭에서 말하였고 小를 養하려다 大를 失한다고 孟子가 충고(:譏)하였다네.
口로 病에 이르고 또한 그 德까지 敗하니 甁과 같이 그 口를 守한다면 服하여도 무리(:斁)가 아니라네.
丹溪가 [色慾箴]에 이르기를:
오직 人의 生은 天地와 參하니, 坤道는 女가 되고 乾道는 男이 된다네.
配하여 夫婦가 되고 生育시켜 寄하는 바가 되니, 血氣가 막 剛할 때가 바로 그 時이라네.
禮로 (부부가) 成하고 時에 (맞게) 接하니, 父子의 親은 그 要가 여기에 있다네.
이를 돌아봄에 昧한 자는 情을 좇아 縱慾하고 오직 不及할까 염려하니 燥毒으로 濟한다네.
氣는 陽이고 血은 陰이니, 人身의 神은 陰平 陽秘하여야 나의 體가 장수한다네.
血氣가 얼마나 된다고 스스로 惜하지 않는가? 나를 生하는 것이 뒤집어져 賊이 된다네.
女의 眈芳은 그 慾이 실로 많으니, 閨房(:안채)의 肅함은 門庭(:집안)의 和이라네.
士의 眈芳은 그 家를 스스로 廢하니, 곧 이 德을 喪하면 이 身도 초췌하게 된다네.
遠하거나 帷薄(:커튼)하면 放心을 收하고 飮食이 맛나게 되니, 身이 安하고 病이 낫는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