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A23F 3/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5년10월24일
10-0523207
2005년10월14일
(21) 출원번호 10-2003-0100613 (65) 공개번호 10-2005-0068802
(22) 출원일자 2003년12월30일 (43) 공개일자 2005년07월05일
(73) 특허권자 한국식품연구원
경기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산46-1
이천시(관리부서:이천시농업기술센터소장)
경기 이천시 중리동 산21-1
(72) 발명자 김성수
경기도수원시장안구정자3동872-1연꽃마을풍림아파트414-403
이장은
서울특별시강남구수서동도시개발아파트603-1214
오명선
경기도이천시부발읍아미리611-2
오백영
경기도이천시관고동산호1차아파트1-902
(74) 대리인 이한영
심사관 : 조현경
(54)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
요약
젤리형태로 가공된 로얄젤리 및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벌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젤리형 첨가
물을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방법은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한천 및 물을 혼합하고, 가열한 후, 냉각시켜서 젤리형 첨가물
을 수득하는 단계; 및,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벌꿀, 식용검 및 물을 혼합하고,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젤리형 첨가물을 포함하는 벌꿀차는 젤리형 첨가물에 함유된 로얄젤리가 변질되지 않고, 젤리형 첨가물이 효과적으로 분
산되어, 그 기능성 및 기호성이 우수하므로, 벌꿀의 소비를 촉진시켜서, 양봉농가의 수입증진에 널리 이바지할 수 있을 것
이다.
색인어
벌꿀, 로얄젤리, 프로폴리스, 젤리형 첨가물, 벌꿀차
등록특허 10-0523207
- 1 -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젤리형태로 가공
된 로얄젤리 및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벌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연평균 꿀 생산성은 25-30kg/hive(벌꿀통)의 수준으로, 현재 23,000여명의 양봉인이 30여만군의 꿀
벌(Apis cerana)을 사양하고 있으나, 꿀생산량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원인은 수입벌꿀의 증가 등의 외부적인
요인, 관리인력의 부족, 양봉기구의 가격인상, 사양용 사료의 가격인상, 마케팅전략의 부재 등의 내부적인 요인을 들 수 있
다. 실질적으로, 최소시장접근물량(MMA)으로 수입되는 벌꿀의 대부분은 등급이 낮아서 공업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시중
에 판매되는 높은 등급의 수입벌꿀은 판매가격이 국산벌꿀보다 낮지 않아서 수입벌꿀로 인한 외부적인 원인은 벌꿀생산량
감소의 주된 원인이 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내부적인 요인이 국내 벌꿀생산량 감소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벌꿀을 이용한 제품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 데, 첫째는 벌꿀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벌꿀, 벌꿀차 등을
들 수 있고, 둘째는 벌꿀을 보조재료로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벌꿀을 포함하는 빵, 과자 등의 각종 식품을 들 수 있으며,
셋째로는 벌꿀을 유효성분 또는 보조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종 의약제품이다. 상기 제품 중에서 국내벌꿀의 소비량이 가장
많은 제품은 첫번째 제품군인데, 두번째와 세번째 제품군은 대부분 수입벌꿀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첫번째 제품군
에 속하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여, 벌꿀의 소비량을 증진시키려는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첫번째 제품군에 속하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
록 제 246317호에는 한약재로 사용하는 약초의 농축 엑기스 분말과 꿀을 혼합한 기능성 벌꿀과 기능성 인조꿀이 개시되
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395432호에는 면역기능이 강화된 벌꿀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
허공개 제 2001-110249호에는 꿀을 섞은 배즙이 개시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2-78642호에는 동충하초를
함유한 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3-23660호에는 벌꿀과 딸기를 포함하는 고
추장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3-50383호에는 대추와 꿀을 포함하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3-64520호에는 은행을 포함하는 꿀차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
민국 특허공개 제 2003-76799호에는 꿀 재수밀 처리기구를 이용한 재수밀된 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
국 특허공개 제 2003-93377호에는 송이버섯을 함유하는 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벌꿀과 함께 얻을 수 있는 로얄젤리는 그의 탁월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주목을 받아왔다. 로얄젤리는 비타민A, B복
합체, C, D 및 E를 다량으로 포함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B 비타민 판토테닌산도 다량으로 함
유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효능으로는 면역체계를 강화하고, 노화를 억제하며, 머리카락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몸의
산도를 조절하는 기능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로얄젤리의 우수한 기능성을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나, 아직까지도 로얄젤리를 응용한 제품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로얄젤리가 상온에서 공
기중에 노출될 경우, 급격히 부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별다
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까지 개발된 로얄젤리 제품은 로얄젤리와 공기와의 접촉이 단절된 연질캡슐
형태의 제품이 유일하다. 만일,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제품을 개발할 경우, 벌꿀의 기호성과 로얄젤리의 기능성이 조화
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러한 제품을 개발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제품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자들은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제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변질되기 쉬운 로얄제리를 프
로폴리스 및 한천과 혼합하고, 가공하여 젤리형태로 제조하고 이를 벌꿀과 혼합할 경우, 변질되지 않는 로얄젤리를 포함하
는 벌꿀차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등록특허 10-0523207
- 2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방법은 5 내지 10중량%의 프로폴리스, 5 내지 10중량%의 로얄젤리, 5 내
지 10중량%의 한천 및 70 내지 85중량%의 물을 혼합하고, 90 내지 100℃에서 1 내지 5분동안 가열한 후, 냉각시켜서 젤
리형 첨가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최종제품을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의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20 내지 35%의
벌꿀, 0.5 내지 1.5%의 식용검 및 50 내지 70중량%의 물을 혼합하고,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동안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젤리형 첨가물에 포함된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및 한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기호성
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코만난, 카라기난 등의 감미료를 추가로 첨가하여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할
수도 있고, 식용검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잔탄검, 구아검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
하여, 벌꿀차의 제조시에 전기 젤리형 첨가물, 벌꿀 및 식용검 이외에 산수유 추출물, 황기 추출물, 홍삼 추출물 등을 추가
로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로얄젤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는데, 로얄젤리의 특성상, 저장기간을 연
장시키기 위하여 수행되는 통상의 가공방법인 동결건조, 훈제, 염장 등의 방법은 이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식품첨가물로
서 사용되는 보존료를 첨가시키는 방법을 고려하게 되었다.
현재 식품첨가물의 보존료로서 사용되는 구연산, 초산, 비타민 C, 프로피온산칼슘, 벤조산나트륨, 아질산나트륨, 소르브
산,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및 프로폴리스를 각각 벌꿀차와 혼합하여 로얄젤리
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존료를 선별한 결과, 프로폴리스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처럼 프로폴리스 및 로얄젤리의 조성물을 상온에서 빛에 노출된 장소에 저장할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
라, 로얄젤리의 보존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은 암소에서만 유지되며, 빛에 노출될 경
우 항균활성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폴리스와 혼합되더라도, 로얄젤리가 대기중에 노출될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변질되므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한 결과,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한천 및 물을 혼합하고 가열한 후, 냉각시켜서
젤리형태로 성형시킬 경우, 직사광선에 노출되어도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고, 로얄젤리가 대기중에 직접적
으로 노출되지 않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질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전기 제조된 젤리의 크기가 특별히 이에 제
한되지는 않으나, 젤리를 작은 부피의 입자로 세절함이 바람직하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젤리의 제조시 작은 입자로 제조
하며,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코만난, 카라기난 등의 감미료를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조된 젤리형태의 첨가물을 벌꿀과 혼합하여 벌꿀차를 제조할 경우, 제조직후에는 젤리형태의 조성물이 액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기 조성물이 침전되므로, 조성물의 침전시간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맛이 나지 않으면서도 점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당류를 첨가하여 벌꿀차의 점도를
향상시켜서 전기 조성물의 침전시간을 연장시키고자 하였으나, 과량의 다당류가 첨가되어도 점도가 크게 증가되지 않았으
므로, 다른 식품 첨가물을 첨가하여 전기 조성물의 침전시간을 연장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식품 첨가물인 잔탄검, 구아
검 등의 식용검을 미량으로 첨가할 경우, 전기 조성물의 침전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벌꿀차의 제조시에 전기 젤리형 첨가물, 벌꿀 및 식용검 이외에 산수유 추출물, 황기
추출물, 홍삼 추출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는 젤리형 첨가물에 함유된 로얄젤리가 변질되지 않고, 젤리형 첨가물이 효과적으
로 분산되어, 그 기능성 및 기호성이 우수하므로, 벌꿀의 소비를 촉진시켜서, 양봉농가의 수입증진에 널리 이바지할 수 있
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로얄젤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의 검색
등록특허 10-0523207
- 3 -
로얄젤리는 상온에서 공기와 접촉할 경우, 우유색에서 검은색으로 변질되므로, O.D.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할 경우,
변질된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고, 이처럼 측정된 수치가 증가할수록 변질정도가 크다고 판단할 수 있음을 이용하여, 상온
에서 로얄젤리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질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즉, 상온의 질소기체로 포화된 조건하에서, 로얄젤리 10㎍과 동량의 구연산, 초산, 비타민 C, 프로피온산칼슘, 벤조산나
트륨, 아질산나트륨, 소르브산,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또는 프로폴리스를 각각
혼합한 후, 상온에서 대기하에 10분 동안 노출시켰다. 이어, 각 시료를 물 1㎖에 넣고 용해시킨 다음, O.D.700nm에서 흡
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대기하에 노출시키지 않은 로얄젤리를 물에 용해시킨 시료를 사용하였다(참조: 표
1).
표 1.
첨가물에 따른 로얄젤리 변질정도의 변화(O.D.700nm)
첨가물 O.D.700nm
대조군 0.01
구연산 0.47
초산 0.61
비타민 C 0.98
프로피온산 칼슘 0.37
벤조산나트륨 0.64
아질산나트륨 1.10
소르브산 0.79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6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틸 0.89
안식향산나트륨 1.08
프로폴리스 0.14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프로폴리스가 로얄젤리의 변질을 가장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실시예 2: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로얄젤리의 변질방지 효과
로얄젤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폴리스의 유효기간을 확인하고자, 상온의 질소기체로 포화된 조건하에서, 로얄젤
리 10㎍과 프로폴리스 10㎍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대기하에 1시간 동안 노출시킨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
의 경과에 따른 로얄젤리의 변질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노출장소는 빛에 노출된 장소와 암소로 나누어 측정하였
다(참조: 표 2).
표 2.
노출시간에 따른 로얄젤리 변질정도의 변화(O.D.700nm)
노출시간(분) 빛에 노출된 장소에 보관 암소에 보관
대조군 0.01 0.01
0 0.01 0.01
10 0.14 0.06
20 0.27 0.12
30 0.40 0.16
40 0.52 0.24
50 0.74 0.36
60 1.15 0.54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로얄젤리는 프로폴리스와 혼합되어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급격히 변질되었으나, 빛에
노출된 장소보다는 암소에서 로얄젤리가 변질되는 시간이 연장됨을 알 수 있었다.
등록특허 10-0523207
- 4 -
실시예 3: 젤리형 첨가물의 제조
전기 실시예 2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로얄젤리가 대기중에 노출될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질이 가속화되고,
프로폴리스의 로얄젤리 변질억제효과는 빛에 의하여 감소됨을 알 수 있었으므로, 로얄젤리 및 프로폴리스의 조성물을 젤
리형으로 가공함으로써, 전기 조성물을 빛과 공기로 부터 차단하고자 하였다.
즉, 프로폴리스 50㎍, 로얄젤리 50㎍ 및 한천 100㎍을 음용수 800㎍에 혼합하여 용해시킨 조성물(실험군 1) 및 로얄젤리
50㎍ 및 한천 100㎍을 음용수 800㎍에 혼합하여 용해시킨 조성물(실험군 2)를 각각 준비하고, 이를 90℃에서 2분동안 가
열한 다음, 상온으로 냉각시켜서 젤리형 첨가물을 제조하였다.
이어, 전기 젤리형 첨가물을, 빛에 노출된 장소 또는 암소에서 상온에서 대기하에 1시간 동안 보관하고, 시간별로 시료를
수득하였다. 전기 수득한 시료 10㎍을 물 1㎖에 넣고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O.D.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참
조: 표 3).
표 3.
프로폴리스의 첨가에 따른 로얄젤리 변질정도의 변화(O.D.700nm)
노출시간(분) 빛에 노출된 장소에 보관 암소에 보관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1 실험군 2
0 0.01 0.01 0.01 0.01
10 0.02 0.02 0.02 0.02
20 0.02 0.05 0.02 0.05
30 0.02 0.06 0.02 0.06
40 0.02 0.08 0.02 0.08
50 0.03 0.11 0.03 0.11
60 0.03 0.14 0.03 0.14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프로폴리스가 포함된 젤리형 첨가물(실험군 1)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변질되지 않았고, 이는 빛에
노출된 장소 또는 암소에 보관한 시료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프로폴리스가 포함되지 않은 젤리형 첨가물(실험군 2)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로얄젤리가 변질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로얄젤리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프로폴리스와 혼합하여 젤리형으로 가공함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프로폴리스 함량의 결정
로얄젤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폴리스의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로얄젤리 10㎍와 프로폴리스(0, 2, 4, 6, 8,
10, 12, 14, 16, 18 및 20㎍)를 각각 혼합하여, 각각의 시료를 준비하고, 실시예 3의 방법으로 각각 100㎍의 젤리형 첨가물
을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고, 로얄젤리의 변질정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4).
표 4.
프로폴리스의 함량에 따른 로얄젤리 변질정도의 변화(O.D.700nm)
로얄젤리의 함량(중량%) 프로폴리스의 함량(중량%) O.D.700nm
10 0 18.4
10 2 8.1
10 4 5.8
10 6 2.3
10 8 0.87
10 10 0.05
10 12 0.04
10 14 0.05
10 16 0.04
등록특허 10-0523207
- 5 -
10 18 0.03
10 20 0.02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프로폴리스의 함량이 로얄젤리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는 로얄젤리가 변질되
지 않았으므로, 프로폴리스는 로얄젤리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으
나, 프로폴리스의 단가를 고려한 산업적인 생산에 있어서는, 프로폴리스의 함량이 로얄젤리의 함량과 동일한 것이 가장 바
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벌꿀차의 제조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을 포함하는 벌꿀차를 제조하였다.
즉, 프로폴리스 5㎍, 로얄젤리 5㎍ 및 한천 10㎍을 음용수 80㎍에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90℃에서 2분동안 가열한 다음,
50℃로 냉각시킨 후, 0.5mm의 지름을 가지는 고압노즐을 통하여, 5℃의 냉각수가 담겨진 용기에 분사하여, 지름 0.5-
0.7mm의 구슬형태로 가공된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10g, 벌꿀 20g 및 음용수
70g을 혼합하고, 밀봉한 다음, 70℃에서 3분간 가온하여 벌꿀차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전기 제조된 벌꿀차를 10분간 방치할 경우, 전기 젤리형 첨가물이 대부분 침전되었으므로, 전기 벌꿀차에 젤리형
첨가물이 골고루 분산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전기 젤리형 첨가물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물질을 검색하였다.
즉, 젤리형 첨가물 10g, 벌꿀 20g 및 음용수 70g의 혼합물에 1g의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코만난, 카라기난, 구아검 또
는 잔탄검을 혼합하고, 8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각 벌꿀차를 제조한 후, 젤리형 첨가물이 대부분 침지되기까지 소요되
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은 벌꿀차를 사용하였다(참조: 표 5).
표 5.
첨가물에 따른 젤리형 첨가물의 침지시간의 변화(단위: 분)
첨가물 침지시간
대조군 1.3
싸이클로덱스트린 2.0
글루코만난 2.4
카라기난 2.1
구아검 13.3
잔탄검 12.5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코만난, 카라기난 등의 다당류 식품첨가물은 젤리형 첨가물의 침지시간을
크게 연장시키지 못하였으나, 구아검, 잔탄검 등의 식용검은 젤리형 첨가물의 침지시간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6: 식용검의 함량결정
벌꿀차에 포함되는 젤리형 첨가물을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식용검의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젤리형 첨가
물 10g, 벌꿀 20g 및 음용수 67g의 혼합물에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또는 2.3g의 구아검을 각각 혼합하고, 적량의 물을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100g을 채운 다
음, 8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각 벌꿀차를 제조한 후, 젤리형 첨가물이 대부분 침지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
다(참조: 표 6).
표 6.
구아검의 함량에 따른 젤리형 첨가물의 침지시간의 변화(단위: 분)
구아검 함량 침지시간 구아검 함량 침지시간 구아검 함량 침지시간 구아검 함량 침지시간
등록특허 10-0523207
- 6 -
(중량%) (중량%) (중량%) (중량%)
0.0 1.2 0.6 11.4 1.2 14.4 1.8 15.9
0.1 2.3 0.7 11.8 1.3 14.7 1.9 16.2
0.2 3.5 0.8 12.5 1.4 15.0 2.0 16.3
0.3 4.7 0.9 13.0 1.5 15.4 2.1 16.5
0.4 5.8 1.0 13.4 1.6 15.6 2.2 17.0
0.5 10.5 1.1 13.8 1.7 15.7 2.3 17.2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0.5중량% 이상의 함량으로 구아검이 첨가될 경우에 젤리형 첨가물의 침지시간이 현저히 증가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전기 제조된 각 벌꿀차의 관능평가를 20명의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하여, 9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였다(참조: 표
7).
표 7.
구아검이 첨가된 벌꿀차의 관능평가 결과
구아검 함량
(중량%)
평균점수 구아검 함량
(중량%)
평균점수 구아검 함량
(중량%)
평균점수 구아검 함량
(중량%)
평균점수
0.0 8.1 0.6 8.6 1.2 7.7 1.8 4.9
0.1 8.3 0.7 8.4 1.3 7.8 1.9 5.0
0.2 8.2 0.8 8.2 1.4 7.6 2.0 4.9
0.3 8.0 0.9 8.1 1.5 7.4 2.1 4.7
0.4 8.4 1.0 7.9 1.6 5.1 2.2 4.8
0.5 8.5 1.1 7.8 1.7 5.2 2.3 4.7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구아검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호도가 하락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식용검의 함량은 0.5 내지 1.5중량%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다른 기능성 부재가 함유된 벌꿀차의 제조
본 발명의 벌꿀차에 포함되는 젤리형 첨가물의 제조시,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코만난, 카
라기난 등의 감미료를 추가로 첨가하여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할 수도 있다. 아울러, 벌꿀차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
여, 벌꿀차의 제조시에 전기 젤리형 첨가물, 벌꿀 및 식용검 이외에 산수유 추출물, 황기 추출물, 홍삼 추출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 7-1: 감미료가 함유된 젤리형 첨가물을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
프로폴리스 5㎍, 로얄젤리 5㎍, 싸이클로덱스트린 3㎍, 글루코만난 5㎍, 카라기난 0.5㎍ 및 한천 10㎍을 음용수 71.5㎍
에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90℃에서 2분동안 가열한 다음, 50℃로 냉각시킨 후, 0.5mm의 지름을 가지는 고압노즐을 통하
여, 5℃의 냉각수가 담겨진 용기에 분사하여, 지름 0.5-0.7mm의 구슬형태로 가공된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10g, 벌꿀 20g, 구아검 1g 및 음용수 69g을 혼합하고, 밀봉한 다음, 70℃에서 3분간 가온하여,
감미료가 함유된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2: 감미료가 함유된 젤리형 첨가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
프로폴리스 5㎍, 로얄젤리 5㎍, 싸이클로덱스트린 3㎍, 글루코만난 5㎍, 카라기난 0.5㎍ 및 한천 10㎍을 음용수 71.5㎍
에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90℃에서 2분동안 가열한 다음, 50℃로 냉각시킨 후, 0.5mm의 지름을 가지는 고압노즐을 통하
여, 5℃의 냉각수가 담겨진 용기에 분사하여, 지름 0.5-0.7mm의 구슬형태로 가공된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10g, 벌꿀 20g, 구아검 1g, 7°Brix의 황기 추출농축액 12.5g 및 음용수 50.5g을 혼합하고, 밀
봉한 다음, 70℃에서 3분간 가온하여, 감미료가 함유된 젤리형 첨가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벌꿀차를 제조하였다.
등록특허 10-0523207
- 7 -
실시예 7-3: 감미료가 함유된 젤리형 첨가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
프로폴리스 5㎍, 로얄젤리 5㎍, 싸이클로덱스트린 3㎍, 글루코만난 5㎍, 카라기난 0.5㎍ 및 한천 10㎍을 음용수 71.5㎍
에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90℃에서 2분동안 가열한 다음, 50℃로 냉각시킨 후, 0.5mm의 지름을 가지는 고압노즐을 통하
여, 5℃의 냉각수가 담겨진 용기에 분사하여, 지름 0.5-0.7mm의 구슬형태로 가공된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10g, 벌꿀 20g, 구아검 1g, 12°Brix의 산수유 추출농축액 7.5g 및 음용수 61.5g을 혼합하고,
밀봉한 다음, 70℃에서 3분간 가온하여, 감미료가 함유된 젤리형 첨가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벌꿀차를 제조하였
다.
실시예 7-4: 감미료가 함유된 젤리형 첨가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
프로폴리스 5㎍, 로얄젤리 5㎍, 싸이클로덱스트린 3㎍, 글루코만난 5㎍, 카라기난 0.5㎍ 및 한천 10㎍을 음용수 71.5㎍
에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90℃에서 2분동안 가열한 다음, 50℃로 냉각시킨 후, 0.5mm의 지름을 가지는 고압노즐을 통하
여, 5℃의 냉각수가 담겨진 용기에 분사하여, 지름 0.5-0.7mm의 구슬형태로 가공된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10g, 벌꿀 20g, 구아검 1g, 73°Brix의 홍삼 추출농축액 4g 및 음용수 65g을 혼합하고, 밀봉한
다음, 70℃에서 3분간 가온하여, 감미료가 함유된 젤리형 첨가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벌꿀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의 보존기간
프로폴리스 5㎍, 로얄젤리 5㎍ 및 한천 10㎍을 음용수 80㎍에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90℃에서 2분동안 가열한 다음,
50℃로 냉각시킨 후, 0.5mm의 지름을 가지는 고압노즐을 통하여, 5℃의 냉각수가 담겨진 용기에 분사하여, 지름 0.5-
0.7mm의 구슬형태로 가공된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10g, 벌꿀 20g, 구아검 1g
및 음용수 69g을 혼합하고, 8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제조된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실험군 1), 젤리형으로 가공
하지 않은 로얄젤리와 프로폴리스를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벌꿀차(실험군 2), 젤리형으로 가공된 로얄젤리와 젤리형
으로 가공되지 않은 프로폴리스를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벌꿀차(실험군 3) 및 젤리형으로 가공된 프로폴리스와 젤리
형으로 가공되지 않은 로얄젤리를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벌꿀차(실험군 4)을 각각 제조하고, 각각 제조된 벌굴차를 진
공포장한 후, 밀봉하고, 상온에서 1년동안 보관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각의 시료를 수득하고, 시료의 젤리형 첨가
물에 포함된 로얄젤리의 변질정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8).
표 8.
각 벌꿀차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로얄젤리 변질정도의 변화(O.D.700nm)
시간의 경과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제조직후 0.01 0.01 0.01 0.01
2개월 경과 0.02 18.4 9.8 18.4
4개월 경과 0.05 25.4 14.4 25.4
6개월 경과 0.07 25.8 18.7 25.4
8개월 경과 0.09 26.1 25.4 26.0
10개월 경과 0.10 26.2 25.6 26.1
12개월 경과 0.12 26.3 25.5 26.4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로얄젤리와 프로폴리스를 젤리형으로 가공하여 첨가한 벌꿀차(실험군 1)의 경우에는 1년이 경과
하여도 로얄젤리가 거의 변질되지 않았으나, 로얄젤리와 프로폴리스를 젤리형으로 가공하지 않고 첨가하거나(실험군 2),
로얄젤리만을 젤리형으로 가공하여 첨가하거나(실험군 3) 또는 프로폴리스만을 젤리형으로 가공하여 첨가한 경우(실험군
4)에는 모두 로얄젤리가 변질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군 3의 경우에는 다른 실험군보다 로얄젤리의 변질이 비교적 지체되
었는데, 이는 젤리형으로 가공되어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발명의 효과
등록특허 10-0523207
- 8 -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젤리형태로 가공된 로얄젤리 및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벌꿀차 및 그의 제조방
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는 젤리형 첨가물에 함유된 로얄젤리가 변질되지 않고, 젤리형 첨가
물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그 기능성 및 기호성이 우수하므로, 벌꿀의 소비를 촉진시켜서, 양봉농가의 수입증진에 널리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ⅰ) 5 내지 10중량%의 프로폴리스, 5 내지 10중량%의 로얄젤리, 5 내지 10중량%의 한천 및 70 내지 85중량%의 물을
혼합하고, 90 내지 100℃에서 1 내지 5분동안 가열한 후, 냉각시켜서 젤리형 첨가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ⅱ) 최종제품을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의 전기 수득한 젤리형 첨가물, 20 내지 35%의 벌꿀, 0.5 내지 1.5%의 식용
검 및 50 내지 70중량%의 물을 혼합하고,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동안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얄젤리
를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방법.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젤리형 첨가물은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코만난, 카라기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방법.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식용검은 잔탄검 또는 구아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방법.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벌꿀차는 산수유 추출물, 황기 추출물 또는 홍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의 제조방법.
청구항 5.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5 내지 10중량%의 프로폴리스, 5 내지 10중량%의 로얄젤리, 5 내지 10중량%의 한천 및
70 내지 85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젤리형 첨가물 5 내지 15중량%; 벌꿀 20 내지 35%; 0.5 내지 1.5%의 식용검; 및, 물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